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회로도
3.실험측정값
4.결론및고찰
2.실험회로도
3.실험측정값
4.결론및고찰
본문내용
다.
그러나. 저항이 앞의 것에 비해 큰 40㏀. 100㏀에서는 각각 40㏀(0.005㏀), 100㏀(0.001㏀)의 오차를 보이면서 검류계의 내부저항을 측정할 수 있었다. 검류계의 내부저항에 의해 자체의 전압강하가( 0.2V, 0.1V) 발생하였다. 실제로 이상적인 검류계는 내부저항이 "0"이어야 하는데 내부저항이 발생하여 정확한 이론 값과 다르게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항이 작은 것보다는 저항이 큰 것에서 오차가 발생함을 보이면서 실험이 10V로 전압을 고정시켜서 작은 전압과 큰 전압과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는 것이 아쉬웠다. 참고로 검류계가 정측이 안 되는 경우 그것은 검류계의 한계 값을 넘어서는 것이므로 분로저항을 연결하여 저항을 분산시켜 검류계의 측정범위에 도달하도록 해줘야 한다.
그러나. 저항이 앞의 것에 비해 큰 40㏀. 100㏀에서는 각각 40㏀(0.005㏀), 100㏀(0.001㏀)의 오차를 보이면서 검류계의 내부저항을 측정할 수 있었다. 검류계의 내부저항에 의해 자체의 전압강하가( 0.2V, 0.1V) 발생하였다. 실제로 이상적인 검류계는 내부저항이 "0"이어야 하는데 내부저항이 발생하여 정확한 이론 값과 다르게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항이 작은 것보다는 저항이 큰 것에서 오차가 발생함을 보이면서 실험이 10V로 전압을 고정시켜서 작은 전압과 큰 전압과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는 것이 아쉬웠다. 참고로 검류계가 정측이 안 되는 경우 그것은 검류계의 한계 값을 넘어서는 것이므로 분로저항을 연결하여 저항을 분산시켜 검류계의 측정범위에 도달하도록 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