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목적
2. 실험 기구
3. 배경 이론
4. 결과
5. discussion
6. reference
2. 실험 기구
3. 배경 이론
4. 결과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서 평형을 이루게 되고, 흰색의 컵은 흰색 자체가 가시광선내의 대부분 을 반사하여 처음부터 흡수하는 빛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 다. 평형상태에서 검은 컵과 흰 컵이 방출하고 있는 복사에너지의 양은 각각이 흡수하고 있는 에너 지와 같으므로 평형 온도에서의 각각의 복사에너지를 계산하면 두 컵의 알베도 차이를 알 수 있다. 스테판-볼츠만 법칙에 의해,
흰 컵 : F = εσT = εσ*290
검은 컵 : F = εσT = εσ*293
ε : 방출률(emissivity)
σ : 스테판-볼츠만 상수
이 실험이 오차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평형상태에서 흰 컵은 검은 컵의 약 96%의 복사에너지를 방출하 고 있으므로 약 4%정도 반사도가 높다고 할 수 있고 이 차이가 두 컵의 온도 변화 기울기의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원인이다.
표 면
알베도(%)
신적설
75~95
구름(두꺼울 때)
60~90
구름(얇을 때)
30~50
얼음
30~40
모래
15~45
지표와 대기
30
초지
10~30
경작지
5~20
수면
10
삼림
3~10
지구의 각종 알베도에 대해 좀더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알베도에 따라서 같은 지역에서도 그 지형과 식생 등의 상태에 따라 온도가 차이 날 수 있다. 이러한 알베도는 어떤 지역의 온도 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한 요인이다.
< Reference >
1. 안전정, 기초대기과학, 이동인역,1999, pp.81~107.
2. 김영섭, 대기광학과 복사학, 2002 pp.54~56.
3. C.DONALD AHRENS, 대기환경과학, 민경덕역2005, pp.51~54.
흰 컵 : F = εσT = εσ*290
검은 컵 : F = εσT = εσ*293
ε : 방출률(emissivity)
σ : 스테판-볼츠만 상수
이 실험이 오차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평형상태에서 흰 컵은 검은 컵의 약 96%의 복사에너지를 방출하 고 있으므로 약 4%정도 반사도가 높다고 할 수 있고 이 차이가 두 컵의 온도 변화 기울기의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원인이다.
표 면
알베도(%)
신적설
75~95
구름(두꺼울 때)
60~90
구름(얇을 때)
30~50
얼음
30~40
모래
15~45
지표와 대기
30
초지
10~30
경작지
5~20
수면
10
삼림
3~10
지구의 각종 알베도에 대해 좀더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알베도에 따라서 같은 지역에서도 그 지형과 식생 등의 상태에 따라 온도가 차이 날 수 있다. 이러한 알베도는 어떤 지역의 온도 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한 요인이다.
< Reference >
1. 안전정, 기초대기과학, 이동인역,1999, pp.81~107.
2. 김영섭, 대기광학과 복사학, 2002 pp.54~56.
3. C.DONALD AHRENS, 대기환경과학, 민경덕역2005, pp.51~54.
추천자료
물리학-역학적 에너지 실험
꿈의 대체 에너지 - 하이브레이트
[A+]역학적 에너지 보존 예비리포트 (작용-반작용)
수소에너지
깁스에너지 응용에 관한 고찰
[생물과학A]우리주변의 습지생태계를 구성하는 먹이사슬과 에너지 흐름
제16장엔트로피와자유에너지4
용수철 진자의 에너지 보존
[에너지드링크]음료 속 카페인 정량
[일반물리학] 용수철 진자에 의한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
(예비) 전기에너지에 의한 열의 일당량 측정 - 전류의 열작용으로 발생된 열량을 측정하여 ...
[인간행동과사회환경]분석심리학이론 - Jung의 생애, 정신에너지(리비도), 성격체제와 성격발...
[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간호 (에너지 보존 피부간호 약물투여 발달과업 가족지지와 참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