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 고 서 목 차
1. 서 론
1 - 1 개 요
1 - 2 실 험 목 적
1 - 3 이 론 적 배 경
2. 본 론
2 - 1 실 험 과 정
2 - 2 실 험 결 과
3. 결론 및 도찰
1. 서 론
1 - 1 개 요
1 - 2 실 험 목 적
1 - 3 이 론 적 배 경
2. 본 론
2 - 1 실 험 과 정
2 - 2 실 험 결 과
3. 결론 및 도찰
본문내용
의 공학적 성질이 개선된다.
다짐은 다짐에너지와 지반의 입도 및 함수비에 영향을 받게된다. 또한 다짐의
효과는 건조단위중량으로 확인한다. 다짐시험은 에너지를 가하여 최대 건조
단위 중량과 이때의 최적함수비를 구하는 결과로 함수비 - 건조밀도 관계
곡선을 작도하여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를 구할 수 있다.
1 - 3. 이론적 배경
◎ 건조밀도를 다음과 같이 습윤밀도와 함수비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 건조밀도 = 습윤밀도 W1 = 몰드의 무게 W2 = 전체중량 V = 몰드의 체적
◎ 다짐곡선은 함수비를 횡축에 두고 각 함수비에 대한 건조밀도를 종축에
취하여 이들의 점을 곡선으로 연결시켜 함수비에 건조밀도곡선을 그린다.
◎ 다짐 에너지는 추를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흙에 에너지를 가해 다짐을
하게 되는데, 단위체적당 흙에 가해지는 에너지를 다짐에너지라 한다.
다짐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다짐층수 = 각 층당 다짐횟수 W = 추의 무게
V = 몰드의 체적 h = 추의 낙하수
◎ 영공기 간극곡선
만약 포화도가 100% 라면 S = 1 이므로 영공기간극곡선을 얻게된다.
모든 다짐곡선은 영공기간극곡선의 왼쪽에 그려지게 된다.
다짐곡선에서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일수록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커지고 최적함수비는 작아진다.
2. 본 론
2 - 1. 실험과정
1. 건조된 흙을 준비한 다음 흙을 판에 고르게 펴도록 한다.
그림. 1 - 1 그림. 1 - 2
2. 흙에 일정한 물을 혼합하는 작업을 하고 몰드에 거름종이를 깔도록 한다.
그림. 2 - 1 그림. 2 - 2
3. 몰드에 시료를 넣은 후 램머로 일정횟수로 다짐을 시행한다.
그림. 3 - 1 그림. 3 - 2
4. 몰드에서 칼라를 벗겨낸 후 윗 부분의 흙을 반듯이 잘라낸다.
그림. 4 - 1 그림. 4 - 2
5. 몰드의 무게를 확인하고 몰드의 중앙부분의 흙을 채취하여 무게를 확인하다.
그림. 5 - 1 그림. 5 - 2
6. 함수비를 일정하게 흙에 증가시켜 같은 작업을 반복 측정한다.
그림. 6 - 1 그림. 6 - 2
7. 시료를 건조 시킨 후 무게를 확인 후에 최적함수비와 흙의 단위중량을
구하도록 한다.
그림. 7 - 1 그림. 7 - 2
2 - 2 실험결과
1. 조 건
다짐방법
A
몰드무게
3.44KG
다짐층수
3
몰드직경
10CM
층별다짐횟수
25
몰드체적
981.748㎤
램머무게
2.5KG
2. 결과표
시험
횟수
몰드+
습윤
시료무게
(g)
습윤
시료
무게
(g)
습윤
단위중량
(g/cm3)
건조
단위중량
(g/cm3)
함수비측정
용기
무게
(g)
용기
+
습윤시료무게
(g)
용기
+
건조
시료무게
(g)
함수비
흙
무게
물
무게
1
5400
1960
1.996
1.7914
22.12
38.38
36.71
0.11446
14.59
1.67
2
5520
2080
2.119
1.8526
18.7
44.58
41.33
0.14361
22.63
3.25
3
5480
2040
2.078
1.7744
12.11
34.36
31.11
0.17105
19
3.25
◎ 건조 단위중량
(:습윤단위중량, :함수비)
◎ 영공기곡선
◎ 최대건조 단위중량
◎ 최적함수비
O.M.C = 14.36%
◎ 다짐 에너지
◎ 표준다짐실험결과
3. 결론 및 도찰
이번 실험은 KSF2321로 흙의 다짐시험이었다. 실험과정에서 흙의 함수비
를 조절하여 최적 함수비를 찾는 시험이었다. 총 3번의 실험결과 최대건조 단위중량 로 계산 되었고 최적함수비 O.M.C=14.36%로 계산되었다.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값을 2.7로 가정하지 않고 같은 시료의 비중실험을 영 공기 곡선을 그렸다면 더 정확한 시험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다짐은 다짐에너지와 지반의 입도 및 함수비에 영향을 받게된다. 또한 다짐의
효과는 건조단위중량으로 확인한다. 다짐시험은 에너지를 가하여 최대 건조
단위 중량과 이때의 최적함수비를 구하는 결과로 함수비 - 건조밀도 관계
곡선을 작도하여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를 구할 수 있다.
