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수준의 개념
3. 평가 기준과 평가 요소
4. 심화 ․ 보충학습의 구성 내용과 유형 및 용어
5. 평가학습의 운영 방안
6. 맺음말
2.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수준의 개념
3. 평가 기준과 평가 요소
4. 심화 ․ 보충학습의 구성 내용과 유형 및 용어
5. 평가학습의 운영 방안
6. 맺음말
본문내용
교사 평가 등의 방법으로 평가
⑤ 정리확인하기
: 대단원의 학습 목표와 내용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차시 학습인 심화보충 학습을 위해 적절한 예습적 과제를 제시
(3) 기본학습과 심화보충학습을 연계한 평가학습의 교수학습과정과 수업안
(가) 선택과제 형 심화보충학습일 경우
1) 2-3-2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기본 학습 재지도)→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 하기→평가하기(결손 분류 및 심화보충 선택하기)→정리확인하기]
2) 대단원 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하기→평가하기 (결손 분류 및 심화보충 선택하기)→정리확인하기]
(나) 공통과제형 심화보충 학습일 경우
1) 2-3-2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기본 학습 재지도)→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 하기→평가하기(결손 분류와 피드백)→정리확인하기]
2) 대단원 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하기→평가하기 (결손분류와 피드백)→정리확인하기]
6. 맺음말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수준의 개념은 학년급별 차원, 교육과정 해설의 기본활동과 심화활동의 차원, 마당을 중심으로 한 대단원 중심의 심화보충학습 차원이다.
둘째, 평가기준은 양적 진술보다 질적 진술이, 그 기준에서는 짝수 척도보다 홀수척도가 권장된다.
셋째, 심화보충학습은 ‘선택과제형, 공통과제형, 혼합과제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동과제형보다는 공통과제형이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도를 고려할 때 타당한 용어이다.
넷째, 평가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⑤ 정리확인하기
: 대단원의 학습 목표와 내용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차시 학습인 심화보충 학습을 위해 적절한 예습적 과제를 제시
(3) 기본학습과 심화보충학습을 연계한 평가학습의 교수학습과정과 수업안
(가) 선택과제 형 심화보충학습일 경우
1) 2-3-2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기본 학습 재지도)→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 하기→평가하기(결손 분류 및 심화보충 선택하기)→정리확인하기]
2) 대단원 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하기→평가하기 (결손 분류 및 심화보충 선택하기)→정리확인하기]
(나) 공통과제형 심화보충 학습일 경우
1) 2-3-2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기본 학습 재지도)→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 하기→평가하기(결손 분류와 피드백)→정리확인하기]
2) 대단원 체제
[평가과제 안내하기→평가과제 해결방법 알기→평가과제 해결하기→평가하기 (결손분류와 피드백)→정리확인하기]
6. 맺음말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수준의 개념은 학년급별 차원, 교육과정 해설의 기본활동과 심화활동의 차원, 마당을 중심으로 한 대단원 중심의 심화보충학습 차원이다.
둘째, 평가기준은 양적 진술보다 질적 진술이, 그 기준에서는 짝수 척도보다 홀수척도가 권장된다.
셋째, 심화보충학습은 ‘선택과제형, 공통과제형, 혼합과제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동과제형보다는 공통과제형이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도를 고려할 때 타당한 용어이다.
넷째, 평가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환경교육의 개념, 성격, 목적과 환경교육의 교수학습유형과 교수학습방법, 현장체험환경교육...
[국어교과평가][국어교육평가][수행평가][교수학습평가]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과정과 국어...
구성주의수업이론(구성주의학습) 중요성과 교수학습원칙, 구성주의수업이론(구성주의학습) 주...
즐거운생활과(교육, 학습)의 기본 방향과 특징, 즐거운생활과(교육, 학습)의 목표와 내용, 즐...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목표와 기능,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수업원리, 도덕과...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의미와 성격,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
사회과(사회교육, 사회과학습)의 특성과 목표, 사회과(사회교육, 사회과학습)의 강조점과 교...
사회과(사회교육, 사회학습)의 정의, 사회과(사회교육, 사회학습)의 목표와 동향, 사회과(사...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목적과 성격,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영재교육, 과학과학습(교육, ...
[보육과정] 보육과정의 실제인 교수학습방법 -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매체
[아동과학지도] 과학교육에서 과정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영유아 과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을 ...
[영유아교수학습방법의 원리] 영유아교수학습방법 원리(자발성원리, 개별화 원리, 다양성 ...
유아교육과정3)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구성, 교수학습방법, 환...
[유아교육과정 공통]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