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과정
3. 수술 후 관리
4. 수술 후 간호
2. 과정
3. 수술 후 관리
4. 수술 후 간호
본문내용
있어 운동량에 따라서 박동수를 올리거나 낮춘다.
인공 심박동기는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줄을 쇄골밑의 정맥을 통해 심방이나 심실에 넣고,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계를 쇄골 밑의 피하에 위치시키고 줄을 연결하면 된다. 박동기 종류는 환자가 가진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심방과 심실 한군데만 전극 줄을 넣고 박동기 작용을 하게 하거나 심방과 심실 모두에서 박동기 작용을 하는 것들이 있다. 전지는 영구적이지 못하여 6~7년마다 바꿔줘야 한다.
2. 과정
1. 24시간 전에 박동기가 삽입될 위치를 소독액으로 닦는다.
2. 적어도 6시간은 금식을 하여야 하므로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저혈당에 주의해야 한다.
3. x-ray를 투시하면서 검사를 해야 하므로 여러 장비가 많은 방에 x-ray 기계에 부착된 침대에
인공 심박동기는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줄을 쇄골밑의 정맥을 통해 심방이나 심실에 넣고,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계를 쇄골 밑의 피하에 위치시키고 줄을 연결하면 된다. 박동기 종류는 환자가 가진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심방과 심실 한군데만 전극 줄을 넣고 박동기 작용을 하게 하거나 심방과 심실 모두에서 박동기 작용을 하는 것들이 있다. 전지는 영구적이지 못하여 6~7년마다 바꿔줘야 한다.
2. 과정
1. 24시간 전에 박동기가 삽입될 위치를 소독액으로 닦는다.
2. 적어도 6시간은 금식을 하여야 하므로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저혈당에 주의해야 한다.
3. x-ray를 투시하면서 검사를 해야 하므로 여러 장비가 많은 방에 x-ray 기계에 부착된 침대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