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과 기업가정신 (competition and entrepreneurship)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커즈너 세계의 이해를 위한 예비적 논의
1. 오스트리아학파의 주관주의
2. 신고전학파 세계의 가격이론 및 그 비판
2.1 균형경제학, 기업가 정신 및 경쟁
2.2 경쟁에 대한 잘못된 이해
3. 하이에크의 문제의식 및 지식분업론
3.1 가격기구의 정보전달 기능의 분석사례
4. 미제스의 인간행동론

II. 커즈너의 경쟁과 기업가정신
1. 시장과정의 의미
2. 시장과정에서의 경쟁의 의미
3. 시장과정에서의 기업가와 기업가 정신
4. 생산자-기업가와 시장과정
5. 자원소유자(자본가)와 기업가
5.1 소유권과 기업가정신
6. 기업가적 정신과 지식
6.2 문헌에 나타난 기업가정신과의 비교

III. 기업성공의 사례 (이건희와 리아이오카)
1. 삼성의 성공사례
1.1 신경영의 성공요인
2. 란체스터의 법칙: 강자와 약자의 경영전략
2.1 국지전 vs 그룹전
2.1.1 국지전(1:1로 맞붙는)
2.1.2 Group전 (다수 대 다수가 맞붙는)
2.2 랜체스터 법칙의 응용
3. 리아이오카의 클라이슬러 회생 전략(1980년대 초)

