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 연구도구
-낙인의 지각정도
Link(1985)가 개발한 "Devaluation & Discrimination"를 곽의향(2000)이 번안한 설문지
-낙인의 강화요인, 부정적 영향, 낙인극복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에 관한 설문지
Otto와 Charles(1989)가 개발한 설문지를 곽의향(2000)이 번안한 설문지
-설문지 내용
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11문항)
조사대상자의 성별, 나이, 교육정도, 결혼상태, 직업, 가족형태, 직업 등으로 구성되었다.
②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낙인에 관한 문항(14문항)
정신질환자가 어느 정도 낙인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한 질문이다.
③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사회적 낙인의 영향에 관한 사항(7문항)
정신질환자의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사회적 낙인이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이다.
④ 사회적 낙인을 갖게 하는 요인에 관한 문항(8문항)
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이다.
⑤ 낙인극복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에 관한 문항(7문항)
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는데 있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이다.
-낙인의 지각정도
Link(1985)가 개발한 "Devaluation & Discrimination"를 곽의향(2000)이 번안한 설문지
-낙인의 강화요인, 부정적 영향, 낙인극복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에 관한 설문지
Otto와 Charles(1989)가 개발한 설문지를 곽의향(2000)이 번안한 설문지
-설문지 내용
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11문항)
조사대상자의 성별, 나이, 교육정도, 결혼상태, 직업, 가족형태, 직업 등으로 구성되었다.
②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낙인에 관한 문항(14문항)
정신질환자가 어느 정도 낙인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한 질문이다.
③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사회적 낙인의 영향에 관한 사항(7문항)
정신질환자의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사회적 낙인이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이다.
④ 사회적 낙인을 갖게 하는 요인에 관한 문항(8문항)
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이다.
⑤ 낙인극복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에 관한 문항(7문항)
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는데 있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