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의 특징과 변화 문제점, 주5일근무제 변화 문제점, 미래의 여행산업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 서론

○ 본론
1. 현대사회 여가의 특징과 변화
1)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2) 여가수요의 급격한 증가
3) 레저산업의 변화
2. 현대 여가 생활의 문제점
1)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중독
2) 어린이와 청소년 여가의 문제점
3) 노인층을 위한 여가의 부족
3. 주5일 근무제에 따른 변화와 문제점
1) 여행수요 변화 전망
2) 관광공급부문 전망
3) 테마파크 및 여가시설
4) 새로운 관광인력 창출
5) 경제적사회적 영향
6) 예상 문제점
1. 숙박시설 및 여가시설 부족
2. 관광지도로에서의 교통혼잡
3. 고급 관광안내 정보제공 미흡
4. 관광자원 개발과 다양한 프로그램 빈약
5. 문화관광시설 종사자 및 전문인력 부족
6. 관광 불균형 및 경제적 부담가중
7. 관광자원의 훼손
4. 미래의 여행산업 전망

○ 결론

본문내용

확보하지 못했던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욕구는 우선 여행, 관광, 레저, 이벤트및 연관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소 눈치가 보이기는 하지만 금요일 하루 휴가를 내면 목요일 저녁에 떠나 월요일 아침에 도착하는 4박5일 여행도 가능하기 때문에 여가활용의 폭과 깊이가 크게 확장될 것이다.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이후 십 수년간 수많은 국민이 외국여행을 경험하였다. 주로 여행사가 모집하는 이른바 패키지 상품을 이용한 대량관광 형태가 지금까지의 주된 여행형태였다. 덤핑가격, 인솔자 자질시비, 과다한 팁요구와 옵션강요, 부실한 일정 그리고 관광객의 수준과 일탈행위등 크고 작은 문제점을 양산한 패키지 여행이 관광대중화에 크게 기여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향후 일정기간 이 유형은 지속될 것이다. 물론 배낭여행, 인센티브 여행, FIT(개별여행)같은 여러 양상의 관광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지만 앞으로는 문화관광, 체험관광, 환경친화형 관광등 획일성을 탈피한 흐름이 주류를 이룰 전망이다.
1) 가족지향 의식구조의 확산으로 성향과 동기가 다른 여행사 패키지형에서 가족단위 여가활동과 여행수요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자동차 보급, 인터넷을 정한 실시간 정보입수 그리고 예상되는 주5일수업과 맞물려 앞으로의 여가문화는 수요자가 직접 고르고 챙기는 주말가족 중심으로 전환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국내외 문물을 공부하며 답사, 확인하는 탐구형 관광이 주목받는다.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평범한 명제의 의미를 되새겨볼 때이다.
2) 당일여행보다는 1박2일, 2박3일, 3박4일등 숙박관광이 증가할 것이다. 이미 팬션업, 관광농원, 휴양림 숙박시설등이 활발해지고 있고 기존 콘도업체도 대대적 사업확충을 계획하고 있다.
다. 여행목적이 단순관광에서 자기개발, 자아실현으로 옮겨갈 것이다. 자녀들의 교육과 삶의 향유를 우선하는 의식은 과거 생각지도 못했던 여가선용 아이템을 속속 등장시킨다.
3) 그리하여 모험과 체험을 중요하게 여기는 참여형 여행이 증가한다. 과거 가이드 깃발을 따라 사진찍고 쇼핑에 치중하던 관광행태에서 래프팅, 번지점프, 스킨스쿠버, 수상스키, 행 글라이딩, 초경량 비행기, 승마, 산악자전거, 암벽타기같은 스포츠와 연결된 관광이 증가할 것이다.
이를 종합하면 앞으로의 여가활용, 관광여행의 흐름은 '문화관광'이라는 유형으로 집약할 수 있다. 문화관광은 개별적인 취향과 여건에 따라 문화수준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지식, 경험, 만남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욕구충족인만큼 앞으로의 휴가, 여행, 관광에서 핵심개념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생태관광은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공동체를 유지하는 범위안에서 관광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운영한다. 관광시설 개발은 환경친화적으로 소규모화하고, 관광행태도 먹고 마시고 쇼핑하는 차원을 벗어나 자연의 소중함과 생명의 귀중함을 느끼게 하는 까닭에 교육적 측면이 강조된다.
최근 갯벌체험, 숲 해설, 오지여행, 탐조여행등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데 가령 그 명칭은 생태관광이 아니더라도 대부도 갯벌을 찾는 연간 700만명의 관광객이나 무창포, 진도의 갈라지는 바닷길을 찾는 인파도 넓은 의미에서 생태관광객이라 부를 수 있다. 어린이, 청소년 체험학습이 중요시되면서 습지, 철새도래지, 갯벌, 숲, 자연휴양림등이 생태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아직 충분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갖추지는 못했지만 앞으로의 관광유형을 선도할 가치있는 대안임은 확실하다.
○ 결론
현대사회의 경제의 발달과 산업성장과 함께 국민들의 여가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여가의 특징과 변화와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분석하면서 어떻게 하면 여가를 좀더 폭 넓고 즐겁게 즐길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해 보았다. 그 결과 여가의 변화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점점 더 다양화되고 개인화되어가는 여가의 변화를 우리는 받아 들여야 한다. 아이들의 경우 기존의 문화를 고수한다고 술래잡기와 말뚝박기와 같은 몸으로 직접 느끼며 즐기는 놀이만을 고집한다면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그들이 즐기는 인터넷과 게임등의 놀이문화를 같이 어울려 즐기는 것은 여가를 공유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거 같다. 나의 경우 약 4년전 신입생 시절때는 동아리나 클럽과 같은 모임에서 모여 술 마시고 노래방을 가서 밤새도록 노는 것이 거의 놀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요즘에는 다양한 맛집을 찾아다니며 다양한 이벤트 및 행사 또한 공연을 찾아다니는 친구들이 매우 많다. 항상 그들과 술 마시고 노래방에 가서 여가시간을 보내는 것을 고집한다면 폭넓은 대인관계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물론 변해가는 사회의 추세와 문화를 반드시 따라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개인들이 느끼는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의 경우 대부분은 자신과 취미가 맞는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원한다고 한다. 청소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가생활을 어떻게 즐기는 가에 따라 자신의 친구들과 주위의 사람들이 형성된다. 다양한 여가생활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해 본다면 다른사람들의 여가생활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여가의 변화를 비관적으로 바라보며 타인의 문화를 비판하기 보다는 그들의 여가를 짧게라도 체험해 보는 것은 다양화되어가고 복잡해져가는 여가와 문화를 좀 더 너그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자료 및 사이트
http://www.nanet.go.kr/ 국회도서관
http://monthly.chosun.com/ 조선일보
http://www.kolec.co.kr/ 한국레저산업연구소
http://www.rec114.com/ 국제레크레이션협회
http://www.rec365.co.kr/ 레크레이션개발원
http://www.internetstudies.pe.kr/ 인터넷 사회이론
http://news.mk.co.kr/ 매일경제
http://www.kasinet.or.kr/ 대한실버산업협회
www.inews24.com 아이뉴스
여가와 문화 - 이원철 지음
여가학의 이해 - 고동우 지음
현대여가사회의 이해 - 손해식, 안영면, 조명환, 이정실 공저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10.19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6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