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혈액생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체액의 구분

2.체액량의 측정

3. 체액의 수지와 그 교란
산-염기 평형(Acid-base balance)
완충계 (Buffer system)

본문내용

소 ㅡ> 폐포환기율 증가
○. 신장
- 중탄산 이온(HCO3 ) 재흡수 (탄산완충계)
- 암모니아 분비 : 산증일때 증가
알칼리증일때 감소
NH3 + H ㅡㅡ> NH4
- 적정산의 배설
적정산의 대부분 인산이고 요산과 같은 약산 소량 있음
인산 : 원위세뇨관에서 중요한 완충계 ⇒ 원위세뇨관에서 인산은 흡수 X, 물의 재흡수 높아.. 인산의 농도 높아짐
산 - 염기 평형 장애
1) 호흡성 산증
원인 : 환기저하(호흡저하) - 폐에서 CO2 적절히 제거 못함
보상기전 : 신장에서 산의 배출 증가 (소변에서 수소이온 배출 증가)
중탄산염의 재흡수 증가 (중탄산 이온의 보유)
2) 호흡성 알칼리증
원인 : 환기과다(호흡증가) - 폐에서 CO2 너무 많이 제거
보상기전 : 신장에서 산의 배출 감소 (수소이온의 보유)
중탄산염의 재흡수 감소 (중탄산염의 배출 증가)
3) 대사성 산증
원인 : 중탄산염의 상실(염기부족), 과다한 비휘발성산
보상기전 : 폐에서 CO2 배출하기 위해 과도환기
신장에서 산 배출 증가
중탄산염 재흡수 증가
4) 대사성 알칼리증
원인 : 산의 상실, 중탄산염의 정체
보상기전 : 폐에서 CO2 배출하기 위해 환기저하
신장에서 산의 배출 감소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