목차
1. 생애와 업적
2. 사회 심리발달이론의 특징
3. 발달 단계
4. 평가
5. 저서
2. 사회 심리발달이론의 특징
3. 발달 단계
4. 평가
5. 저서
본문내용
보여주며, 덕목의 스케쥴을 제시했다. 1968년에는 <자아정체감: 젊은이와 위기 Youth and Crisis> (1968)을 출간하였다. 아동들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계속되면서, 그는 "자아 정체감 위기(identity crisis)"라는 개념을 개발하였는데 "자아 정체감 위기(identity crisis)"는 자아 정체감의 성장과 함께 나타나는 불가피한 갈등이었다. 에릭슨은 정체성 형성의 역동성과 부정적인 정체성 형성 안에 표현된 젊은이의 소외에 대하여 탐구했다. 여기에서 그는 불안정한 다수는 소수(유대인, 흑인, 여성등)에게 그들 자신의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심리 안에 억압되고 거부된 성질을 투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호전적 비폭력의 기원에 대한 간디의 진실 Gandhi's Truth on the Origins of Militant Nonviolence〉(1969)은 심리사에 대한 또다른 시도였다. 1970년대에는 현대인의 윤리적정치적 문제들에 특별히 관심을 가졌으며, 이러한 자신의 견해를 논문집 〈생활사와 역사적 순간 Life History and the Historical Moment〉(1975)에서 밝혔다. 이 책에서 그는 정신분석을 역사학정치학철학신학과 연결했다. 후기 저작으로는 〈생을 마감하기 전에 The Life Cycle Completed:A Review〉(1982)〈노년기의 적극적인 삶 Vital Involvement in Old Age〉(1986)이 있다(김제한, 1998; 송명자, 1995; http://home.mokwon.ac.kr/~p1316/thesis/eri.html).
<<참 고 문 헌>>
김제한(1998). 발달심리학. 양서원.
구평회(2001). 교육학. 신수서원.
송길연ㆍ김수정ㆍ이지연ㆍ양돈규(2000).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Berk, L. E. (2000). Child Development(5th ed.). Boston: Allyn & Bacon
Friedman J., L.(1999). Identity's architect. A biography of Erik H. Erikson. Scribner.
Kotre, J. (1984). Outliving the self: Generativity and the interpretation of live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Miller, P. H. (1993). Theories of Developmetal Psychology(3rd ed.). NY: W. H. Freeman and Company.
Vaillant. G., E.(1977). Adaptation to Life. Little, Brown and Company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5.htm
http://home.mokwon.ac.kr/~p1316/thesis/eri.html
<<참 고 문 헌>>
김제한(1998). 발달심리학. 양서원.
구평회(2001). 교육학. 신수서원.
송길연ㆍ김수정ㆍ이지연ㆍ양돈규(2000).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Berk, L. E. (2000). Child Development(5th ed.). Boston: Allyn & Bacon
Friedman J., L.(1999). Identity's architect. A biography of Erik H. Erikson. Scribner.
Kotre, J. (1984). Outliving the self: Generativity and the interpretation of live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Miller, P. H. (1993). Theories of Developmetal Psychology(3rd ed.). NY: W. H. Freeman and Company.
Vaillant. G., E.(1977). Adaptation to Life. Little, Brown and Company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5.htm
http://home.mokwon.ac.kr/~p1316/thesis/eri.html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본성이론][인간성격이론][인간발달이론][인간행동의 심리사회학적 접근][인간행동이론에...
[인간발달][인간발달 영역][인간발달 과업][인간발달 연구 심리학자][인간발달심리학이론]인...
[인간발달과업][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청년기][중년기][노년기]인간발달과업 구성요소,...
[인간발달단계][태내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성인기][노년기]인간발달단계 태내기, 인...
[인간발달][인간발달 개념][인간발달 원리][인간발달 단계][인간발달단계에 따른 발달특성][...
인간발달 개념, 인간발달 원리, 인간발달 단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제] 인간발달 단계에 따른 원리에 대하여 설명. (인간발달의 개념, ...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영아발달의 이론 중 자신의 성장과 발달을 가장 잘 설명한다고 생각하는 이론은 무엇이고 왜 ...
[가정학과 B형] 영유아의 영양은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영유아의 정상적인 신...
주요한 아동발달이론과 이론의 쟁점을 설명하시고 하나의 이론을 정해 자신 또는 자녀의 성장...
영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의 특징을 요약하고 영아의 발달과 성장을 돕는 교...
[인간발달] 인간발달의 개념과 원리, 인간발달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