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맥도날드 소개
3. 시장 분석
4. 경쟁사 분석 < KFC, 파파이스, 버거킹, 롯데리아 >
5. 자사 분석
6. 맥도날드 자사 SWOT분석
7. STP전략
8. IMC 전략
9. 결론
2. 맥도날드 소개
3. 시장 분석
4. 경쟁사 분석 < KFC, 파파이스, 버거킹, 롯데리아 >
5. 자사 분석
6. 맥도날드 자사 SWOT분석
7. STP전략
8. IMC 전략
9. 결론
본문내용
를 유도한다.
2>Targeting : 누구를 공략해야 하는가?
바쁘게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도 삶의 질을 높이고 싶어하고, 자신의 가치를 다른 무엇보다도 높게 평가하여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인생을 설계하려는 집단에게 맥도날드만의 정신적인 만족감을 추구하는 웰빙 이미지를 새롭게 부각시켜주어야 한다.
DAUM, 네이버 등 각종 안티 패스트푸드 사이트의 운영자들의 대부분은 어린 자녀를 둔 엄마들이었다. 즉, 패스트푸드에 대해 안 좋은 인식을 가진 “ 등 돌린 엄마들 ”에게 우선적으로 다가서야 한다.
DAUM 의
안티패스트푸트 카페
<엄마?>
기존 패스트푸드 업계에 반감이 가장 큰 계층
가족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족들을 위한 기존의 웰빙 트랜드에 발맞추기에는 그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이때 패스트푸드의 저렴함은 ‘싼 가격으로 웰빙을 향유할 수 있는 메리트’를 엄마들에게 충분히 줄 수 있다.
참고) 8세이하의 자녀를 둔 엄마 <자료출처 : ‘Marketing to Mom' 마리야 베일리>
-삶의 질을 향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건강과 실속을 생각하는 감성 소비자이다.
-자신과 가족의 가치를 소중히 생각한다.
-자녀가 먹을 것에 대해 신중히 생각한다.
③ 맥도날드에 대한 충성도를 쉽게 쌓을 수 있고 지속시킬 수 있는 고객을 엄마를 통해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엄마를 통해서 잠재적인 평생고객이며 현재 맥도날드의 Main target인 어린 아이에게 미래 의 소비자로서의 가치를 함양시킬 수 있다.
3>Positioning
전략1> 명품족과 웰빙족은 차이가 있다. 자신과 자기 가족의 건강한 삶을 위해 소비하는데 굳이 값비싼 과시성 제품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맥도날드에선 저렴하게 실질적인 가치(real value)를 향유할 수 있다.
전략2> 몸을 건강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데 직접적으로 건강에 기여하는 제품보다 유독
요가가 인기를 끌었던 가장 큰 이유는 감성 소비자를 유혹하는 독특한 매력이 크게 작용 했기 때문이다.
=> 감성특성을 적극 가미하라. 기능상의 우위보다는 심리적, 감성적 유인요소가 중요.
< Communication concept >
McDonald's
=>Mother's choice!
현명한 엄마의 건강한 선택!
8. IMC 전략
1>현명한 엄마의 건강한 선택이란?
2>건강한 이미지, 건강한 음식, 건강한 공간, 건강한 활동
(1) 건강한 이미지 - 광고 측면
- 맥도날드가 새롭게 바뀝니다
=> 내용
: 맥도날드가 기존과 달리 신체적 + 정신적 건강을 경험하는 곳임을 강조
Tone and Manner : 건강한 분위기의 가족적인 광고
=> 효과
: 이러한 광고의 집행을 통해서, 맥도날드가 새롭게 바뀐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고, 건강한음식, 건강한 공간, 건강한 활동에 대한 경험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2) 건강한 음식
-엄마와 아기가 같이 먹는 세트 사은품 “엄마와 함께하는 추억의 골목길 놀이
-탄산음료대신 건강을 고려한 우유, 쥬스등의 세트메뉴
(기존에도 물론 탄산음료에서=>우유, 쥬스로 교환이 가능하지만, 세트메뉴 구입시 음료는 기본적으로 콜라가 제공된다. 이러한 세트메뉴의 기본적인 음료가 우유, 쥬스로 제공되는 세트메뉴를 구비해 엄마들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도록 하여 구매유도)
=>내용
: 엄마와 아이가 같이 먹을 수 있는 세트를 구성
-아이들에게 영양가 있는 햄버거, 음료(칼슘우유)등을 추천. 엄마와 같이할 수 있는 놀이세트 증정(옛날에 부모님들이 즐기던 놀이-예>땅따먹기)
=>효과
엄마들이 아이들에게 영양가 있는 햄버거와 음료를 먹도록 유도
엄마와 같이 놀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운동도 될 수 있으며 엄마의 어릴 적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모자, 모녀간 의 세대 차이를 줄일 수 있음
-토핑의 다양화, 자율화
=>내용
: 지금 시행되고 있으나 널리 알려지지 않은 햄버거의 토핑의 제거와 추가에 대해 자세히 설명 (광고 인쇄지나 주문대에 자세한 설명이 있는 설명서를 준비, 크루에게 자세한 설명요구)
=>효과
고객에게 자신이 원하는 햄버거를 선택할 수 있다는 만족감을 느낌(정신적 만족)
맥도날드에서 먼저 웰빙을 주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
(3) 건강한 공간
- 매장내에 LCD창 설치 (제조과정)
- Mc카페, 안락하고 편한 매장분위기 연출, 잡지 도서 구비
=>내용
: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을 정도의 부분만 주문대 앞에 LCD창으로 공개(햄버거 제조중인 장면만 보여줌), 맥카페라는 안락하고 편안한 공간을 매장내에 마련한다.
