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소림사의 개황
2. 소림사 무술의 근원과 형성과정
3. 소림무술의 내용
Ⅱ. 본론
1. 소림사 무술 학교
2. 무협영화, 무협소설에서의 소림무술
3. 소림무술의 관광자원
4. 소림무술의 상업화와 해외진출
Ⅲ. 결론
1. 소림무술의 가치와 의미
2. 소림무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
3. 중국 정부의 관심
4. 결론
1. 소림사의 개황
2. 소림사 무술의 근원과 형성과정
3. 소림무술의 내용
Ⅱ. 본론
1. 소림사 무술 학교
2. 무협영화, 무협소설에서의 소림무술
3. 소림무술의 관광자원
4. 소림무술의 상업화와 해외진출
Ⅲ. 결론
1. 소림무술의 가치와 의미
2. 소림무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
3. 중국 정부의 관심
4. 결론
본문내용
림무술을 상업화 함으로써 여러 가지 많은 이익을 얻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자력갱생(自力更生)이다. 스스로 생활을 해결한다는 소림사의 전통으로 1970년 몇 마지기의 땅으로 근근히 생활을 해야했던 때와는 다르게 지금은 각종 사업으로 수 많은 돈을 벌어들여 사찰의 운영에 전혀 지장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불교의 전파를 조금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서면서 자연스럽게 불교를 선전하고 있는 것이다.
2) 부정적인 측면
소림사의 기업적인 성공에 관해 지나치게 세속화, 상업화 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중국내 일부 불교 신자들은 돈 버는데 골몰하는 것은 속세를 떠난 수도자의 자세가 아니다며 소림사는 타락한 사찰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지나친 상업화는 오히려 본질을 해칠 수 있다. 소림무술은 본래 무술을 익혀 심령을 도야하는 목적에서 존재하였던 것인데 그것의 근본이 희미해지고 엔터테인먼트회사나 공연단체와 다를 바 없어지면서 점차 외국인에게 어필해 가던 본래의 이미지가 훼손되어 결국은 정신은 없는 껍데기만 남게 될 수 있는 것이다.
3. 중국 정부의 관심
중국 정부는 엄청난 수입을 창출해 내는 소림사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 2000년대 대대적인 사찰 주변 정비 사업을 벌이는 일에도 근처 3만여평 일대의 가옥과 상점 1000여곳 등을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철거할 수 있었던 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원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덩펑시 정부는 지난 8월 소림사가 시 관광수익 증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소림사 방장인 스융신(釋永信) 스님에게 1억원이 넘는 폴크스바겐 SUB 차량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또한 팔영팔치(八榮八恥)'를 통한 도덕성 회복 운동이나, 계층지역간 갈등을 극복하자는 '허시에(和諧조화)' 사회 건설 목표 등이 불교 교리에 의해 상승 작용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나온 정부의 불교에 대한 관심은 소림 엔터프라이즈의 비약적인성장에 또하나의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국제불교포럼’ 이라는 종교이벤트를 열어주고 불교대학 설립이 추진되는등 불교에 대한 당의 배려가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중국 불교협회의 실세로 간주되는 소림사의 방장 스융신 부회장은 이것에 대해 중국 불교의 발전은 정부의 지지 없이는 불가능 하다는 선언을 하여 당과 지도부의 더욱 깊은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4. 결론
한국인들이 어렸을 때부터 가장 친근하게 접했던 문화 중 하나가 중국 문화, 특히 각종 매체에서 쏟아져 나오는 무협 문화일 것이다. 이연걸이 나오는 소림사 등의 영화를 보며 무술의 종주국은 중국이라는 생각을 무의식중에 심게 되는 되고 이런 무술 쪽의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직접 이 종주국의 무술을 체험하고자 중국을 가고 싶어 하기도 한다. 이것은 실로 엄청난 효과이다. 이런 몇 편의 영화로 자연스럽게 중국의 문화를 홍보하고 자연스럽게 외국의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소림사는 하나의 상품이기에 앞서서 속세를 떠난 자들이 도를 닦는 사찰이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는 이유도 세속을 떠나고자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더욱 세속에 깊게 관여하게 되고 탐욕에 물들어 버리는 것을 염려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와서 소림사의 모든 상업적 요소들을 벗어던지고 본래 절의 모습으로 돌아오라고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일 것이다. 문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어떻게 잘 조화시키냐는 것이다. 소림사 승들은 소림사 상업화의 비판에 불교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중국의 문화를 널리 알리는 것뿐 이라고 하면서 그런 논란에 일절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이들이 이 말에 책임을 진다면 문제될 것은 없을 것이다. 실제로 그런 면에서는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마음을 잃고 장사꾼이 되어 버린다면 그들은 어느새 이미 한 명의 서커스 단원이 되어있는 자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훌륭한 하나의 문화가 그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속해 나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목 차
