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실습과제(간호사 역할, 응급약물, 데일리, 검사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Ⅱ. 응급약물

Ⅲ. Daily Work Sheet

Ⅳ. Equipment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 도플러 검사 : 심장질환, 동맥경화, 하지 정맥류, 뇌혈류 검사기타 검사 : 경부 임파선, 갑상선, 유방 검사 및 기타 부위
5) 초음파검사가 필요한 경우
임신 중의 태아검사, 심장 등의 움직이는 장기에 대한 검사 시
암 검진을 포함하여 간, 담낭, 췌장, 신장, 갑상선, 유방 등의 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1차적인 검사
초음파는 혈관의 모양과 기능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 다리가 붇거나 무거운 느낌을 주는 정맥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뼈에 문제가 없는데도 걸을 때 통증을 느껴져 동맥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6) 초음파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 질환
간, 신장, 췌장, 담낭, 유방, 갑상선, 비장 등의 암이나 염증성 질환을 진단
지방간, 담석, 신결석, 복수, 임파선 종대 등을 쉽게 진단
몸에서 만져지는 종괴의 특성과 임신 중 태아의 건강상태를 쉽게 파악
혈관검사가 가능하기에 심부정맥혈전증, 정맥 판막 부전, 상하지의 동맥폐쇄 및 폐색 등의 진단
공기와 뼈를 통과할 수 없기에 뇌, 안면부, 폐, 위장관, 골격계 등의 질병 진단에는 적합하지 않다.
3. 심전도 Electrocardiogram
심전도 검사란
심장 박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를 심전계를 이용하여 곡선으로 체표면에서 기록하는 것
통증 없이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심장 활동에 대한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으므로 심장의 기능을 알아보는데 필수적인 검사
일반 건강검진에서 시행되는 것은 안정 상태에서의 ‘안정 심전도’ 검사
2)심전도의 목적
심장 리듬을 확인하고 심박동수를 측정한다.
부정맥, 맥박의 난조, 심장 리듬의 이상을 진단하고, 심박동수를 측정한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병과 고혈압으로 심근이 비대해지는 것을 진단한다.
심장병의 진행이나 회복 상태를 확인하고, 심장 카테터 검사, 마취나 수술 시 심장 상태를 관찰하며, 인공 심장 박동기의 기능을 평가한다.
3) 심전도검사의 방법 및 관리
안정한 상태로 침대에 반듯이 눕고, 전극을 붙일 피부를 알코올로 닦고, 마른 후 젤라틴을 바르고 전극을 부착한다.
전극은 주로 수족, 앞가슴 부위에 전극을 붙인 다음, 그 전극으로 유도된 전압의 변화를 심전계로 기록한다. 즉 가슴 중앙에서 시작해서 왼쪽으로 이어지는 부위에 6개, 양쪽 수족에 각기 1개씩 전극을 붙이고, 심장의 활동에 의해서 근육이나 신경에 전달되는 전류의 변화를 유도하여 기록한다.
이 때 전극을 붙인 위치와 연결 상태가 정확해야 올바른 결과를 볼 수 있다.
전극 줄을 심전도 기계와 연결하고, 기계를 표준화한 후 작동 시키면 심전도 파형이 기록된다. 만약 흉통과 같은 호소가 있을 경우에는 기록지의 해당 시간에 표시한다.
검사가 끝나면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제거하고 젤라틴을 닦아낸다. 검사는 바로 알 수 있으며 의사로부터 자세히 설명 듣게 된다.
심전도의 종류에는 오른쪽 발목에 붙이는 전극은 접지(接地)용이고, 나머지 9군데의 전압을 그대로 유도하는 단극 유도와 수족 전극사이의 전위차를 유도하는 쌍극 유도라고 부르는 방법도 있다.
심전도 검사 시간은 5∼10분 정도 소요된다.
4) 심전도검사의 결과 및 예후
심전도만으로 진단이 되는 경우는 곧바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심전도상 이상이 있는 경우는 심박동수, 리듬, 곡선이 비정상이다.
부정맥(맥박의 난조, 심장 리듬의 이상),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 질환, 심근증, 심막염, 동맥경화증, 고혈압에 수반되는 심장비대 등이 있으면 심전도에 변화가 있다.
또 협심증이 있더라도 안정 시에는 심전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협심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운동 부하 심전도를 통해서 갑자기 찾아올지 모르는 협심증을 미연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심초음파, 운동부하 심전도, 심장 카테터, 심장혈관 조영, 관상동맥 조영 등의 검사를 추가하여 질환의 진단과 치료법의 선택, 그리고 예후 판정을 하게 된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 질환은 일상생활에서 주의하면 대개의 경우 예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정신적인 긴장이나 과로를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해야 한다. 격렬한 운동, 갑작스럽게 매우 뜨겁거나 차가운 물로 목욕하는 등의 행위, 술, 담배 등은 좋지 않다. 식사는 균형 있게 하며, 염분은 약간 줄이는 것이 좋고, 폭식과 폭음은 피해야 한다.
5) 심전도검사의 주의사항
검사 전- 검사 1시간 전에는 커피와 담배 등 자극적인 물질과 운동은 피해야 한다. 그리고 전극을 붙여야 할 피부에 털이 많은 경우 면도하고, 피부와 전극이 전기가 잘 통하도록 젤라틴 크림을 바른다.
검사 시- 원칙적으로 상반신은 벗은 상태로 검사한다. 합성섬유 제품의 하의나 금속이 많이 달린(지퍼 등) 옷은 피한다. 물론 팔찌, 시계, 허리띠 장식 같은 금속제는 풀어놓는 것이 좋다. 안전하고 고통이 없는 검사로 전신의 힘을 빼고 편안히 검사한다.
Ⅴ. 참고문헌
◈ 오프라인 참고문헌
김광주 외.(2001). 응급간호메뉴얼. 현문사.
윤여규 외.(2005). 최신 응급의학. 의학문화사.
편집부 편저. (2006). 응급간호학. 예하미디어.
고유미 외(1999). 기본간호학 上. 정담미디어
한마음병원 (2004). 응급실임상간호지침서.
◈ 온라인 참고문헌
제주한라대학 e-learning 응급약물 편
http://blog.naver.com/h620221/120014998245
http://www.druginfo.co.kr/
http://www.kimsonline.co.kr/
◈ 사진자료
- 직접 촬영
응 급 실 보 고 서
Ⅰ.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Ⅱ. 응급약물
Ⅲ. Daily Work Sheet
Ⅳ. Equipment
Ⅴ. 참고문헌
실습 부서 : 한마음 병원 응급실
담당교수님 : 김현주 교수님
실습 기간 : 07. 10. 29 ~ 11. 9
제 출 일 : 07. 11. 12
제주 한라대학 간호과
2학년 G part
200401017 서호진
제 주 한 라 대 학
목 차
1.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1
2. 응급약물 1
3. Daily Work Sheet 13
4. Equipment 21
5. 참고문헌 25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11.1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