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kespeare Sonnet #1~147 전체적 감상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서 이 시의 두 개의 힘, 즉 지옥에 빠뜨리는 힘과 천국을 느끼게 하는 힘은 진실 대 거짓으로 뚜렷이 나타나 있다. 사람은 그 두 힘을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른다. 거짓임을 알 수 있는 것은 진실인 것으로 경험한다. 그러나 인간이 거짓에 의해 속박당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자아 완성의 첫 걸음이다. 정욕 이면에 있는 악의를 아무리 느낀다 하더라도 이에 대항하는 건전한 진리의 힘이 인간 본성의 깊은 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4. 영원
시간이 carpe diem 이라고 하는 고전적 주제와 신의 섭리라고 하는 중세적 주제는 엘리자베스 시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두 주류를 이루고 있다. Spenser의 The Ruines of Time은 Petrach의 Tronfi처럼 지상의 왕국이 모두 덧없는 것이라는 중세적 성향을 띄고 있으며 인간이 갈망하고 성취하는 모든 것이 결국은 무익하며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신에게 의지 할 뿐이라는 중세의 전통을 그대로 이은 작품이지만 르네상스라는 전환기에 Spenser가 종교와 도덕으로 시간과 죽음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 사상에서 진정한 의미를 발견한 것은 시대 착오적 유물이라고 까지 말랄 수는 없더라도 르네상스가 앞선 다른 시대와의 차이점을 어떤 가치관의 배제라기보다는 인간의 문제를 다양한 맥락에서 다룰 수 있는 광범위한 주제 선택이라고 한다면 시간에 관한 보다 더 설득력있는 사상이 점점 표면화되게 된다.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시간은 서로 모순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Father Time은 큰 낫과 모래시계를 가진 노인으로 나타내어 죽음의 위협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젊은이의 모습으로 진리와 아름다움을 상징하기도 한다. 또 시간에 대한 이와 같은 새로운 시각은 비단 문학 뿐만은 아니었다. 설교와 교리와 논문 등 문학이외에도 전통적 중세 종교관에서 Calvinism에 이르기까지 시간에 대한 관심은 광범위했다. 특히 16세기 이후 시간에 대한 세속주의가 Montaigne나 Bruno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 것은 간과할 수 없는 혁신이었다. Spenser가 새것을 거부한 당시의 불가지론으로 전통에 회의를 느꼈기 때문에 애매한 태도로 전통에 충실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Spenser에게 시간과 무상은 매력적인 문제였다. The Ruines of Time, The Shepheardes Cslender, The Faerie Queen에서 그는 한결 같이 인생의 무상함을 다루었다. 그에게 있어서 시간은 심판자이며 젊음과 아름다움과 인간 사회의 원초적인 완전함을 파괴하는 요소였다.
Mutability Cantos에서도 개인에 대한 시간의 지배가 다루어지고, Lucretius나 Bruno의 사상이 언급되지만 그것은 다만 그들을 부정하기 위해서이다. 만물은 시간 앞에 무력한 존재라는 Lucretius의 생각은 신의 영원성이라는 기독교 견해와 상반된다. Bruno는 Expulsion에서 우주와 우주속의 생명체는 자율적으로 무상을 발견한다는 자유사상을 피력하고 있지만 Spenser에게 무상의 존재는 영원에 의해 보상받을 수 밖에 없다.
원칙적으로 Spenser는 시간을 초월한 신의 섭리를 신봉하고 있다. 시간의 파괴는 보다 더 큰 목적의 일부이며 시간은 영원한 곳에서 초월성을 지내게 된다는 기독교 사의 정통성을 그는 The Faerie Queen 마지막 부분에서 명백히 밝히고 있다.( VIII. viii.) 이와 같이 Spenser가 시간과 무상의 문제를 추상적인 신학 체계에서 해결하려 했다면 셰익스피어는 이 문제를 그의 소넷에서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 속에서 해결하려 했다. 셰익스피어는 먼저 인간과 시간을 서로 적대 관계에 놓고 보편성과 개별성의 맥락에서 해결을 시도했다. 이때의 보편성은 Spenser와 같은 철학적 보편성이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미치는 고통스러운 시간문제라는 뜻이며, 개별성이란 개인에 미치는 일시적인 경험이라는 뜻이다. 여하튼 중요한 것은 그의 소넷에 나타난 경험은 다양한 것으로 그것을 하나의 추상적인 논리로 체계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Sonnets에 나타난 영원과 변화라는 시간의 이원적 성격을 두고 볼 때 셰익스피어의 안정에 대한 표현은 언제나 변화에 대한 묘사를 거친 후에 이루어진다. 그는 경험으로서 상실과 쇠퇴를 깨닫고 그것을 객관화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무상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영원이라는 경험을 초월하는 영역을 신뢰하게 한다.
셰익스피어는 이와 같이 인간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간에 예속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변하지 않는 것, 시간 속에 있으면서도 시간에 예속하지 않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셰익스피어,『셰익스피어 소네트 전집』피천득 역. 샘터, 2005.
박옥선, “셰익스피어 소넷에 나타난 주제의 이원성” 부산대학교, 1990.
윤기권, "A Study of Sonnet: shakespeare, Milton & Donne". 『鮮文論叢 神學』 人文.社會科學, 1995.
Frype Northrop, "How True a Twain" in Edward Hubler, The Riddle of Shakespeare's Sonnets. New York: Octagon Books, 1982.
Huber, Edward, The Riddle of Shakespeare's Sonnets. New York: Basic Books, 1962.
Knight, G. Wilson. Shakespearean Dimensions. Sussex. The Harvest Press, 1984.
Lewis, C. S. English Literature in Sixteenth Century, Excluding Drama. Oxford: Clarendon, 1594.
Martin, Philip. Shakespeares's Sonnets: Self, Love and Ar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Ovid. Metamorphose. trans. A.D. Melville. Ox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7.11.0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