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갈등 당사자들이 공동으로 추구해야
할 상위목표를 제시.
공동의 적 제시: 잠정적으로 갈등을 해소, 잠복. 상위목표 제시의 소극적 측면
자원의 증대(Expansion of Resources): 희소자원 획득을 위한 경쟁에서 촉
발되는 갈등 해소에는 가장 효과적이나 전체적 가용자원은 한정되어 많은 제
약이 따른다.
회피(Avoidance): 단기적 완화 방법으로 근본적인 해소 방법은 되지 못한다.
의사결정 보류, 갈등 당사자들의 접촉 피하도록 하기, 갈등행동을 억압.
완화 혹은 수용(Soothing or Accommodation): 갈등 당사자들의 차이점을
호도, 유사점이나 공동의 이익을 강조하여 갈등을 해소. 완화는 잠정적이고
피상적인 갈등해소의 방법으로 당사자의 근본적 차이점 해결 못함.
타협(Compromise): 당사자들이 부분적으로 양보하여 공동의 결정에 도달하
도록 하는 방법. 상충되는 주장을 절충한 결정이기 때문에 어느 당사자에게
도 최상의 결정이 되지 못한다. 잠정적인 갈등 해소 방법
협상(Negotiation):
분배적 협상(Distributive Negotiation):
승패를 판가름하려고 각기 자기 몫을 주장
통합적 협상(Integrative Negotiation):
모두 승리자가 될 수 있도록 공동의 이익 또는 효용을 키우는 방안을 탐색
상관의 명령: 제3자에 의한 중재와 유사. 표면화된 갈등행동만을 해소.
갈등 당사자의 태도 변화: 인적 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갈등을 예방 또는 해
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구조적 요인의 개편: 구조적 요인을 변화 (인사교류, 조정담당 직위 또는 기
구의 신설, 이의제기제도의 실시, 조직 단위의 합병, 갈등집단의 분리, 지위체
제의 개편, 업무 배분의 변경, 보상 체제의 개편)
② 갈등 조성의 전략
의사전달 통로의 변경: 표준화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의사전달 통로를 변경.
정보전달 억제 또는 정보과다 조성: 조직 구성원이 얻으려는 정보를 감추거
나 지나치게 많은 의사전달을 함.
구조적 분화: 조직 내 계층 수, 기능적 조직 단위의 수를 늘려 견제의 역할
을 수행하게 함. 조직 단위 간의 의존도를 높이면 더욱 갈등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구성원의 재배치와 직위 간 관계의 재설정: 관련된 조직 단위의 동질성을 와
해, 의사결정권을 재분배, 상호 감시 기능을 확대
리더쉽 스타일의 변경
구성원의 태도 변화
할 상위목표를 제시.
공동의 적 제시: 잠정적으로 갈등을 해소, 잠복. 상위목표 제시의 소극적 측면
자원의 증대(Expansion of Resources): 희소자원 획득을 위한 경쟁에서 촉
발되는 갈등 해소에는 가장 효과적이나 전체적 가용자원은 한정되어 많은 제
약이 따른다.
회피(Avoidance): 단기적 완화 방법으로 근본적인 해소 방법은 되지 못한다.
의사결정 보류, 갈등 당사자들의 접촉 피하도록 하기, 갈등행동을 억압.
완화 혹은 수용(Soothing or Accommodation): 갈등 당사자들의 차이점을
호도, 유사점이나 공동의 이익을 강조하여 갈등을 해소. 완화는 잠정적이고
피상적인 갈등해소의 방법으로 당사자의 근본적 차이점 해결 못함.
타협(Compromise): 당사자들이 부분적으로 양보하여 공동의 결정에 도달하
도록 하는 방법. 상충되는 주장을 절충한 결정이기 때문에 어느 당사자에게
도 최상의 결정이 되지 못한다. 잠정적인 갈등 해소 방법
협상(Negotiation):
분배적 협상(Distributive Negotiation):
승패를 판가름하려고 각기 자기 몫을 주장
통합적 협상(Integrative Negotiation):
모두 승리자가 될 수 있도록 공동의 이익 또는 효용을 키우는 방안을 탐색
상관의 명령: 제3자에 의한 중재와 유사. 표면화된 갈등행동만을 해소.
갈등 당사자의 태도 변화: 인적 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갈등을 예방 또는 해
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구조적 요인의 개편: 구조적 요인을 변화 (인사교류, 조정담당 직위 또는 기
구의 신설, 이의제기제도의 실시, 조직 단위의 합병, 갈등집단의 분리, 지위체
제의 개편, 업무 배분의 변경, 보상 체제의 개편)
② 갈등 조성의 전략
의사전달 통로의 변경: 표준화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의사전달 통로를 변경.
정보전달 억제 또는 정보과다 조성: 조직 구성원이 얻으려는 정보를 감추거
나 지나치게 많은 의사전달을 함.
구조적 분화: 조직 내 계층 수, 기능적 조직 단위의 수를 늘려 견제의 역할
을 수행하게 함. 조직 단위 간의 의존도를 높이면 더욱 갈등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구성원의 재배치와 직위 간 관계의 재설정: 관련된 조직 단위의 동질성을 와
해, 의사결정권을 재분배, 상호 감시 기능을 확대
리더쉽 스타일의 변경
구성원의 태도 변화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사(고전적관리론,인간관계론,행동과학)
특수교육행정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 정보시스템 구축사업[NEIS] 에 관한 고찰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과정
[지방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제도]지방교육자치(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념과 현황 및 지방교...
[교육행정][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교육행정의 정의, 교육행정의 원리, 교육행정의 성격,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정의, 배경, 필요성, 보안체제와 교...
[행정학][행정학교육][행정학 미래][행정학교육 위기][행정학교육 보완점][행정학교육 과제]...
교육행정완결판
사회복지행정조직의 활동에 제약이 되는 내부 외부 환경요소를 예시하고 해소방안이 무엇인지...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등 ...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