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익광고(共益廣告)에 나타난 폭력성(暴力性)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가. 분석대상의 선택

나. 분석대상의 개관적 정의

다. 분석 단위의 선정

라. 분석유목표의 작성

마. 분석 결과 보고

본문내용

의 경우 담뱃불로 지도를 짓이긴 내용 등의 다소 자극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질서유지에 관한 공익광고에서도 폭력성이 엿보였다. 마치 질서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있는 듯한 강압적인 문구들이 많이 있었다. 정책 광고에서도 많은 폭력성이 엿보였는데 이것 또한 강압적인 요구들과 그 내용을 지키지 않았을때의 피해를 예고하는 등의 위협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인쇄광고의 배경 사진들은 생각보다 많은 폭력성을 띠지 않았으며 오히려 광고문구가 더 자극적인 것이 많았다. 그 문구들은 경각심을 일으키기 쉽게끔 커다랗게 작성되어 그 폭력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전체적인 통계를 통하여 수용자들은 공익광고의 1/3정도는 폭력적이라고 느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폭력성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여 최근의 공익광고들은 직접적이고 충격적인 문구나 영상보다는 조금 더 간접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수용자들에게 공익을 깨우쳐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공익광고의 목적 상 수용자에게 어느정도의 경각심을 일깨워주어야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문제이지만, 경각심과 위협감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이므로 광고주들은 이것을 주의하여 더욱 공공의 이익에 봉사할 수 있었으면 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0.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