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에 바탕을 둔 ‘봉산탈춤’의 비판적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단원 비판적 분석
1) 대단원 개관
2) 단원의 학습 목표와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3) 영역 통합의 배경
① 국어과 교육 내용에 관한 교육 과정 변천사
② 영역 통합의 배경
4) 비판적 접근

2.봉산탈춤의 비판적 분석
1) 주요 내용과 활동 분석
2) 제재의 적절성 비판

3. 정리

본문내용

이해의 단계에서 벌써 어려움을 느끼는데 담화의 장면을 유추하는 단계까지 올라서는 데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다른 희곡들을 가져와 학습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다.
학습 활동을 보면 ‘지시 표현을 찾고, 이 장면의 등장 인물과 사물의 위치를 말해보자.(141쪽)’이라는 문항이 있다. 실제적인 담화 장면이 글말로 전환된 언어 자료에서 다시 그 담화 장면을 유추하는 것이 다소 우스꽝스러운 일임을 보여주는 문항이다. 학습자가 좀 더 실제적인 조건을 통하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차라리 봉산탈춤 동영상을 제재로 하여 그것을 일부 채록하고 그 속에서 담화 장면을 찾아내는 구성을 하는 것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교과서에 영상 CD를 포함시키고 교재에 나와 있는 채록된 부분을 밑줄로 제시하는 것이 더욱 실제에 가까운 학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추측해볼 수 있다. 학습량이 문제라면 한 과장의 봉산탈춤을 보여주고 그 중 일부만을 학습자가 채록할 수 있도록 해도 될 것이다.
3. 정리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주고받는 국어의 모습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언어 문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아주 단순하면서 이를 소홀하게 생각했다가는 학습자들이 국어의 각 영역이 분절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왜곡하여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기능이라는 이름으로 국어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언어로 분절시킴으로써 국어를 파편화, 박제화 하고 있지는 않는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0.2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