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성과 자질
1. 인성
2. 자질
Ⅲ. 교사의 인성적 자질
1. 자기혁신
2. 배려
3. 리더십
4. 교직에 대한 사명감
5. 사랑
Ⅳ. 현대사회의 올바른 스승에 대하여
Ⅴ. 결론
Ⅱ. 인성과 자질
1. 인성
2. 자질
Ⅲ. 교사의 인성적 자질
1. 자기혁신
2. 배려
3. 리더십
4. 교직에 대한 사명감
5. 사랑
Ⅳ. 현대사회의 올바른 스승에 대하여
Ⅴ. 결론
본문내용
. 이에 학부모와 학생들도 원하는 교사상이 다양하고 뚜렷해지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비인간화와 인간소외 현상에 따른 인성교육의 강조로 인해 교사에게 원하는 모습도 다양해짐 속에서 인성적인 측면이 가장 우선되고 있다. 그렇다면 교사들은 변화한 현대 사회 속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올바른 스승의 모습을 지녀야 할까?
김용조(1999;7-8)에 의하면 초등교육이 앞으로 지향해 가야할 방향에 대해 여섯 가지로 얘기한다.
첫째, 인간 존중과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시민 육성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아동의 인격을 존중하는 사랑의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력신장 교육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 능력을 고려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효과적인 생활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이병진.1994:305, 재인용)
다섯째, 단위 학교의 자율적인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학교의 자율의지가 실천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다양한 교육 자료가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이 뿐 아니라 올바른 스승에 대한 모습은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한 것에서 비추어 우리가 지녀야할 모습은 아래와 같다.
첫째, 인성적 덕목을 길러 바른 교사 존경받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좀 더 전문직으로서 확보된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다.
셋째, 동료 교사간의 협력과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상,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어야 한다.
다섯째, 언제나 아이들이 사랑을 잊지 않게 함께 살아간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인 모습은 정보 산업 사회로의 발전이다. 이 발전이 우리 학교 교육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첨단 정보화 기기들의 교육과의 접목일 것이다. 이는 정보화 기술을 갖춘 선생님의 자질을 요구하며 이는 21세기에 순행하는 능력 있는 교사로서의 발돋움일 것이다.
Ⅴ. 결론
“카르페 디엠”
이 말은 유명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해준 말로써, '현재를 즐기자(seize the day)', '삶을 즐겨라'로 번역되는 라틴어(語)이다.
이처럼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게 해주고, 전통과 규율에 도전하는 청소년들의 자유정신을 상징하는 말로 쓰였다.
사치나 향락에 빠져 인생을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리 어렵고 힘든 일상이라 할지라도 결코 좌절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주어진 여건에 만족하면서 즐겁고 긍정적인 자세로 살아간다는 뜻으로 이 한마디에는 선생님의 아이들을 향한 기존의 것과는 다른 시각, 다른 세상으로의 인도와 학생들에 대한 사랑의 정열이 녹아 있다.
이 영화를 처음 접했을 때 나 역시 존경하는 선생님이 계셨기 때문에 그 스승에 대한 존경과 감동을 그대로 느낄 수가 있었다. 하지만 또한 그렇지 못한 선생님들에 대해 갖고 있던 불신감으로 인해 영화 속의 키팅 선생님은 정말 완벽하며 비교된다고 느껴지기 까지 했다. 이러한 교육영화를 예비교사가 된 후에 다시 한 번 보았을 때는 문득 겁이 나기도 했다. ‘내가 과연 저런 선생님이 될 수 있을까?’, ‘아이들은 나의 어떤 면에 감화 받아 변화하고 날 존경할 수 있을까?’
준비하는 자세로 본 선생님의 인성적 자질은 아래와 같다.
1. 자기혁신 2. 배려 3. 리더십 4. 교직에 대한 사명감 5. 사랑
또한 현대 사회의 올바른 스승은 첫째, 인성적 덕목을 길러 바른 교사 존경받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좀 더 전문직으로서 확보된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다. 셋째, 동료 교사간의 협력과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상,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어야 한다. 다섯째, 언제나 아이들이 사랑을 잊지 않게 함께 살아가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변화하고 도전하는 교사가 아름답다는 것을 잊지 않고, 되돌아보는 자세 또한 교사생활에서 중요하다. 이에 교사는 발전할 수 있고 아이들과 학부모와 함께 멋진 교육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울산에 살고 있는 학부모의 한겨레 여론칼럼에 실린 글을 다시 한 번 새겨본다.
다른 걸 바라는 게 아니다. 아이들을 내 자식처럼 사랑하고 아이들을 올바르게 위할 줄 아는 인성을 가진 교사가 기초교육만 바르게 해 주면 된다. www.hani.co.kr/section-001041000/2001/10/001041000200110172148703.html(2006.6.3)
參考文獻
김종서 외(1990), 교사론 “교육의 자질”, 서울, 교육과학사
김용조(1999), 초등교사의 인성적 자질에 관한 연구 ,論文集 (THESIS COLLECTION)
김용조(2001), 초등학부모가 본 교사의 인성적 자질 , 論文集 (THESIS COLLECTION)
심진구(1973), 한국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 인천교대논문집 8집.
