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면서...
■ 평면구조와 동선분석
■ 조명
■ 평면구조와 동선분석
■ 조명
본문내용
높은 1층일수록 더 조명수가 많고 할로겐을 더 많이 주입한 조명을 사용하여 더 밝게 빛나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화려함 속에서도 온화하고 밝은 느낌을 준다.
<롯데의1층 에스컬레이터 옆에 3층까지 뚫린 공간의조명>
<롯데 명품관의 조명>
검은 대리석 바닥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태화는 어느 곳 이든 같은 조명방식을 이용하지만, 롯데는 명품관이라는 특별한 공간의 고급스럽고 럭셔리한 특성을 살리기 위해 조명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대리석 바닥위에서 빛나는 조명들이 보석처럼 반짝거려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사람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롯데 1층 천장조명>
밑에만 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바닥형태에 맞추어 천장조명도 길처럼 뻗어있고 가지처럼 뻗어나가고 조명크기도 크고 작은 것을 다양하게 배열하였다.
노란색 빛 조명과 흰색을 적절히 섞어서 더욱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었다.
<쥬디스 태화의 입구와 매장 내 조명>
이와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태화는 1층2층3층 어디든지 똑같은 색깔, 똑같은 크기의 흰색조명이 같은 간격으로, 그리고 길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있다.
● 매장의 조명
<쥬디스 태화의 매장 조명 방식>
위의 두 사진이 롯데백화점의 조명방식과 확실히 차이가 나는 점이다.
조명의 목적을 두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그중 하나는 사물을 보게 하는 조명이고 다른 하나는 기분과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조명이다.
태화의 매장조명을 살펴보니 실내의 통로가 어두운 이유를 알 수가 있었다. 매장의 천장에는 칸막이가 내려와 있고, 그곳에 설치된 아주 밝은 조명은 단지 그들의 상품을 더 멋져보이도록, 더 주목받도록 계획되었다.
그곳을 지나는 사람의 기분을 유괘하고 즐겁게 만들어주기 보다는 자신이 팔고자 하는 물건을 부각시키고 돋보이게 하여 판매량을 늘리고자 한 쇼핑몰의 전략인 것이다.
통로에 배치된 조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위의 사진에도 있다.
실내를 밝히고자 한 조명이 광고판에 가려지고 반사되어 제대로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태화에서는 빛을 이용해 쇼핑객들의 마음과 기분을 편하게 해주려는 시도는 거의 하지 않고 빛이 고객들의 눈을 끌어내어 광고 효과가 생기기만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비해 롯데의 조명은 천장에서 강한 빛을 줌으로서 전체 분위기를 띄우는 조명방식이다.
롯데 측에 있어서도 상품을 많이 팔고자 하는 목적은 동일하지만 제품을 강조하는 대신 사고자 하는 욕구를 끌어올리는데 더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태화에서 특히 조명이 특별한 곳이 한 군데 있는데 그곳은 귀금속 매장이다.
<태화 1층의 귀금속 매장조명>
이곳은 유일하게 맞춤화 조명이 시행되고 있다.
천장을 보면, 좀더 가까이에서 조명을 비추기 위해 테두리로 단이 내려와 있으며 그 위에 크기가 큰 조명을 배치하였다. 테두리 단 내부천장은 조명을 없애어 대비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귀금속 매장근처는 화려하고 환해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금, 은 보석을 더욱 환하고 빛나게 보이도록 하는 조작이다.
태화가 단지 한군데에 한해
<롯데의1층 에스컬레이터 옆에 3층까지 뚫린 공간의조명>
<롯데 명품관의 조명>
검은 대리석 바닥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태화는 어느 곳 이든 같은 조명방식을 이용하지만, 롯데는 명품관이라는 특별한 공간의 고급스럽고 럭셔리한 특성을 살리기 위해 조명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대리석 바닥위에서 빛나는 조명들이 보석처럼 반짝거려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사람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롯데 1층 천장조명>
밑에만 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바닥형태에 맞추어 천장조명도 길처럼 뻗어있고 가지처럼 뻗어나가고 조명크기도 크고 작은 것을 다양하게 배열하였다.
노란색 빛 조명과 흰색을 적절히 섞어서 더욱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었다.
<쥬디스 태화의 입구와 매장 내 조명>
이와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태화는 1층2층3층 어디든지 똑같은 색깔, 똑같은 크기의 흰색조명이 같은 간격으로, 그리고 길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있다.
● 매장의 조명
<쥬디스 태화의 매장 조명 방식>
위의 두 사진이 롯데백화점의 조명방식과 확실히 차이가 나는 점이다.
조명의 목적을 두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그중 하나는 사물을 보게 하는 조명이고 다른 하나는 기분과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조명이다.
태화의 매장조명을 살펴보니 실내의 통로가 어두운 이유를 알 수가 있었다. 매장의 천장에는 칸막이가 내려와 있고, 그곳에 설치된 아주 밝은 조명은 단지 그들의 상품을 더 멋져보이도록, 더 주목받도록 계획되었다.
그곳을 지나는 사람의 기분을 유괘하고 즐겁게 만들어주기 보다는 자신이 팔고자 하는 물건을 부각시키고 돋보이게 하여 판매량을 늘리고자 한 쇼핑몰의 전략인 것이다.
통로에 배치된 조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위의 사진에도 있다.
실내를 밝히고자 한 조명이 광고판에 가려지고 반사되어 제대로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태화에서는 빛을 이용해 쇼핑객들의 마음과 기분을 편하게 해주려는 시도는 거의 하지 않고 빛이 고객들의 눈을 끌어내어 광고 효과가 생기기만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비해 롯데의 조명은 천장에서 강한 빛을 줌으로서 전체 분위기를 띄우는 조명방식이다.
롯데 측에 있어서도 상품을 많이 팔고자 하는 목적은 동일하지만 제품을 강조하는 대신 사고자 하는 욕구를 끌어올리는데 더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태화에서 특히 조명이 특별한 곳이 한 군데 있는데 그곳은 귀금속 매장이다.
<태화 1층의 귀금속 매장조명>
이곳은 유일하게 맞춤화 조명이 시행되고 있다.
천장을 보면, 좀더 가까이에서 조명을 비추기 위해 테두리로 단이 내려와 있으며 그 위에 크기가 큰 조명을 배치하였다. 테두리 단 내부천장은 조명을 없애어 대비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귀금속 매장근처는 화려하고 환해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금, 은 보석을 더욱 환하고 빛나게 보이도록 하는 조작이다.
태화가 단지 한군데에 한해
추천자료
김동리 소설 연구-작품내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남정현의 소설 <분지> 분석
오스람 코리아 경영 분석
디자인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 스타벅스 커피 전문점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
스타벅스의 마케팅전략과 핵심성공요인 분석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구조분석
수노래방의 서비스 전략 분석 (마케팅 전략 포함) A+
발광다이오드와 기술동향 및 시장분석
SPA브랜드 ZARA 글로벌 경영분석
허안화 감독의 반생연 분석(여자그들이그려낸여자들의이야기)
동대문 시장 분석
[대중문화와 영화 분석]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소쇄원에 반영된 한국전통건축 공간구성방법 분석을 통한 현대건축과의 연계가능성 탐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