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행정가치
Ⅲ. Weber의 관료제(근대적 관료제)
Ⅳ. 현대적 관료제
1. 1930년대의 修正理論(인간관계론자들의 입장)
2. 1960년대의 修正理論(발전행정론자들의 입장)
3. 1970년대 후기관료제 모형, 탈관료제 모형(신행정론자들의 입장)
Ⅴ. 결론
Ⅱ. 행정가치
Ⅲ. Weber의 관료제(근대적 관료제)
Ⅳ. 현대적 관료제
1. 1930년대의 修正理論(인간관계론자들의 입장)
2. 1960년대의 修正理論(발전행정론자들의 입장)
3. 1970년대 후기관료제 모형, 탈관료제 모형(신행정론자들의 입장)
Ⅴ. 결론
본문내용
는 애드호크라시를 "다양한 전문기술을 가진 비교적 이질적인 전문가들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집단을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변화가 빠르고, 적응적이며, 일시적인 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애드호크라시는 관료제와는 달리 유연성(flexibility)·적응성(adaptability)·대응성(responsiveness)·혁신성(innovation)이 높다는 점에서 유기적 조직구조에 속한다.
) 상게서, p.597; Daft, op. cit., p.479 참조.
애드호크라시는 여러 조직구조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매트릭스 조직이며 그밖에 태스크 포스, 위원회조직 등이 있다.
대표관료제 등의 1970년대 이후의 탈관료제 이론들은 능률성을 추구하는 관료제에서 민주성 및 사회적 형평을 추구하기 위한 조직관리의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위와 같이 현대관료제의 제모습과 그들의 추구가치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았다. Weber의 관료제가 합법성을 기초로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능률성(기계적 능률관)을 강조하여 철저히 인간적인 면을 배제하여 그에 따른 형식주의, 과잉동조, 인간소외 등과 같은 역기능에 대한 반발로써 1930년대의 인간관계론자들은 비판과 함께 관료제에 민주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들어서 후진국의 발전 문제에 관심을 두던 발전론자들은 후진국의 급속한 개발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짜여있는 행정관료조직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므로 행정이 정치적 기능까지도 떠맡아야 하며 관료제에 있어서도 법규의 합목적적 해석을 중요시하는 효과성을 중요시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현대사회의 조직의 신속하고 예상할 수 없는 변동, 조직규모의 확대, 현대과학기술의 복잡성, 관리형태의 변동 등에 관료제의 무사안일, 경직성, 융통성결여, 결정지연과 같은 역기능에 벗어나기 위한 매트릭스, 태스크포스와 같은 애드호크라시와 민주성을 보완하려는 대표관료제와 같은 탈관료제 모형을 제시하였다.
< 참고문헌 >
김인 外, 행정과 가치, 법문사, 1988.
김영종, 행정철학 , 법문사, 1997
김영종 外, 관료제와 행정철학, 법문사, 1987
김항규,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1999
박용치, 현대행정학원론, 경세원, 1995
백철현 外, 행정학, 형설출판사, 2000
오석홍. 1993. “미국의 대표관료제: 정부관료제의 대표성 제고를 위한 노력.” 「한국행정학보」 제27권 제2호.
) 상게서, p.597; Daft, op. cit., p.479 참조.
애드호크라시는 여러 조직구조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매트릭스 조직이며 그밖에 태스크 포스, 위원회조직 등이 있다.
대표관료제 등의 1970년대 이후의 탈관료제 이론들은 능률성을 추구하는 관료제에서 민주성 및 사회적 형평을 추구하기 위한 조직관리의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위와 같이 현대관료제의 제모습과 그들의 추구가치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았다. Weber의 관료제가 합법성을 기초로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능률성(기계적 능률관)을 강조하여 철저히 인간적인 면을 배제하여 그에 따른 형식주의, 과잉동조, 인간소외 등과 같은 역기능에 대한 반발로써 1930년대의 인간관계론자들은 비판과 함께 관료제에 민주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들어서 후진국의 발전 문제에 관심을 두던 발전론자들은 후진국의 급속한 개발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짜여있는 행정관료조직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므로 행정이 정치적 기능까지도 떠맡아야 하며 관료제에 있어서도 법규의 합목적적 해석을 중요시하는 효과성을 중요시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현대사회의 조직의 신속하고 예상할 수 없는 변동, 조직규모의 확대, 현대과학기술의 복잡성, 관리형태의 변동 등에 관료제의 무사안일, 경직성, 융통성결여, 결정지연과 같은 역기능에 벗어나기 위한 매트릭스, 태스크포스와 같은 애드호크라시와 민주성을 보완하려는 대표관료제와 같은 탈관료제 모형을 제시하였다.
< 참고문헌 >
김인 外, 행정과 가치, 법문사, 1988.
김영종, 행정철학 , 법문사, 1997
김영종 外, 관료제와 행정철학, 법문사, 1987
김항규,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1999
박용치, 현대행정학원론, 경세원, 1995
백철현 外, 행정학, 형설출판사, 2000
오석홍. 1993. “미국의 대표관료제: 정부관료제의 대표성 제고를 위한 노력.” 「한국행정학보」 제27권 제2호.
추천자료
행정-공무원인사관리론(적극적인사관리.직업공무원제.대표적관료제)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와 공공행정의 생산성 제고방안
관료제(행정이론)
우리나라 사회복지 행정의 가치와 이념
2009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영국과 미국의 관료제 비교설명)
[비교행정론] 중국(中國)의 관료제
미국정부(미국연방정부)의 역사, 혁신주의, 미국정부(미국연방정부)의 개입주의, 관료제, 미...
<행정학 조직관리론> (조직철학, 조직목표, 개인목표, 목표관리론, 애드호크라시, 사이버관료...
인사행정人事行政관의 역사적 변천 - 엽관제의 탄생배경(미국의 엽관주의, 영국의 정실주의, ...
행정학(行政學) 연구의 모형(조직모형, 관료제모형, 의사결정모형, 체계분석모형)
[고전적 조직이론] 고전적 조직이론의 생성배경,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행...
2015년 2학기 행정조직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론, 관료제론)
고전이론 중에서 관료제, 과학, 인간관계 특성과 예산 모형의 장점과 단점, 프로그램평가...
지역사회복지 실천 사례를 제시하고 지방자치제의 가치로 분석기술한 후(정치, 행정, 현실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