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찰
2.본론
3)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Patient Profile
-Nursing Hisrory
-과거 건강력 사정
-각 질환 계통별 사정
간호사정
검사소견
약물치료
4)현재 병력 사정
5)Problem List
6)간호진단(NANDA)
7)간호과정적용
3.결론
1)소감
2)참고문헌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찰
2.본론
3)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Patient Profile
-Nursing Hisrory
-과거 건강력 사정
-각 질환 계통별 사정
간호사정
검사소견
약물치료
4)현재 병력 사정
5)Problem List
6)간호진단(NANDA)
7)간호과정적용
3.결론
1)소감
2)참고문헌
본문내용
00
16:00
23:00
08:00
16:00
23:00
01/15
150/30
166/64
132/64
01/18
151/70
160/90
150/90
01/16
151/67
144/72
165/74
01/19
140/80
150/70
160/80
01/17
162/62
149/70
177/74
혈압이 높음.
BUN과 creatinine이 증가함.
01/08
01/15
Creatinine
3.13
3.19
BUN
29.5
36.6
매주 화, 금 HD 투석.
- 주관적 자료: “매일 혈압이 높네..” “혈압약 매일 먹는데..”
간호 목표
- 장기적 목표:
N1. 1/31일 까지 혈압이 120/80 안 밖 정도로 유지될 것이다.
- 단기적 목표:
N2. 1/19일 까지 투석 후 Creatinine 과 BUN 수치가 낮아질 것이다.
간호 계획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염분이 낮은 식이를 섭취하도록 권한다.
#3. 두통이 있는지 확인한다.
#4. 필요시 고혈압 약를 변경한다.
간호 수행
- 혈압이 높게 측정될 때마다 1시간 마다 F/U을 했다.
- 두통이 있는지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마다 물어보았다.
이론적 근거
#2. 염분의 과다섭취는 신장에서 쉽게 내보낼 수 없으므로 체내에 염분의 축적과 더불어 수분이 늘어나서 호흡곤란과 폐부종, 말초부종과 고혈압이 나타난다.
#3. 혈압이 높아지면 두통을 호소한다.
간호 평가
N2. 1/19일 Creatinine (3.48), BUN (36.9) 정상치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일시
2006/01/19
간호 진단
욕창과 관련된 감염
간호 사정
- 객관적 자료:
01/02 GS (Wound): ESRD(+)
: Strains of klebsiella spp. and E.coli that produce ESBL may be clicillins, cephalosporins, or aztreonam, despite apparent in vitro susceptibillty to some of these agents.
01/10
01/22
CRP
1.14
3.66
Coccyx Sore (8*10*2.5)
간호 목표
- 장기적 목표:
N1. 1/30일까지 Wound에 새로운 감염균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단기적 목표:
N2. 1/23일까지 감염증상(발열)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1.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욕창 부위 감염증상(통증, 발열, 분비물, 피부색)을 관찰한다.
#3. 열감이 있을 시에는 간호사에게 말하라고 설명한다.
#4. Wound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5. 대상자 care 전, 후 항상 손을 씻는다.
#6.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7. 단백질,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간호 수행
-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 열감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설명했다.
- Dressing 하루 2번, 일주일에 2회 욕창 전문 간호사가 무균적으로 시행했다.
- 대상자 Care 전, 후 손을 씻었다.
- 처방된 항생제 (Prepenem -> Ertapenem 1g)을 투여했다.
이론적 근거
#23. 발열은 감염의 초기증상이다.
#4. 무균적 처치는 감염을 예방한다.
#5. 세균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손의 먼지나 transient bacteria를 제거하여 resident bacteria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6. 항생제는 세균(박테리아)을 박멸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이다.
간호 평가
N1. 1/24일 현재까지 새로운 감염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N2. 1/23일까지 발열증상 없었다.
08:00
16:00
23:00
01/21
6.7
6.5
7.1
01/22
6.8
6.7
7.3
01/23
7.0
6.9
6.2
일시
2006/01/19
간호 진단
오랜 투병생활과 관련된 자긍심 저하.
간호 사정
- 주관적 자료:
“늙어서 죽어야지..”
-객관적 자료:
잘 웃지 않는 모습이 보임.
대화 시 죽어야겠다는 말을 함. (10분 대화 시 3회 정도)
대화 시 말을 잘 하지 않는 모습을 보임.
간호 목표
- 단기적 목표:
N1. 1/22일까지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웃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N2. 1/24일까지 대화 시 죽어야겠다는 말의 횟수가 줄어들 것이다. (3회->2회)
간호 계획
#1. 하루 3번 정도 찾아가 대화를 시도한다.