1 - 3. 이론적 배경
◎ 건조밀도를 다음과 같이 습윤밀도와 함수비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 건조밀도 = 습윤밀도 W1 = 몰드의 무게 W2 = 전체중량 V = 몰드의 체적
◎ 다짐곡선은 함수비를 횡축에 두고 각 함수비에 대한 건조밀도를 종축에
취하여 이들의 점을 곡선으로 연결시켜 함수비에 건조밀도곡선을 그린다.
◎ 다짐 에너지는 추를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흙에 에너지를 가해 다짐을
하게 되는데, 단위체적당 흙에 가해지는 에너지를 다짐에너지라 한다.
다짐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다짐층수 = 각 층당 다짐횟수 W = 추의 무게
V = 몰드의 체적 h = 추의 낙하수
◎ 영공기 간극곡선
만약 포화도가 100% 라면 S = 1 이므로 영공기간극곡선을 얻게된다.
모든 다짐곡선은 영공기간극곡선의 왼쪽에 그려지게 된다.
다짐곡선에서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일수록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커지고 최적함수비는 작아진다.
2. 본 론
2 - 1. 실험과정
1. 건조된 흙을 준비한 다음 흙을 판에 고르게 펴도록 한다.
그림. 1 - 1 그림. 1 - 2
2. 흙에 일정한 물을 혼합하는 작업을 하고 몰드에 거름종이를 깔도록 한다.
그림. 2 - 1 그림. 2 - 2
3. 몰드에 시료를 넣은 후 램머로 일정횟수로 다짐을 시행한다.
그림. 3 - 1 그림. 3 - 2
4. 몰드에서 칼라를 벗겨낸 후 윗 부분의 흙을 반듯이 잘라낸다.
그림. 4 - 1 그림. 4 - 2
5. 몰드의 무게를 확인하고 몰드의 중앙부분의 흙을 채취하여 무게를 확인하다.
그림. 5 - 1 그림. 5 - 2
6. 함수비를 일정하게 흙에 증가시켜 같은 작업을 반복 측정한다.
그림. 6 - 1 그림. 6 - 2
7. 시료를 건조 시킨 후 무게를 확인 후에 최적함수비와 흙의 단위중량을
구하도록 한다.
그림. 7 - 1 그림. 7 - 2
2 - 2 실험결과
1. 조 건
다짐방법
A
몰드무게
3.44KG
다짐층수
3
몰드직경
10CM
층별다짐횟수
25
몰드체적
981.748㎤
램머무게
2.5KG
2. 결과표
시험
횟수
몰드+
습윤
시료무게
(g)
습윤
시료
무게
(g)
습윤
단위중량
(g/cm3)
건조
단위중량
(g/cm3)
함수비측정
용기
무게
(g)
용기
+
습윤시료무게
(g)
용기
+
건조
시료무게
(g)
함수비
흙
무게
물
무게
1
5400
1960
1.996
1.7914
22.12
38.38
36.71
0.11446
14.59
1.67
2
5520
2080
2.119
1.8526
18.7
44.58
41.33
0.14361
22.63
3.25
3
5480
2040
2.078
1.7744
12.11
34.36
31.11
0.17105
19
3.25
◎ 건조 단위중량
(:습윤단위중량, :함수비)
◎ 영공기곡선
◎ 최대건조 단위중량
◎ 최적함수비
O.M.C = 14.36%
◎ 다짐 에너지
◎ 표준다짐실험결과
3. 결론 및 도찰
이번 실험은 KSF2321로 흙의 다짐시험이었다. 실험과정에서 흙의 함수비
를 조절하여 최적 함수비를 찾는 시험이었다. 총 3번의 실험결과 최대건조 단위중량 로 계산 되었고 최적함수비 O.M.C=14.36%로 계산되었다.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값을 2.7로 가정하지 않고 같은 시료의 비중실험을 영 공기 곡선을 그렸다면 더 정확한 시험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추천자료
`직렬 회로 실험` 실험보고서
[생물학실험]발효(생물학실험보고서)
알코올의 증류 이론 분석과 실험보고서 - 알코올의 증류 이론, 증류 실험
RLC 공진회로(예비보고서,실험보고서)
산화 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실험보고서 (대학화학 실험)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실험보고서 (대학화학 실험)
산화 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실험보고서 (대학화학 실험)
전자공학실험 LC발진기(하틀리,콜피츠) 실험보고서
[보고서] 모르타르 압축강도 실험보고서
[기초회로실험] floyd-옴의 법칙 실험보고서
[정역학 실험] 포사체 운동 실험보고서
[화학실험] 비중측정 실험보고서 (specific gravity test)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증기압축식 열펌프 실험보고서
영양학실험_GOT, GPT (간독성) 측정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