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시청자의 PPL에 대한 태도 분석-간접광고(PPL)이란,PPL의 효과,성공적인 PPL 사례,부정적인 PPL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V 시청자의 PPL에 대한 태도 분석-간접광고(PPL)이란,PPL의 효과,성공적인 PPL 사례,부정적인 PPL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것이 WOC 준비를 위한 훈련에서도 이재하(이승기 분)은 입에서 도너츠를 놓지 않았고, 항아(하지원 분)가 남한왕실에 내려왔을 때에도 대접음식으로 도너츠가 나왔을 정도니까 말이다.
게다가 '더킹 투하츠'는 드라마를 후원하는 도너츠 브랜드와 유사한 발음의 제목 때문에 방송 내내 누리꾼들에 시달려야 했고 심지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46조(광고효과의 제한) 제1항을 근거로 주의 치를 받기까지 했다.
#유령
드라마 '유령'에서는 변상우(임지규)가 회식 자리에서 짝사랑 하고 있는 유강미(이연희 분)의 얼굴을 보고는 "왜 이렇게 피부가 상하셨냐. 내 마음이 아프다"며 속마음을 드러낸 데서 PPL의 복선을 던졌다. 이어진 장면에서 유강미는 자신의 책상 위에 꽃다발과 함께 화장품을 선물 받았는데 이 화장품 브랜드는 극 중 유강미를 연기하는 이연희가 광고하는 제품이었다. 결국 '유령'은 극 중간의 개그코드로 PPL 숙제를 풀어내려 했지만 안타깝게도 실패를 맛 본채 누리꾼들의 원성을 들어야 했다.
3.결론
라디오에서 광고를 시작하고부터 지금까지 수용자 연구는 변화에 변화를 거듭해왔다. 과거 수용자는 그저 수동적인 존재로 매스 미디어에 의해 지배당하는 일방적인 입장이었지만 시간에 지남에 따라서 이러한 시각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수용자는 더 이상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매스 미디어에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자신만의 생각과 입장에서 해석하며 나아가 이제는 미디어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자로서 존재하고 있다.
간접광고를 허용하도록 하는 법개정 이후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PPL이 도입되면서 PPL은 방송 광고 시장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법 개정 전부터 뜨거운 감자였던 PPL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시청자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느냐’에 대해서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졌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PL에 대한 시청자들의 태도는 개개인에 따라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모습으로 나뉘어 나타나며, PPL을 이용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똑같은 PPL을 접하여도 어떤 사람은 제품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제품에 대한 안 좋은 이미지가 생길 수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인 PPL 자체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이는 PPL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어떤 이는 패션 트렌드를 이해하기도 한다. PPL에 대한 다양한 반응 또는 이용 방식의 차이를 통해서 우리는 시청자들이 그들의 편의에 따라서 PPL을 선택적으로 이용한다는 것과 그들이 능동적인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 Steorts, E. (1987).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Master’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2. 이시훈표세동 (2009). 게임내 PPL제품의 브랜드 친숙도와 PPL의 형식적 특징이 브랜드 회상과 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9권 2호.
3. Brehm, S. S., & Brehm, J. W. (1981). Psychological Reactance: A Theory of Freedom and Control. New York: Academic Press.
4. Lee, G., & Lee, W. J. (2009). Information privacy and reactance in online profiling.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4).
5. 이용재(2009). 텔레비전 드라마에 노출되는 간접광고에 대한 시청사의 태도연구. Speech & Communication, Vol.12
6. 신지애 (2012). 『TV드라마 PPL(Product Placemen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지상파 간접광고(PPL), 시청자 3명중 1명이 브랜드 기억. (2012. 2). 『KOBACO 뉴스』, vol.1.
8. 이용재 (2008). 수용자의 TV 간접광고 활용에 관한 연구. 『언론학 연구』, 제 12집.
9. [TREND DATA] PPL 전성시대. (2011.10.06). 『광고정보센터 매거진』.
10. 韓國言論學報, 55권 6호, 2011년 12월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