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의 방송국 송출출력
2. 미국
3. 그 밖의 조사내용
2. 미국
3. 그 밖의 조사내용
본문내용
East Midlands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Waltham 250kW
East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SandyHeath 1000kW
Sudbury 250kW
Tacolneston 250kW
London 지역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Crystal Palace 1000kW
Oxford 지역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Oxford 500kW
West 지역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Mendip 500kW
South West 지역 - 총 6개의 메인 송신기
Beacon Hill 100kW
Caradon Hill 500kW
Fremont Point 20kW
Huntshaw Cross 100kW
Redruth 100kW
Stockland Hill 250kW
South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Hannington 250kW
Midhurst 100kW
Rowridge 500kW
South East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Bluebell Hill 30kW
Dover 100kW
Heathfield 100kW
South West 지역 - 총 6개의 메인 송신기
Beacon Hill 100kW
Caradon Hill 500kW
Fremont Point 20kW
Huntshaw Cross 100kW
Redruth 100kW
Stockland Hill 250kW
Northern Ireland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Brougher Mountain 100kW
Divis 500kW
Limavady 100kW
3. 그 밖의 조사내용
※ 방송 안테나에서 방송파(radio wave)의 방출기구
안테나 구성요소는 방사체, Junction Box, 메인 급전선(Main Feeder), 분기 급전선(Branch Cable)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방송용 안테나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고주파전력을 전자기 Energy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송신조건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 여러 개의 안테나를 조합한 다음, 분배 정합 회로를 거쳐 각 안테나를 정해진 전력과 위상으로 여진하여 원하는 지향특성을 얻게 된다. 급전선은 송신기로부터 안테나에 고주파전력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Rigid, Heliax Cable이 사용되고 있으나, UHF에서는 도파관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급전장치로는 한 개의 안테나에 다중 급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경제적인데, NTSC TV송신에서는 영상과 음성을 합성하여 안테나로 송출하고 있으며, 중계소 등 에서는 두 개 이상의 채널을 공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 안테나에 이중 급전할 경우에는 상호 간섭을 하지 않고 안테나에 전력을 급전할 수 있도록 이중급전 장치를 사용한다. 많이 쓰는 이중급전 장치로는 Bridge Diplexer, CIND(Constant Impedance Notch Diplexer), T-Divider, 3dB Coupler 등이 있는데, 이러한 CIND장치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다중 급전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부속장치로는 안테나 전계통의 감시 장치나 자동 공기 충전장치 등이 있는데, 감시 장치에는 SWR (Standing Wave Ratio) 경보장치나 공기 누설 장치가 있으며, 접속부의 직류저항 자동감시장치 등도 개발되어 있다. 안테나 설비는 대부분 고공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송 중에는 물론이고 휴지중이라도 점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송신소를 무인 자동운용 체제로 운용하고 있어 일상감시가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감시 장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감시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보수점검 방법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Waltham 250kW
East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SandyHeath 1000kW
Sudbury 250kW
Tacolneston 250kW
London 지역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Crystal Palace 1000kW
Oxford 지역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Oxford 500kW
West 지역 - 총 1개의 메인 송신기
Mendip 500kW
South West 지역 - 총 6개의 메인 송신기
Beacon Hill 100kW
Caradon Hill 500kW
Fremont Point 20kW
Huntshaw Cross 100kW
Redruth 100kW
Stockland Hill 250kW
South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Hannington 250kW
Midhurst 100kW
Rowridge 500kW
South East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Bluebell Hill 30kW
Dover 100kW
Heathfield 100kW
South West 지역 - 총 6개의 메인 송신기
Beacon Hill 100kW
Caradon Hill 500kW
Fremont Point 20kW
Huntshaw Cross 100kW
Redruth 100kW
Stockland Hill 250kW
Northern Ireland 지역 - 총 3개의 메인 송신기
Brougher Mountain 100kW
Divis 500kW
Limavady 100kW
3. 그 밖의 조사내용
※ 방송 안테나에서 방송파(radio wave)의 방출기구
안테나 구성요소는 방사체, Junction Box, 메인 급전선(Main Feeder), 분기 급전선(Branch Cable)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방송용 안테나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고주파전력을 전자기 Energy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송신조건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 여러 개의 안테나를 조합한 다음, 분배 정합 회로를 거쳐 각 안테나를 정해진 전력과 위상으로 여진하여 원하는 지향특성을 얻게 된다. 급전선은 송신기로부터 안테나에 고주파전력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Rigid, Heliax Cable이 사용되고 있으나, UHF에서는 도파관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급전장치로는 한 개의 안테나에 다중 급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경제적인데, NTSC TV송신에서는 영상과 음성을 합성하여 안테나로 송출하고 있으며, 중계소 등 에서는 두 개 이상의 채널을 공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 안테나에 이중 급전할 경우에는 상호 간섭을 하지 않고 안테나에 전력을 급전할 수 있도록 이중급전 장치를 사용한다. 많이 쓰는 이중급전 장치로는 Bridge Diplexer, CIND(Constant Impedance Notch Diplexer), T-Divider, 3dB Coupler 등이 있는데, 이러한 CIND장치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다중 급전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부속장치로는 안테나 전계통의 감시 장치나 자동 공기 충전장치 등이 있는데, 감시 장치에는 SWR (Standing Wave Ratio) 경보장치나 공기 누설 장치가 있으며, 접속부의 직류저항 자동감시장치 등도 개발되어 있다. 안테나 설비는 대부분 고공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송 중에는 물론이고 휴지중이라도 점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송신소를 무인 자동운용 체제로 운용하고 있어 일상감시가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감시 장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감시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보수점검 방법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텔레비전 방송
스카이라이프 마케팅
스와핑(swapping) 어떠한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하는가?
위성방송에 대해서...
IT산업과 방송통신의 융합(DMB,와이브로)
정보사회론 - 뉴미디어
얼터너티브에 대하여
[경영]KBS의 조직분화 - KBS와 IDB
맨유경영전략
웹캐스팅(인터넷방송)의 정의, 웹캐스팅(인터넷방송)의 기술특성, 웹캐스팅(인터넷방송) 발달...
(A+자료)카달로그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정의 및 특징과...
북한 TV의 즐거움 속으로.ppt
(A+) 한·중 공영방송 비교 - 공영방송 뉴스9(한국KBS), 신문연보(중국CCTV) 한중 뉴스 및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