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수도원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기독교 수도원의 역사
1) 수도원의 시작
2) 수도원의 광야 생활
3) 수도원의 서방 전래
4)기도와 기도원
5)한국기도원 운동의 역사

본문내용

같은 기도원도 있다. “우리 기도원은 은혜의 동산이다! 신유의 동산이다! 축복의 동산이다! 문제 해결의 동산이다!”며 성도들을 모와 자신들의 동지로 만든다. 동지들 중에 기도원에 물심양면으로 헌신 봉사하는 성도들이 있으면 안찰이라는 전매특허를 내주면서 가정제단의 설립을 허락해 주기도 한다.
현재 가정제단 문제로 야기되는 현상은 실로 그 폐단이 엄청난 것이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그 폐단을 알고 있으면서도 어디에서부터 손을 써야 할지 모르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가정제단 설립의 궁극적인 목적은 영리목적에 있고, 점조직으로 확장된다.
아무튼, 오늘날 기도원의 이름아래 만연되고 있는 가정제단 현상은 한국교회 미래에 큰 장애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교계지도자로 자처하는 인사들이 가정제단 집회에 가서 설교를 하거나 그들 집회에 참석하여 축사를 하는 따위의 행위는 당장 중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 가정제단은 자신들의 집회에 참여한 교계인사들의 이름을 팔거나 사진을 걸어놓고 “아무개 목사도 다 우리 집회에 왔다 갔는데 우리가 뭐 잘못된 게 있느냐”고 항변하며 그 얼굴을 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목회자들은 점집이나 가정제단을 드나드는 교인들을 눈여겨보았다가 상담을 통해 바른 신앙지도를 해야 한다. 이왕에 예수 믿으려면 제대로 믿어 구원의 축복을 받아야지, 돈과 시간만 빼앗기고 인생만 낭비하는 그런 허망한 신앙을 방치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기성교회 목사님들이 건전한 기도원을 선택하는 영분별의 안목을 가져야 하고 교인들은 기도원이나 가정제단 등에 출입하며 헌금하는 일을 금해야 한다. 기복주의 종교는 오래지 않아 쇠퇴할 것이다.
한편, 전국에 산재해 있는 1천여 개의 기도원(가정제단으로 운영되는 도심기도원 제외)을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기도원의 분류와 문제점
①경영자에 따른 분류
개인(원장)이 경영하는 기도원, 개 교회가 경영하는 기도원, 교단이 경영하는 기도원.
②명칭에 따른 분류
기도원, 수양관, 수도원, 다락방, 기도의집(소망의집), 학사(개룡학사 등), 선교회관,
제자훈련원, 영생원 등.
③설립 목적에 따른 분류
⒜ 집회와 기도가 목적인 기도원-정기집회와 자유기도, ⒝ 휴양이 목적인 기도원-세미나 등 자체적 프로그램 운영, ⒞ 은사를 중심한 기도원-문제 해결사들이 주도(가정문제, 사업문제 등), ⒟ 치병이 목적인 기도원-암 환자, 정신병자 등, ⒠ 영리가 목적인 기도원-기획집회를 갖거나 돈을 받고 대여.
④기도원 운동의 문제점
⒜ 영리 목적에 의한 운영-헌금 없이는 기도도 효험이 없다, ⒝ 원장의 무자격-신학훈련 없이 예언, 방언, 신유은사에 의존, ⒞ 신비주의와 기복주의의 확산-성경해석 왜곡, 불건전한 신앙 양산, ⒟ 교회 공동체에 덕을 세우지 못함-소속 교회에 대한 의무 회피.
⑤불건전한 기도원의 양상들
⒜ 카리스마적 원장의 신격화, 교주화 , ⒝ 샤머니즘적 열광주의 조장, ⒞ 지나친 헌금과 헌신 강요 , ⒟ 치병활동의 비성경적, 비의학적 , ⒠ 감금, 폭행 등 비윤리적 문제 야기(수용집단).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1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