<참고자료> 한국경제 시론

본문내용

현대자동차의 전략, P&G의 전략 모두 전선(戰線)을 넓히는 전략을 구사
- 약자 전략의 예시: 1980년대의 chrysler의 이아이오카의 경영전략, 아마존.com, 교보자동차의 진입전략
3. 리아이오카의 클라이슬러 회생 전략(1980년대 초)
- 손익분기점을 줄이기 위해(연간 250만대에서 100만대로의) 과감한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노조의 반발을 무마시키기 위해 고통분담차원에서 자신의 연봉을 1$로 삭감했다. 점심때 노조지도자와 같이 햄버거를 먹으며, 이를 time지에 실었다.
- 손익분기점을 낮추었기 때문에 ‘신차개발능력’도 그만큼 위축되었다. 그는 승용차로 GM, Ford와 정면 승부하지 않았다. 틈새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개발된 Caravan이 공전의 대성공을 이루었다. Caravan은 fusion카의 효시를 이루었다.
- Caravan의 성공으로 회생의 발판을 마련한 그는 K-car라는 보급형 승용차(배기량 2.2liter)를 개발하고 이를 “American Revolution”으로 명명해 미국인의 감성에 다가갔다. 보통사람이었다면 “Chrysler Revolution”이라고 했을 것이다.
- 그는 이미지 위주의 자동차 광고를 거부하고, 자신이 직접 광고에 출연해 “Buy Chrysler ”가 아닌 “Buy America”를 호소했다. 그는 깃을 세운 trench 코트를 잘 입는다. 그가 CF에서 잘 쓰던 말은 “Not the biggest but the best”였다.
- 그는 tank division을 활성화해 군수부분에서 많은 이익을 냈으며, 또 많은 주(州)정부를 설득해 경찰순찰차(patrol car)를 chrysler차로 쓰도록 했다. 그리고 그는 “회계의 귀재”였다. (회계분식은 하지 않았지만) 이익이 크게 나도록 해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했다.
- 그는 예정기간을 훨씬 단축해 중앙정부가 지불 보증한 금융권의 부채를 다 갚음으로써 회사를 정상화시켰다.
<참고자료> 한국경제 시론
재벌개혁은 시장규율로
노무현 당선자는 지난 14일 전경련 초청 ‘새정부 경제정책 방향’ 강연에서 규제는 완화하되 재벌개혁 과제는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자신의 구상을 재차 강조했다. 노당선자는 재벌개혁의 논거로, 외형을 부풀리고 지배력을 부당하게 행사하는 재벌의 건전치 못한 행태가 완전히 불식되지 않았고, 세금 없는 재벌의 대물림 관행이 일반화되었으며, 지나친 경제력 집중이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있음을 적시하였다.
노 당선자의 이러한 현실인식은 우리나라 재벌이 가진 문제점에 비춰 볼 때 분명 설득력이 있다. 따라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정부의 재벌개혁 정책은 나름대로의 명분과 당위를 갖고 있다. 그러나 명분과 당위만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정책도 ‘사전적 의미’의 명분과 당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정책이 당위에 치우칠수록 이상주의에 경도되어 반시장적 정책발상과 행동이 횡행했고, 정책의지가 강할수록 정책오만에 쉽게 빠졌던 것이 우리의 경험이었다. 새정부도 이점에 유의해야 한다.
새정부 재벌개혁의 핵심은, 정부 주도로 재벌의 특성을 개조함으로써 바람직한 시장질서를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정책오만이다. 우리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정부의 사전적 의도와 계획에 따른 시장의 조직적 관리는 더 이상 불가능하다. 더욱이 국가권력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국책은행을 사금고화하고 민간기업이 지렛대로 이용돼 분식회계가 조장된 상황에서 재벌개혁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따라서 재벌에 메스를 가하기 앞서 법치주의를 확립하고 정부와 시장의 관계를 정상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시장규율이 작동될 때 비로소 재벌은 합리적인 경제계산과 기대형성을 통해 스스로 자율적 변신을 꾀하게 된다.
새정부 재벌정책의 기저에는 ‘오너경영’에 대한 강한 불신이 자리잡고 있다. 오너가 ‘일반투자자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슷한 경영특성을 가진 재벌들이 IMF외환위기를 전후해 ‘생존과 도산’의 엇갈린 길을 가게된 이유는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지난 5년간 30대 기업집단의 40%가 해체될 만큼 재벌의 판도변화는 지각변동 그 자체였다. 대마불사 신화는 사라졌고 시장과정을 통해 '수익창출능력'을 기준으로 재벌의 옥석이 가려졌다. 시장의 생존게임에서 살아 남은 재벌은 효율이 높아서였지 변칙과 반칙이 능해서는 아니였다. 효율 측면에서 오너경영과 전문경영의 구분은 의미를 갖기 어렵다. 또한 경제력 집중은 효율 추구의 결과일 수 있다. 효율에 근거하지 않은 ‘부당한’ 경제력집중만이 문제일 뿐이다.
새정부는 추가 입법을 통하지 않고도 재벌개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일부 재벌의 변칙적인 부의 세습은 엄밀한 의미에서 ‘탈법’이라기 보다는 ‘법망’을 피한 것이다. 따라서 현행 유형별 포괄주의하에서도 법망을 촘촘히 하고 금융감독을 강화함으로써 변칙적인 부의 세습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윤리경영도 기업경쟁력의 한 요인이기 때문에 일정부분 시장의 처벌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친시장적이다. 그리고 집단적 피해구제를 위한 주주대표소송제와 허위공시 등을 처벌하는 증권거래법이 정비되어 있는 상황에서, 집단소송제 도입의 법익(法益)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집단소송제로 기업경영이 위축되면 역설적으로 소액주주에게 손해를 끼치게 된다.
금융계열분리청구제도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계열분리를 청구하려면, 금융과 산업간의 이종결합이 경쟁을 저해한다는 명백한 증거를 포착하고 이를 입증해야 하나 이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룹 부당지원으로 인한 금융계열사의 부실요인이 포착되면 정부개입 이전에 ‘시장의 제재’를 먼저 받게 된다. 계열분리제는 빅딜의 ‘역발상’적 측면이 강하다.
우리가 시장을 신뢰해야 하는 것은, 시장이 최선이 아니라 차선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시장에는 정부 같은 ‘조직’은 없지만 서로의 이해가 부딪치는 치열한 곳이기에 질서정연한 시장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시장규율은 생존을 위해 스스로 변하지 않는 기업을 예외 없이 속아낸다. 재벌개혁이 시장규율에 맡겨져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10.0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