=>효과
내가 먹을 햄버거의 제조과정을 보여줌으로 위생적인 인식을 가지게 됨
제조과정을 보면서 구매욕구를 증가시킴(예>지금 나오는 저걸로 주세요!)
안락한 분위기 속에서 햄버거를 먹는 잠깐이지만,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는 시간을 가짐
(4) 건강한 활동
- 가족단위 Mc농장 운영(주말농장)
- 아이들의 Mc 송, 춤 경연대회
=>내용
: 주 5일제 근무로 인한 주말농장 인구 급증. 주말 농장을 가족들이 함께 양상추와 토마토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맥 농장을 설립
=>효과
가족끼리 주말 시간을 활용할 수 있음(A place for family : 가족의 공간, 가족을 위한 공간 이라는 맥도날드가 브랜드에 담은 메시지)
아이들에게 자신의 햄버거 가게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미래의 고객을 확보
일부이지만 소비자가 직접 재배하여 위생적이라는 인식을 가짐
주말에 집안에서 놀기만 하는 아이들과 함께 자연을 만끽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신체적, 정 신적 측면 모두를 고려할 수 있는 전략
*현재 시점에서 Mc농장의 설립이 가능한 지역
양상추 - 봄가을의 서늘한 기온일 때 중부권에서 재배함
여름은 고랭지인 평창, 겨울을 하동 광양 경남 의령에서 하우스재배
토마토- 원주시 신림면 청송영농조합
9. 결론
: 맥도날드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기획해 보았다. 이러한 전략을 수행함으로써 맥도날드는 장기적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의 선두 기업이 될 것이며, 동종업계의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M/S 1위를 점하게 될 수 있다.
2>Targeting : 누구를 공략해야 하는가?
바쁘게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도 삶의 질을 높이고 싶어하고, 자신의 가치를 다른 무엇보다도 높게 평가하여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인생을 설계하려는 집단에게 맥도날드만의 정신적인 만족감을 추구하는 웰빙 이미지를 새롭게 부각시켜주어야 한다.
DAUM, 네이버 등 각종 안티 패스트푸드 사이트의 운영자들의 대부분은 어린 자녀를 둔 엄마들이었다. 즉, 패스트푸드에 대해 안 좋은 인식을 가진 “ 등 돌린 엄마들 ”에게 우선적으로 다가서야 한다.
DAUM 의
안티패스트푸트 카페
<엄마?>
기존 패스트푸드 업계에 반감이 가장 큰 계층
가족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족들을 위한 기존의 웰빙 트랜드에 발맞추기에는 그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이때 패스트푸드의 저렴함은 ‘싼 가격으로 웰빙을 향유할 수 있는 메리트’를 엄마들에게 충분히 줄 수 있다.
참고) 8세이하의 자녀를 둔 엄마 <자료출처 : ‘Marketing to Mom' 마리야 베일리>
-삶의 질을 향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건강과 실속을 생각하는 감성 소비자이다.
-자신과 가족의 가치를 소중히 생각한다.
-자녀가 먹을 것에 대해 신중히 생각한다.
③ 맥도날드에 대한 충성도를 쉽게 쌓을 수 있고 지속시킬 수 있는 고객을 엄마를 통해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엄마를 통해서 잠재적인 평생고객이며 현재 맥도날드의 Main target인 어린 아이에게 미래 의 소비자로서의 가치를 함양시킬 수 있다.
3>Positioning
전략1> 명품족과 웰빙족은 차이가 있다. 자신과 자기 가족의 건강한 삶을 위해 소비하는데 굳이 값비싼 과시성 제품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맥도날드에선 저렴하게 실질적인 가치(real value)를 향유할 수 있다.