#2. 과거의 성공했던 일을 말하게 하여 성취감을 느끼도록 한다.
#3. 가족들과의 대화를 늘리도록 하기 위해 가족들에게 방문을 하라고 말해준다.
#4. 스스로 하려는 의지가 보이면 “잘했다” 며 칭찬해 준다.
#5. 다른 환자들과 대화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 수행
- 하루 2~3회 찾아가 대화를 시도하였다.
- 대화하면서 과거의 자신이 행복했었던 일들을 말해보도록 하였다.
이론적 근거
#2. 과거의 성공했던 일들은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자긍심 증진에 도움을 준다.
간호 평가
N1. 1/22일 다른 환자들과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았다.
웃는 모습을 간간히 볼 수 있었다.
Ⅲ.결론
1. 소감
이렇게 큰 욕창는 처음 보아서 깜짝 놀랐었다. 이 대상자는 16년 동안이나 이 욕창으로 고생해 왔으며 뼈까지 보일 정도이다. 욕창이라는 것을 자세히 본 것이 이번이 처음이고 이렇게 큰 욕창을 본 것도 처음이었다. 그래서 더욱 놀란 것 같다. 그리고 이 대상자는 욕창만으로 고생하는 것이 아니라 만성신부전 진단도 받아 혈액투석을 하고 있다. 게다가 하지마비, 당뇨병,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사례연구를 하는 기간 동안에 대상자는 삶의 의욕이 없어보였다. 여러 가지 질병을 갖고 있고 나이도 많아서 의욕이 없는 것 같았다. 마음은 대상자에게 힘을 주는 말을 해주고 지지해줄 수 있는 대상이 되고 싶었다. 하지만 나의 역량이 부족해서 그 일은 너무 힘들었다. 결국 내가 해 준 것은 몇 마디 말 뿐이었다.
앞으로 남은 실습을 하는 동안 간호사가 되어 대상자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2. 참고문헌
#1. Daum, Naver 지식인
#2. Naver 백과사전
16:00
23:00
08:00
16:00
23:00
01/15
150/30
166/64
132/64
01/18
151/70
160/90
150/90
01/16
151/67
144/72
165/74
01/19
140/80
150/70
160/80
01/17
162/62
149/70
177/74
혈압이 높음.
BUN과 creatinine이 증가함.
01/08
01/15
Creatinine
3.13
3.19
BUN
29.5
36.6
매주 화, 금 HD 투석.
- 주관적 자료: “매일 혈압이 높네..” “혈압약 매일 먹는데..”
간호 목표
- 장기적 목표:
N1. 1/31일 까지 혈압이 120/80 안 밖 정도로 유지될 것이다.
- 단기적 목표:
N2. 1/19일 까지 투석 후 Creatinine 과 BUN 수치가 낮아질 것이다.
간호 계획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염분이 낮은 식이를 섭취하도록 권한다.
#3. 두통이 있는지 확인한다.
#4. 필요시 고혈압 약를 변경한다.
간호 수행
- 혈압이 높게 측정될 때마다 1시간 마다 F/U을 했다.
- 두통이 있는지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마다 물어보았다.
이론적 근거
#2. 염분의 과다섭취는 신장에서 쉽게 내보낼 수 없으므로 체내에 염분의 축적과 더불어 수분이 늘어나서 호흡곤란과 폐부종, 말초부종과 고혈압이 나타난다.
#3. 혈압이 높아지면 두통을 호소한다.
간호 평가
N2. 1/19일 Creatinine (3.48), BUN (36.9) 정상치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일시
2006/01/19
간호 진단
욕창과 관련된 감염
간호 사정
- 객관적 자료:
01/02 GS (Wound): ESRD(+)
: Strains of klebsiella spp. and E.coli that produce ESBL may be clicillins, cephalosporins, or aztreonam, despite apparent in vitro susceptibillty to some of these agents.
01/10
01/22
CRP
1.14
3.66
Coccyx Sore (8*10*2.5)
간호 목표
- 장기적 목표:
N1. 1/30일까지 Wound에 새로운 감염균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단기적 목표:
N2. 1/23일까지 감염증상(발열)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1.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욕창 부위 감염증상(통증, 발열, 분비물, 피부색)을 관찰한다.
#3. 열감이 있을 시에는 간호사에게 말하라고 설명한다.
#4. Wound Dressing을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5. 대상자 care 전, 후 항상 손을 씻는다.
#6.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7. 단백질,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간호 수행
-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 열감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설명했다.
- Dressing 하루 2번, 일주일에 2회 욕창 전문 간호사가 무균적으로 시행했다.
- 대상자 Care 전, 후 손을 씻었다.
