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회의 구성원까지 민주정치를 위한 덕목인 리더십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민은 정치의 대상이 아니라 정치의 주체라는 참여의식을 가져야 한다. 국민 개개인은 정치를 정치인에게 맡겨놓은 채 방관하거나 무관심에서 벗어나 유연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특히 4장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인상 깊었다. 또한 5장의 민주주의의 핵심원리를 통하여 나를 반성하게 되기도 하였다. 결국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보와 타협, 책임과 참여가 보편적일지 몰라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책에서 말하는 사회세력의 갈등은 민주화 과정의 당연한 귀결이다. 시장의 논리 정치권력과 언론의 관계, 에서 비롯되는 갈등은 앞으로 우리 정치가 해결할 과제인 것 같다.
추천자료
★ 컴퓨터 네트워크의 정치적 이용에 관한 고찰 - 전자민주주의 ★
노무현 대통령의 개혁 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
[시민사회]시민사회의 성립과 변화 및 과제 분석(시민사회의 개념, 시민사회의 일반적 측면, ...
[중간 기말 학교시험*리포트 대비]한국민주주의의 과제와 저해요인에 관하여
(독후감) 민중에서 시민으로-한국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민주화운동, 민주화 항쟁, 발생배경, 계기, 전개과정, 역사, 성격,...
중동 민주화 운동, 원인, 민주화 운동 현황, 결과, 유가상승, 북한의 영향, 북한의 민주화 변...
유럽연합(EU)를 통해 본 민주주의
우리는 왜 사회적 관계, 특히 공동체적 삶을 고민해야 하는가, 그 철학적 근거를 서술하고, ...
[정치학] 한국 정치에서의 여론이 한국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시민사회운동][시민]시민사회운동의 개념, 시민사회운동의 특징, 시민사회운동의 기능, 시민...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중항쟁)의 의의,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
6월민주항쟁(6월민주화운동)의 정의, 중요성, 6월민주항쟁(6월민주화운동)의 과정, 6월민주항...
[지역사회복지론][풀뿌리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