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목
2. 시험목적
3. 시험장치 및 기구
4. 이론
5. 시험방법 및 순서
6. 결과 및 계산
7. 토의 및 결론
8. 참고
2. 시험목적
3. 시험장치 및 기구
4. 이론
5. 시험방법 및 순서
6. 결과 및 계산
7. 토의 및 결론
8. 참고
본문내용
oil+Mould g
5900
5850
5750
Weight of Mould g
710
710
710
Weight of Wet Soil,, g
5190
5140
5040
Wet Unit , g/cm3
5.233
5.182
5.082
WATER CONTENT
Container No.
1
2
3
Weight of Wet Soil+Container g
34.69
33.53
39.91
Weight of Water g
1.16
1.62
2.85
Weight of Container g
21.40
19.97
22.10
Weight of Dry Soil g
12.13
11.94
14.96
Water Content, %
9.56
13.57
19.05
Dry Unit , g/cm3
4.776
4.563
4.269
* 는 2.6으로 가정
6.5 건조단위중량 - 함수비 그래프
- 최적함수비(OMC) : 18.6%
최대 건조 중량 : 16.89kN/㎥
※ 분홍색 그래프는 영공기 간극곡선. 는 2.60으로 추정
7. 토의 및 결론
- 다짐 곡선의 모양은 입도가 양호한 사질토일수록 날카롭고 세립토 일수록 완만하다. 입도가 양호하고 균등한 사질토는 곡선이 평평한 상태를 나타내고 최대치가 불분명하다.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클수록 최적 함수비는 작다.
- 이번 시험결과를 보고서는 이 시험의 목적인 최적함수비와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찾아낼 수가 없다. 시험회수 1회 때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회수까지 함수비가 증가함에 따른 건조단위중량값이 계속해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다짐곡선에서 대체로 건조단위중량은 특정한 함수비(최적함수비)에서 최대가 되며 그보다 작거나 큰 함수비에서는 건조단위중량이 작으므로 곡선의 형태가 위로 볼록해야 하는데 이번 시험에 사용된 시료의 경우는 물의 양을 잘 조절하며 실험을 실시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임의 적으로 최적 함수비를 찾았지만 그 값은 매우 부정확하다.
시료에 물을 섞고 그것을 골로루 섞어서 함수비가 고른 흙을 만들지 못했던 것도 오차의 운인이라고 생각된다. 처음에 실험을 시작할 때 더 시료의 양을 조금 더 늘려서 실험을 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점점 시료의 양이 줄어들어서 골고루 섞인 중앙의 시료가 아닌 가에 있는 흙을 사용한 것 또 한 오차의 원인이다. 이렇게 실험을 하다 보니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해서 담은 시료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지적 할 수 있다. 물의 양이 많이 차이가 나야 흙의 성질이 변하는 줄 알고 과도한 물을 사용한 것 역시 오차의 원인이다. 흙의 특성과 실험이 익숙지 않아서 실험에 대한 감이 없었던 것 그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
8. 참고
-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Braja M. Das BROOKS/COLE
- 토질시험법 이송, 김태훈 외 구미서관
- http://www.geoengineer.org/ Geoengineer Website
5900
5850
5750
Weight of Mould g
710
710
710
Weight of Wet Soil,, g
5190
5140
5040
Wet Unit , g/cm3
5.233
5.182
5.082
WATER CONTENT
Container No.
1
2
3
Weight of Wet Soil+Container g
34.69
33.53
39.91
Weight of Water g
1.16
1.62
2.85
Weight of Container g
21.40
19.97
22.10
Weight of Dry Soil g
12.13
11.94
14.96
Water Content, %
9.56
13.57
19.05
Dry Unit , g/cm3
4.776
4.563
4.269
* 는 2.6으로 가정
6.5 건조단위중량 - 함수비 그래프
- 최적함수비(OMC) : 18.6%
최대 건조 중량 : 16.89kN/㎥
※ 분홍색 그래프는 영공기 간극곡선. 는 2.60으로 추정
7. 토의 및 결론
- 다짐 곡선의 모양은 입도가 양호한 사질토일수록 날카롭고 세립토 일수록 완만하다. 입도가 양호하고 균등한 사질토는 곡선이 평평한 상태를 나타내고 최대치가 불분명하다.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클수록 최적 함수비는 작다.
- 이번 시험결과를 보고서는 이 시험의 목적인 최적함수비와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찾아낼 수가 없다. 시험회수 1회 때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회수까지 함수비가 증가함에 따른 건조단위중량값이 계속해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다짐곡선에서 대체로 건조단위중량은 특정한 함수비(최적함수비)에서 최대가 되며 그보다 작거나 큰 함수비에서는 건조단위중량이 작으므로 곡선의 형태가 위로 볼록해야 하는데 이번 시험에 사용된 시료의 경우는 물의 양을 잘 조절하며 실험을 실시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임의 적으로 최적 함수비를 찾았지만 그 값은 매우 부정확하다.
시료에 물을 섞고 그것을 골로루 섞어서 함수비가 고른 흙을 만들지 못했던 것도 오차의 운인이라고 생각된다. 처음에 실험을 시작할 때 더 시료의 양을 조금 더 늘려서 실험을 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점점 시료의 양이 줄어들어서 골고루 섞인 중앙의 시료가 아닌 가에 있는 흙을 사용한 것 또 한 오차의 원인이다. 이렇게 실험을 하다 보니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해서 담은 시료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지적 할 수 있다. 물의 양이 많이 차이가 나야 흙의 성질이 변하는 줄 알고 과도한 물을 사용한 것 역시 오차의 원인이다. 흙의 특성과 실험이 익숙지 않아서 실험에 대한 감이 없었던 것 그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
8. 참고
-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Braja M. Das BROOKS/COLE
- 토질시험법 이송, 김태훈 외 구미서관
- http://www.geoengineer.org/ Geoengineer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