Ⅰ. 서론
1. 소림사의 개황
2. 소림사 무술의 근원과 형성과정
3. 소림무술의 내용
Ⅱ. 본론
1. 소림사 무술 학교
2. 무협영화, 무협소설에서의 소림무술
3. 소림무술의 관광자원
4. 소림무술의 상업화와 해외진출
Ⅲ. 결론
1. 소림무술의 가치와 의미
2. 소림무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
3. 중국 정부의 관심
4. 결론
2) 부정적인 측면
소림사의 기업적인 성공에 관해 지나치게 세속화, 상업화 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중국내 일부 불교 신자들은 돈 버는데 골몰하는 것은 속세를 떠난 수도자의 자세가 아니다며 소림사는 타락한 사찰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지나친 상업화는 오히려 본질을 해칠 수 있다. 소림무술은 본래 무술을 익혀 심령을 도야하는 목적에서 존재하였던 것인데 그것의 근본이 희미해지고 엔터테인먼트회사나 공연단체와 다를 바 없어지면서 점차 외국인에게 어필해 가던 본래의 이미지가 훼손되어 결국은 정신은 없는 껍데기만 남게 될 수 있는 것이다.
3. 중국 정부의 관심
중국 정부는 엄청난 수입을 창출해 내는 소림사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 2000년대 대대적인 사찰 주변 정비 사업을 벌이는 일에도 근처 3만여평 일대의 가옥과 상점 1000여곳 등을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철거할 수 있었던 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원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덩펑시 정부는 지난 8월 소림사가 시 관광수익 증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소림사 방장인 스융신(釋永信) 스님에게 1억원이 넘는 폴크스바겐 SUB 차량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또한 팔영팔치(八榮八恥)'를 통한 도덕성 회복 운동이나, 계층지역간 갈등을 극복하자는 '허시에(和諧조화)' 사회 건설 목표 등이 불교 교리에 의해 상승 작용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나온 정부의 불교에 대한 관심은 소림 엔터프라이즈의 비약적인성장에 또하나의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국제불교포럼’ 이라는 종교이벤트를 열어주고 불교대학 설립이 추진되는등 불교에 대한 당의 배려가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중국 불교협회의 실세로 간주되는 소림사의 방장 스융신 부회장은 이것에 대해 중국 불교의 발전은 정부의 지지 없이는 불가능 하다는 선언을 하여 당과 지도부의 더욱 깊은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4. 결론
한국인들이 어렸을 때부터 가장 친근하게 접했던 문화 중 하나가 중국 문화, 특히 각종 매체에서 쏟아져 나오는 무협 문화일 것이다. 이연걸이 나오는 소림사 등의 영화를 보며 무술의 종주국은 중국이라는 생각을 무의식중에 심게 되는 되고 이런 무술 쪽의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직접 이 종주국의 무술을 체험하고자 중국을 가고 싶어 하기도 한다. 이것은 실로 엄청난 효과이다. 이런 몇 편의 영화로 자연스럽게 중국의 문화를 홍보하고 자연스럽게 외국의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소림사는 하나의 상품이기에 앞서서 속세를 떠난 자들이 도를 닦는 사찰이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는 이유도 세속을 떠나고자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더욱 세속에 깊게 관여하게 되고 탐욕에 물들어 버리는 것을 염려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와서 소림사의 모든 상업적 요소들을 벗어던지고 본래 절의 모습으로 돌아오라고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일 것이다. 문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어떻게 잘 조화시키냐는 것이다. 소림사 승들은 소림사 상업화의 비판에 불교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중국의 문화를 널리 알리는 것뿐 이라고 하면서 그런 논란에 일절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이들이 이 말에 책임을 진다면 문제될 것은 없을 것이다. 실제로 그런 면에서는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마음을 잃고 장사꾼이 되어 버린다면 그들은 어느새 이미 한 명의 서커스 단원이 되어있는 자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훌륭한 하나의 문화가 그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속해 나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목 차
Ⅰ. 서론
1. 소림사의 개황
2. 소림사 무술의 근원과 형성과정
3. 소림무술의 내용
Ⅱ. 본론
1. 소림사 무술 학교
2. 무협영화, 무협소설에서의 소림무술
3. 소림무술의 관광자원
4. 소림무술의 상업화와 해외진출
Ⅲ. 결론
1. 소림무술의 가치와 의미
2. 소림무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
3. 중국 정부의 관심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