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실험기구
실험목적
시약이론
이론
실험방법
실험결과
토의
참고문헌
실험기구
실험목적
시약이론
이론
실험방법
실험결과
토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naphtholphthalein(A)
7.3∼8.7
담홍∼녹
2∼5방울
0.1 70%alc
tropaeolineOOO(B)
7.6∼8.9
황∼적
1∼5방울
0.1몰
phenolphthalein(A)
P.P.
8.3∼10.0
무∼적
3∼10방울
0.1 70%alc
thymol blue (A)
T.B.
8.0∼9.6
황∼청
1∼4방울
0.1 20%alc
thymolphthalein(A)
T.P.
9.3∼10.5
무∼청
3∼10방울
0.1 90%alc
alizarin yellow(A)
10.0∼12.0
황∼담자
5∼10방울
0.1몰
salicyl yellow(A)
10.0∼12.0
황∼등갈
1∼4방울
0.1 90%alc
tropaeoline O(B)
11.0∼13.0
황∼등갈
5∼10방울
0.1몰
nitramine(B)
10.8∼13.0
무∼등갈
1∼3방울
0.1 70%alc
2) 공업용 가성소다 중의 전체 알칼리 정량
① 삼각플라스크에 시액 50ml를 피펫으로 취한다.
② 메틸오렌지 2~3방울을 떨어뜨린다.
③ 표준 황산으로 황색에서 적색으로 변할 때까지 적정한다.
-계산-
0.1N 산의 1ml는 3.099mg Na2O에 해당한다.
%Na2O = (ml 산의 소비량×3.099mg/ml)/ (mg시료의 양) × 100
실험결과
* 이론값 : N V = N' V'
0.1 × 50 = 0.25 × V
∴ V = 125 ml
* 실험값 : V = 110ml
=> 오차 : 15 ml
<오차율>
0.1N 산의 1ml는 3.099mg Na2O에 해당한다.
Na2O = 62g/eq
(2당량) 0.1N= 3.1g/eq
∴ 산의 1㎖ = 약 3.1㎎/eq
조별토의
오차의 원인으로는 H2SO4 0.1N 제조과정에서 메스플라스크 눈금을 읽을 때와 시료 부피의 50ml 측정부분에서 부정확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 것 같다. 또한 색 변화 순간을 정확히 판단한 것이 어려웠다. 알칼리 정량 하면서 계산 값이 100%가 넘게 나왔는데 이 부분이 이해하기 힘들었고 시료의 농도가 0.25N이라고 뒤늦게 알게 되어서 더 이 값에 대해 많이 조사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www.kosha.net
두산세계대백과사전
http://www.nces.go.kr/R_Study/mpaqec/theory/volumetric/v-variety/neutral.htm
7.3∼8.7
담홍∼녹
2∼5방울
0.1 70%alc
tropaeolineOOO(B)
7.6∼8.9
황∼적
1∼5방울
0.1몰
phenolphthalein(A)
P.P.
8.3∼10.0
무∼적
3∼10방울
0.1 70%alc
thymol blue (A)
T.B.
8.0∼9.6
황∼청
1∼4방울
0.1 20%alc
thymolphthalein(A)
T.P.
9.3∼10.5
무∼청
3∼10방울
0.1 90%alc
alizarin yellow(A)
10.0∼12.0
황∼담자
5∼10방울
0.1몰
salicyl yellow(A)
10.0∼12.0
황∼등갈
1∼4방울
0.1 90%alc
tropaeoline O(B)
11.0∼13.0
황∼등갈
5∼10방울
0.1몰
nitramine(B)
10.8∼13.0
무∼등갈
1∼3방울
0.1 70%alc
2) 공업용 가성소다 중의 전체 알칼리 정량
① 삼각플라스크에 시액 50ml를 피펫으로 취한다.
② 메틸오렌지 2~3방울을 떨어뜨린다.
③ 표준 황산으로 황색에서 적색으로 변할 때까지 적정한다.
-계산-
0.1N 산의 1ml는 3.099mg Na2O에 해당한다.
%Na2O = (ml 산의 소비량×3.099mg/ml)/ (mg시료의 양) × 100
실험결과
* 이론값 : N V = N' V'
0.1 × 50 = 0.25 × V
∴ V = 125 ml
* 실험값 : V = 110ml
=> 오차 : 15 ml
<오차율>
0.1N 산의 1ml는 3.099mg Na2O에 해당한다.
Na2O = 62g/eq
(2당량) 0.1N= 3.1g/eq
∴ 산의 1㎖ = 약 3.1㎎/eq
조별토의
오차의 원인으로는 H2SO4 0.1N 제조과정에서 메스플라스크 눈금을 읽을 때와 시료 부피의 50ml 측정부분에서 부정확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 것 같다. 또한 색 변화 순간을 정확히 판단한 것이 어려웠다. 알칼리 정량 하면서 계산 값이 100%가 넘게 나왔는데 이 부분이 이해하기 힘들었고 시료의 농도가 0.25N이라고 뒤늦게 알게 되어서 더 이 값에 대해 많이 조사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www.kosha.net
두산세계대백과사전
http://www.nces.go.kr/R_Study/mpaqec/theory/volumetric/v-variety/neutral.htm
추천자료
산화 환원반응 KMnO
환경 화학 실험 예비레포트(COD)
암모니아성 질소 (NH3-N) (인도페놀법)
조단백정량
환원당 정량
(식품화학실험보고서)bertrand법에 의한 환원당 정량
분석. 실험 - 0.1N NaOH의 역가, 식초의 초산 함량, 과일주스의 유기산 함량, 소금물의 소금 ...
[분석화확실험] 비타민C의 요오드법 적정
산화-환원 적정(과망간산법)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 과망간산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 반응...
화학기초실험 - 물의 알칼리도와 산도 측정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
산화적정oxidimetry 과망간산법 실험 레포트
비타민 C의 요오드 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