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胡’란 무엇인가?
Ⅲ. 化粧文化로 본 당대 胡風化
Ⅳ. 문화와 민족
Ⅱ. ‘胡’란 무엇인가?
Ⅲ. 化粧文化로 본 당대 胡風化
Ⅳ. 문화와 민족
본문내용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단일민족 or 단일민족문화를 너무나도 자랑스럽게 여기는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민족문화의 사전적 의미는 “한 민족이 자체의 역사 속에서 발전시켜 온 고유한문화”이다.) 물론 우리 고유의 문화는 자랑스럽고 우리가 보존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집단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완전한 고유의 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또한 ‘단일민족이 존재할까?’라는 의문도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고유한 우리의 문화들도 실은 다른 집단의 영향을 받은 것들이다.(아주 미약한 영향이라도) 다른 집단의 영향을 받고 창조된 새로운 문화가 정착되면 그것이 또한 고유의 문화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고유한 문화를 지켜야 한다고 해서 폐쇄적인 막혀있는 문화가 아닌, 열려있는 문화로의 변화가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자료 -
전혜숙.「唐代 胡風化粧文化 硏究」.『韓服文化』한복문화학회. 제 7권 2호. 2004
김영환.「5胡16國時代 後趙 통치자 石虎의 文化變容 硏究」.『중국학보』중국학회.
제 51호. 2005.
박춘순. 임영주.「匈奴의 服飾文化 小考」.『중국사연구』. 중국사학회. 2003
- 참고자료 -
전혜숙.「唐代 胡風化粧文化 硏究」.『韓服文化』한복문화학회. 제 7권 2호. 2004
김영환.「5胡16國時代 後趙 통치자 石虎의 文化變容 硏究」.『중국학보』중국학회.
제 51호. 2005.
박춘순. 임영주.「匈奴의 服飾文化 小考」.『중국사연구』. 중국사학회. 2003
추천자료
삼국지 위서동이전 해석본
박제가의 미의식과 시론
미야자키 이치사다 옹정제
<최기호 교수와 어원을 찾아 떠나는 세계문화기행>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
[몽고][몽골][문화]몽고(몽골)의 약력, 몽고(몽골)의 기본정보, 몽고(몽골)의 문화, 몽고(몽...
[국문학] 박씨전(朴氏傳) 작품 분석
채동번의 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01회, 02회
채동번의 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34회 35회 36회
채동번의 역사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37회 38회 39회
채동번의 서한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69회 70회 71회 72회 한문 및 한글번역 92페이지
채동번의 당나라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40회 41회 42회 한문 및 한글번역 76 페이지
채동번의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43회 44회 45회 한문 및 한글번역 76페이지
채동번의 당나라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58회 59회 60회 한문 및 한글번역 80페이지
채동번의 당나라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85회 86회 87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