- 처방된 항생제 (Prepenem -> Ertapenem 1g)을 투여했다.
이론적 근거
#23. 발열은 감염의 초기증상이다.
#4. 무균적 처치는 감염을 예방한다.
#5. 세균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손의 먼지나 transient bacteria를 제거하여 resident bacteria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6. 항생제는 세균(박테리아)을 박멸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이다.
간호 평가
N1. 1/24일 현재까지 새로운 감염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N2. 1/23일까지 발열증상 없었다.
08:00
16:00
23:00
01/21
6.7
6.5
7.1
01/22
6.8
6.7
7.3
01/23
7.0
6.9
6.2
일시
2006/01/19
간호 진단
오랜 투병생활과 관련된 자긍심 저하.
간호 사정
- 주관적 자료:
“늙어서 죽어야지..”
-객관적 자료:
잘 웃지 않는 모습이 보임.
대화 시 죽어야겠다는 말을 함. (10분 대화 시 3회 정도)
대화 시 말을 잘 하지 않는 모습을 보임.
간호 목표
- 단기적 목표:
N1. 1/22일까지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웃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N2. 1/24일까지 대화 시 죽어야겠다는 말의 횟수가 줄어들 것이다. (3회->2회)
간호 계획
#1. 하루 3번 정도 찾아가 대화를 시도한다.
#2. 과거의 성공했던 일을 말하게 하여 성취감을 느끼도록 한다.
#3. 가족들과의 대화를 늘리도록 하기 위해 가족들에게 방문을 하라고 말해준다.
#4. 스스로 하려는 의지가 보이면 “잘했다” 며 칭찬해 준다.
#5. 다른 환자들과 대화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 수행
- 하루 2~3회 찾아가 대화를 시도하였다.
- 대화하면서 과거의 자신이 행복했었던 일들을 말해보도록 하였다.
이론적 근거
#2. 과거의 성공했던 일들은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자긍심 증진에 도움을 준다.
간호 평가
N1. 1/22일 다른 환자들과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았다.
웃는 모습을 간간히 볼 수 있었다.
Ⅲ.결론
1. 소감
이렇게 큰 욕창는 처음 보아서 깜짝 놀랐었다. 이 대상자는 16년 동안이나 이 욕창으로 고생해 왔으며 뼈까지 보일 정도이다. 욕창이라는 것을 자세히 본 것이 이번이 처음이고 이렇게 큰 욕창을 본 것도 처음이었다. 그래서 더욱 놀란 것 같다. 그리고 이 대상자는 욕창만으로 고생하는 것이 아니라 만성신부전 진단도 받아 혈액투석을 하고 있다. 게다가 하지마비, 당뇨병,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사례연구를 하는 기간 동안에 대상자는 삶의 의욕이 없어보였다. 여러 가지 질병을 갖고 있고 나이도 많아서 의욕이 없는 것 같았다. 마음은 대상자에게 힘을 주는 말을 해주고 지지해줄 수 있는 대상이 되고 싶었다. 하지만 나의 역량이 부족해서 그 일은 너무 힘들었다. 결국 내가 해 준 것은 몇 마디 말 뿐이었다.
앞으로 남은 실습을 하는 동안 간호사가 되어 대상자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2. 참고문헌
#1. Daum, Naver 지식인
#2. Naver 백과사전
키워드
추천자료
사례연구
사례연구가 갖는 의미와 내용 및 철도청 공사화 추진의 문제점
정책사례연구 - 한국전력 구조개편과 민영화
단일사례연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청소년기 특징, 청소년기 발달과정, 실천사례, 사례연구에 관한 보고서
[평생교육방법론]체험적 교육방법 교수-학습기법의 사례와 분석 - 미술 치료 사례연구-
[평생교육방법론]체험적 교육방법 교수-학습기법의 사례와 분석 - 미술 치료 사례연구-
[아동발달] 아동발달연구의 자료수집의 방법 - 관찰법, 면접법, 질문지법, 사례연구, 검사법,...
경영전략사례연구 종합정리 (휘센,딤채,타이어뱅크,하이마트,이케아,질레트,페덱스,코닥,제록...
질적 조사연구의 이해 (과학적 방법과 실증주의, 질적 조사방법의 특성, 근거 이론, 사례연구)
물류기업의 윤리경영 성공,실패 사례분석 (신세계,금호아시아나,현대글로비스 윤리경영 사례...
★추천자료★[놀이치료 Play teraphy] 놀이치료 개념, 놀이치료 필요성, 놀이치료 사례연구, 놀...
청소년지원센터실습일지 4주간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지도자점검,슈퍼바이져비젼, 사례연구, ...
행정사례연구- 감천문화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