전략2> 몸을 건강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데 직접적으로 건강에 기여하는 제품보다 유독
요가가 인기를 끌었던 가장 큰 이유는 감성 소비자를 유혹하는 독특한 매력이 크게 작용 했기 때문이다.
=> 감성특성을 적극 가미하라. 기능상의 우위보다는 심리적, 감성적 유인요소가 중요.
< Communication concept >
McDonald's
=>Mother's choice!
현명한 엄마의 건강한 선택!
8. IMC 전략
1>현명한 엄마의 건강한 선택이란?
2>건강한 이미지, 건강한 음식, 건강한 공간, 건강한 활동
(1) 건강한 이미지 - 광고 측면
- 맥도날드가 새롭게 바뀝니다
=> 내용
: 맥도날드가 기존과 달리 신체적 + 정신적 건강을 경험하는 곳임을 강조
Tone and Manner : 건강한 분위기의 가족적인 광고
=> 효과
: 이러한 광고의 집행을 통해서, 맥도날드가 새롭게 바뀐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고, 건강한음식, 건강한 공간, 건강한 활동에 대한 경험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2) 건강한 음식
-엄마와 아기가 같이 먹는 세트 사은품 “엄마와 함께하는 추억의 골목길 놀이
-탄산음료대신 건강을 고려한 우유, 쥬스등의 세트메뉴
(기존에도 물론 탄산음료에서=>우유, 쥬스로 교환이 가능하지만, 세트메뉴 구입시 음료는 기본적으로 콜라가 제공된다. 이러한 세트메뉴의 기본적인 음료가 우유, 쥬스로 제공되는 세트메뉴를 구비해 엄마들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도록 하여 구매유도)
=>내용
: 엄마와 아이가 같이 먹을 수 있는 세트를 구성
-아이들에게 영양가 있는 햄버거, 음료(칼슘우유)등을 추천. 엄마와 같이할 수 있는 놀이세트 증정(옛날에 부모님들이 즐기던 놀이-예>땅따먹기)
=>효과
엄마들이 아이들에게 영양가 있는 햄버거와 음료를 먹도록 유도
엄마와 같이 놀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운동도 될 수 있으며 엄마의 어릴 적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모자, 모녀간 의 세대 차이를 줄일 수 있음
-토핑의 다양화, 자율화
=>내용
: 지금 시행되고 있으나 널리 알려지지 않은 햄버거의 토핑의 제거와 추가에 대해 자세히 설명 (광고 인쇄지나 주문대에 자세한 설명이 있는 설명서를 준비, 크루에게 자세한 설명요구)
=>효과
고객에게 자신이 원하는 햄버거를 선택할 수 있다는 만족감을 느낌(정신적 만족)
맥도날드에서 먼저 웰빙을 주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
(3) 건강한 공간
- 매장내에 LCD창 설치 (제조과정)
- Mc카페, 안락하고 편한 매장분위기 연출, 잡지 도서 구비
=>내용
: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을 정도의 부분만 주문대 앞에 LCD창으로 공개(햄버거 제조중인 장면만 보여줌), 맥카페라는 안락하고 편안한 공간을 매장내에 마련한다.
=>효과
내가 먹을 햄버거의 제조과정을 보여줌으로 위생적인 인식을 가지게 됨
제조과정을 보면서 구매욕구를 증가시킴(예>지금 나오는 저걸로 주세요!)
안락한 분위기 속에서 햄버거를 먹는 잠깐이지만,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는 시간을 가짐
(4) 건강한 활동
- 가족단위 Mc농장 운영(주말농장)
- 아이들의 Mc 송, 춤 경연대회
=>내용
: 주 5일제 근무로 인한 주말농장 인구 급증. 주말 농장을 가족들이 함께 양상추와 토마토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맥 농장을 설립
=>효과
가족끼리 주말 시간을 활용할 수 있음(A place for family : 가족의 공간, 가족을 위한 공간 이라는 맥도날드가 브랜드에 담은 메시지)
아이들에게 자신의 햄버거 가게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미래의 고객을 확보
일부이지만 소비자가 직접 재배하여 위생적이라는 인식을 가짐
주말에 집안에서 놀기만 하는 아이들과 함께 자연을 만끽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신체적, 정 신적 측면 모두를 고려할 수 있는 전략
*현재 시점에서 Mc농장의 설립이 가능한 지역
양상추 - 봄가을의 서늘한 기온일 때 중부권에서 재배함
여름은 고랭지인 평창, 겨울을 하동 광양 경남 의령에서 하우스재배
토마토- 원주시 신림면 청송영농조합
9. 결론
: 맥도날드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기획해 보았다. 이러한 전략을 수행함으로써 맥도날드는 장기적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의 선두 기업이 될 것이며, 동종업계의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M/S 1위를 점하게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