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신 구조론 : Id. Ego, Super-Ego ]
[ 심리성적 발달 / psychosexual development ]
[ 자아(Ego) 방어기제 / Defence mechanism ]
[ 정신분석 심리치료 /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
[ 프로이드 이론의 평가와 발달 ]
[ 심리성적 발달 / psychosexual development ]
[ 자아(Ego) 방어기제 / Defence mechanism ]
[ 정신분석 심리치료 /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
[ 프로이드 이론의 평가와 발달 ]
본문내용
담자의 유형 변화로부터 연유된 것 같다. 프로이드 당시와는 다르게 현대인은 다양한 사회 문제로 고통 받는다. 이제 자아는 어떻게 합리적인 결정을 하여 외부 세계에 대처해야만 하는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래서 이드보다 자아를 더 강조하게 된다. 따라서 현대의 내담자들에게는 그들의 의식적인 사고과정과 대처하는 기제에 보다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Erik H. Erikson / 현대 정신분석에 ‘사회적 운치’(social flavor)와 ‘자아의 기능’(ego's functions)을 강화시킨 사람이 에릭슨이다.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다섯 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여덟 개의 심리사회적(psychosexual) 발달단계로 확장하였다. 프로이드는 성적 욕구의 해결에 기초를 둔 성격 발달에 관심을 두었으나, 그의 마지막 단계인 생식기는 성인기를 상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단계적 과제와 위기를 양극 개념으로 전개하면서, 성인 초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성인기를 세 단계로 보완하였다.
인간의 자아는 사회적 기대와 요구에 창조적으로 대처하는 능력, 목적의식, 사랑하는 힘, 및 노인의 지혜와 같은 긍정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한 단계에서의 실패가 반드시 전 생애의 실패를 운명 짓은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 그는 이드의 무의식적 기능보다는 자아의 의식적 기능에 보다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대상관계론(object-relations theory) / 대상관계론은 아동초기의 경험이 성인기의 성격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프로이드의 가정에 동의하면서도, 전오디팔(pre-Oedipal) 시기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진다. 외부적 대상을 나타내게 되는 내부적 상(像)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유아의 양육자 대상 내면화를 중요시한다. 이러한 내면화된 상들과 연합된 의식, 무의식적 의미가 복잡하게 대인관계의 유형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 정신분석학은 이미 죽어 매장만이 남았다고 믿는 사람들도 더러 있으나, R. D. Nye는 앞으로 오랫동안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여섯 가지 증거를 제시한다.
① 프로이드 심리학의 측면들을 검증하기 위하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정신분석학에 관한 새로운 책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② 많은 정신건강 종사자들이 내담자들의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에 프로이드의 사고와 기법을 통합시켰다.
③ 많은 대학이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의 강좌에서 프로이드의 견해가 그 역사적 중요성과 현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 고찰되고 있다.
④ 프로이드 이론을 하나의 사회철학으로 연구하는 데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내담자들이 있다.
⑤ 많은 고전문학과 대중문학에서 아동시절의 정신적 외상, 무의식적 갈등 및 억압된 욕구의 영향과 같은 프로이드 냄새가 풍기는 주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⑥ 프로이드의 용어들이 우리의 일상 언어에 산재해 있다.
프로이드의 이론은 여러 가지 형태, 그리고 여러 분야에 우리와 지금 함께 있다. 그의 이론에 관한 논쟁은 현재에도 활발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보인다.
Erik H. Erikson / 현대 정신분석에 ‘사회적 운치’(social flavor)와 ‘자아의 기능’(ego's functions)을 강화시킨 사람이 에릭슨이다.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다섯 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여덟 개의 심리사회적(psychosexual) 발달단계로 확장하였다. 프로이드는 성적 욕구의 해결에 기초를 둔 성격 발달에 관심을 두었으나, 그의 마지막 단계인 생식기는 성인기를 상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단계적 과제와 위기를 양극 개념으로 전개하면서, 성인 초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성인기를 세 단계로 보완하였다.
인간의 자아는 사회적 기대와 요구에 창조적으로 대처하는 능력, 목적의식, 사랑하는 힘, 및 노인의 지혜와 같은 긍정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한 단계에서의 실패가 반드시 전 생애의 실패를 운명 짓은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 그는 이드의 무의식적 기능보다는 자아의 의식적 기능에 보다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대상관계론(object-relations theory) / 대상관계론은 아동초기의 경험이 성인기의 성격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프로이드의 가정에 동의하면서도, 전오디팔(pre-Oedipal) 시기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진다. 외부적 대상을 나타내게 되는 내부적 상(像)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유아의 양육자 대상 내면화를 중요시한다. 이러한 내면화된 상들과 연합된 의식, 무의식적 의미가 복잡하게 대인관계의 유형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 정신분석학은 이미 죽어 매장만이 남았다고 믿는 사람들도 더러 있으나, R. D. Nye는 앞으로 오랫동안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여섯 가지 증거를 제시한다.
① 프로이드 심리학의 측면들을 검증하기 위하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정신분석학에 관한 새로운 책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② 많은 정신건강 종사자들이 내담자들의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에 프로이드의 사고와 기법을 통합시켰다.
③ 많은 대학이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의 강좌에서 프로이드의 견해가 그 역사적 중요성과 현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 고찰되고 있다.
④ 프로이드 이론을 하나의 사회철학으로 연구하는 데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내담자들이 있다.
⑤ 많은 고전문학과 대중문학에서 아동시절의 정신적 외상, 무의식적 갈등 및 억압된 욕구의 영향과 같은 프로이드 냄새가 풍기는 주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⑥ 프로이드의 용어들이 우리의 일상 언어에 산재해 있다.
프로이드의 이론은 여러 가지 형태, 그리고 여러 분야에 우리와 지금 함께 있다. 그의 이론에 관한 논쟁은 현재에도 활발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입문 (방송대 전용)
스포츠 정신분석 입문
프로이드이론의 정신분석이론
방송과 정신분석학에 대한 보고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연구(의식과 무의식)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성격특성이론과 정신분석적 접근의 차이성 고찰
[정신분석학]프로이트학파의 다양한 수정주의 이론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통해 본 최인훈의 「광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과 스키너의 행동주의 (교육학레포트)
인지발달이론과 정신분석이론의 유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기술.
상담심리학2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