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행동]SK텔레콤 '생각대로 T' 광고분석(A+리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비자행동]SK텔레콤 '생각대로 T' 광고분석(A+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 브랜드 개요

2. 현재 방영하고 있는 생각대로 T 광고 분석
1) 생각대로 T - 장동건
2) 생각대로 T - 네이버
3) 생각대로 T - 회사원
4) 생각대로 T - 드림리본 런칭
5) 생각대로 T - 온가족 할인

3. 종합적 평가

본문내용

ive Respondse Model) 등 여러 가지 이론에 따라 분석될 수 있는 다양한 설득의 전략과 방법이 CF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T'가 브랜드 런칭 이후에도 소비자들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고전을 면치 못했던 것과는 달리 장동건이라는 훌륭한 Endoreser와 ‘되고’송의 만남은 영상통화와 T의 브랜드주요 메시지를 제대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나 누구나 따라부르기 쉽고 기억에도 오래 남는 ‘~하면 되고’의 CM송은 패러디 붐까지 일어나며 국민 노래로 사랑받게 되었다. 장동건을 활용한 첫 광고가 ‘T'서비스의 기능을 영상통화에만 한정지을 수 있을지 모른다는 판단에, 그 뒤를 네이버의 인터넷 검색서비스, E-mail 기능 등을 강조하기도 하였으며, 유머 소구를 통해 브랜드 자체의 광고에도 힘썼다. 마지막으로 ’온가족할인‘이라는 공리적 혜택을 강조한 요금제 서비스 안내 광고와 우리가 이만큼 가입고객을 모았다는 다수의 증거 기법을 사용한 광고를 집행함으로써 나도 꼭 가입해야만 할 겄 같은, 모두 함께 ’T'를 사용하자는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생각대로 T캠페인은 앞서 제시한 각각의 세부광고의 단점 외에도 프로그램 광고, 시보광고, 옥외광고, 인쇄광고 등 많은 매체들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너무 많이 보여지고 들려지고 있다. 광고 반복의 정도가 한계점을 넘어 갈 경우, 어떠한 광고라도 그 효과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T'광고 역시 가사와 가수의 목소리를 바꾸고 있기는 하지만 3개월 이상 반복된 CM송의 활용으로 점점 질리는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으며, 또한 같은 노래로 영상통화, 인터넷, 요금제까지 다양한 정보를 노출 시키려 하다 보니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Brand Awareness)는 가능했지만 ’T' 서비스의 정체성(Brand Identity)에 대한 혼란을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이전에 SKT가 광고한 TTL, TU, JUNE과 같은 자사 브랜드와 서비스에 대한 친숙도(Familiarity)가 새로운 브랜드 인지를 더욱 방해하고 있는 면도 없지 않다. 게다가 CM송의 과도한 사용과 산발적 광고 집행은 이전의 고개들이 델몬트 쥬스와 ‘따봉’이라는 카피를 연결시키지 못해 실제 제품 판매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처럼, 노래만 남고 광고주가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사라지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CM 송을 통해 'T'의 브랜드 이미지는 확립시켰지만 꼭 이러한 인식이 바로 소비자의 구매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은 점 또한 문제점으로 남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핸드폰을 새로 구입할 때 광고를 보고 광고에 담긴 메시지나 정보 때문에 ’T'로 이동통신을 바꾸지는 않는다. 대부분 핸드폰 요금을 더 싸게 해준다거나 부가적인 상품과 같은 SP(Sales Promotion)을 통해 통신회사를 옮기는 경우가 많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SK가 광고를 통해 소비자로부터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만들 수는 있으나, SP 마케팅 전략없이 단순한 브랜드 호의도만으로 고객을 끌어 모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0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