양익홍(1998), 교사의 바람직한 인성과 정신건강 ,인문과학논집 (Journal of Cultural studies)
정혜영(2003), 초등교육의 목표 내용 교사 자질에 관한 인식 연구, 교육과학연구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고교생광장(2005.6.9), from www.yeongnam.co.kr/Pdf/2005/06/09/150101-0906200599
9c.pdf
교사의 자질, from http://rina98.new21.net/edu/teacher/s3.htm
교사의 바람직한 자질 , from http://100.naver.com/100.nhn?docid=773037
중고생 절반 "선생님 존경심 낮아졌다"(2003.05.13),from www.hani.co.kr/section-005100006/2003/05/005100006200305131101532.html
초등교사 '자격증보다 인성' 더 중요(2001.10.17), from www.hani.co.kr/section-0010410
00/2001/10/001041000200110172148703.html
사회 전반적으로 비인간화와 인간소외 현상에 따른 인성교육의 강조로 인해 교사에게 원하는 모습도 다양해짐 속에서 인성적인 측면이 가장 우선되고 있다. 그렇다면 교사들은 변화한 현대 사회 속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올바른 스승의 모습을 지녀야 할까?
김용조(1999;7-8)에 의하면 초등교육이 앞으로 지향해 가야할 방향에 대해 여섯 가지로 얘기한다.
첫째, 인간 존중과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시민 육성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아동의 인격을 존중하는 사랑의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력신장 교육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 능력을 고려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효과적인 생활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이병진.1994:305, 재인용)
다섯째, 단위 학교의 자율적인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학교의 자율의지가 실천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다양한 교육 자료가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이 뿐 아니라 올바른 스승에 대한 모습은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한 것에서 비추어 우리가 지녀야할 모습은 아래와 같다.
첫째, 인성적 덕목을 길러 바른 교사 존경받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좀 더 전문직으로서 확보된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다.
셋째, 동료 교사간의 협력과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상,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어야 한다.
다섯째, 언제나 아이들이 사랑을 잊지 않게 함께 살아간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인 모습은 정보 산업 사회로의 발전이다. 이 발전이 우리 학교 교육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첨단 정보화 기기들의 교육과의 접목일 것이다. 이는 정보화 기술을 갖춘 선생님의 자질을 요구하며 이는 21세기에 순행하는 능력 있는 교사로서의 발돋움일 것이다.
Ⅴ. 결론
“카르페 디엠”
이 말은 유명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해준 말로써, '현재를 즐기자(seize the day)', '삶을 즐겨라'로 번역되는 라틴어(語)이다.
이처럼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게 해주고, 전통과 규율에 도전하는 청소년들의 자유정신을 상징하는 말로 쓰였다.
사치나 향락에 빠져 인생을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리 어렵고 힘든 일상이라 할지라도 결코 좌절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주어진 여건에 만족하면서 즐겁고 긍정적인 자세로 살아간다는 뜻으로 이 한마디에는 선생님의 아이들을 향한 기존의 것과는 다른 시각, 다른 세상으로의 인도와 학생들에 대한 사랑의 정열이 녹아 있다.
이 영화를 처음 접했을 때 나 역시 존경하는 선생님이 계셨기 때문에 그 스승에 대한 존경과 감동을 그대로 느낄 수가 있었다. 하지만 또한 그렇지 못한 선생님들에 대해 갖고 있던 불신감으로 인해 영화 속의 키팅 선생님은 정말 완벽하며 비교된다고 느껴지기 까지 했다. 이러한 교육영화를 예비교사가 된 후에 다시 한 번 보았을 때는 문득 겁이 나기도 했다. ‘내가 과연 저런 선생님이 될 수 있을까?’, ‘아이들은 나의 어떤 면에 감화 받아 변화하고 날 존경할 수 있을까?’
준비하는 자세로 본 선생님의 인성적 자질은 아래와 같다.
1. 자기혁신 2. 배려 3. 리더십 4. 교직에 대한 사명감 5. 사랑
또한 현대 사회의 올바른 스승은 첫째, 인성적 덕목을 길러 바른 교사 존경받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좀 더 전문직으로서 확보된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다. 셋째, 동료 교사간의 협력과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상,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어야 한다. 다섯째, 언제나 아이들이 사랑을 잊지 않게 함께 살아가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변화하고 도전하는 교사가 아름답다는 것을 잊지 않고, 되돌아보는 자세 또한 교사생활에서 중요하다. 이에 교사는 발전할 수 있고 아이들과 학부모와 함께 멋진 교육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울산에 살고 있는 학부모의 한겨레 여론칼럼에 실린 글을 다시 한 번 새겨본다.
다른 걸 바라는 게 아니다. 아이들을 내 자식처럼 사랑하고 아이들을 올바르게 위할 줄 아는 인성을 가진 교사가 기초교육만 바르게 해 주면 된다. www.hani.co.kr/section-001041000/2001/10/001041000200110172148703.html(2006.6.3)
參考文獻
김종서 외(1990), 교사론 “교육의 자질”, 서울, 교육과학사
김용조(1999), 초등교사의 인성적 자질에 관한 연구 ,論文集 (THESIS COLLECTION)
김용조(2001), 초등학부모가 본 교사의 인성적 자질 , 論文集 (THESIS COLLECTION)
심진구(1973), 한국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 인천교대논문집 8집.
양익홍(1998), 교사의 바람직한 인성과 정신건강 ,인문과학논집 (Journal of Cultural studies)
정혜영(2003), 초등교육의 목표 내용 교사 자질에 관한 인식 연구, 교육과학연구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고교생광장(2005.6.9), from www.yeongnam.co.kr/Pdf/2005/06/09/150101-0906200599
9c.pdf
교사의 자질, from http://rina98.new21.net/edu/teacher/s3.htm
교사의 바람직한 자질 , from http://100.naver.com/100.nhn?docid=773037
중고생 절반 "선생님 존경심 낮아졌다"(2003.05.13),from www.hani.co.kr/section-005100006/2003/05/005100006200305131101532.html
초등교사 '자격증보다 인성' 더 중요(2001.10.17), from www.hani.co.kr/section-0010410
00/2001/10/0010410002001101721487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