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임의 전반적 이해
2. 불임의 정의
3. 불임의 원인
4 불임의 사정 및 검사절차
5. 불임 시술
6. 불임간호
7. 시험관 아기
8. 임신을 도와주는 보조 시술
2. 불임의 정의
3. 불임의 원인
4 불임의 사정 및 검사절차
5. 불임 시술
6. 불임간호
7. 시험관 아기
8. 임신을 도와주는 보조 시술
본문내용
실시한다.
② 자궁경 검사(hysteroscopy) : 자궁경관과 자궁강 내를 직접 관찰하여 이상 소견을 조사하는 내시경법이다. 직경 3mm정도의 가느다란 자궁경을 자궁 경부를통해 자궁에 삽입한후 자궁속을 눈으로 직접 관찰하는 내시경 검사다. 검사하는 중에 이상이 발견되면 자궁경을 통해 직접 수술할수도 있는 새로운 검사법으로서, 자궁기형, 자궁내 유착, 자궁강 내 종양, 자궁 내막의 이상, 원인 불명으로 인한 불임등의 경우에 시행한다.
검 사
시 기
목 적
호르몬 검사
생리 2~3일째
난소기능 및 배란기능 확인
성교 후 검사
배란기 때
점액상태, 점액내 잔존하는 정자 상태 평가
자궁난 관조영술
생리후 2~5일째
나팔관 폐쇄 및 유착 등을 알 수 있음
자궁경 검사
생리 7일째
자궁근종, 자궁내막 유착, 자궁내 기형 구별
기초체온표
매일, 본인이 직접 가능
배란 여부 확인, 배란 직후 체온 0.5℃ 증가
자궁내막검사
예상 생리 2~3일전
배란 여부 확인, 자궁내막의 발달 상태 평가
황체기호르몬 검사
배란 후 7일째
배란 유무 및 황체기능 평가
복강경 검사
생리 끝난 후
유착 또는 자궁내막증 등의 특정 질환 진단
항정자항체 검사
항상 가능
정자에 대한 항체 유무 확인, 정상적인 수정 가능한지 검사
4. 불임 시술
1. TIMED COITUS : 부인의 배란기를 계산하여 임신 가능한 날짜에 성 관계 가짐.
2. 인공수정 :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통하지 않고 부인의 배란기에 맞추어 남편정액을 부인 의 자궁 내 에 넣음
3. 시험관 아기 : 시험관 내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성립되면 그 수정란을 자궁내 에 이식하고 과배란 유도 하고 난자회수 하여 정자준비 및 체외 수정 하 여 배아이식
5. 불임 환자의 간호
불임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아기를 원하셔서 오셨나요?
6. 시험관 아기
① 정상임신의 과정
난소에서 난자가 배출되는 현상을 배란이라고 하는데, 약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통 1개의 난자가 배란되게 됩니다. 배란된 난자는 난소의 표면에 붙어있게 됩니다.
난관채가 난소로 이동하여 난소에 붙어있는 난자를 끌어들여 나팔관팽대부위로 들어오게 합니다.
배란기가 되면 자궁문(자궁경부)에서 맑은 경관점액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부부생활을 하게 되면 사정된 수억마리의 정자 중에서 우수한 일부의 정자들이 점액을 타고 자궁경부를 통해 자궁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 정자들은 자궁을 거쳐 긴 여행끝에 나팔관팽대부위에 도달하여 난자를 만나게 됩니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결합하는 것을 수정이라고 하며, 이 결과 생긴 새 생명체를 수정란 이라고 합니다. 수정란은 2세포기, 4세포기 등으로 세포분열을 하며, 자궁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수정 4~5일 후 수정란은 자궁으로 들어가서 자궁내막에 자리를 잡게 되는데 이것을 착상이라고 합니다. 착상된 수정란은 계속 성장하여 건강한 태아가 자라게 됩니다.
② 시험관 아기란?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아기. 난자를 몸 밖으로 꺼내어 유리관 안에서 정자와 결합시키고 포배기까지 60시간을 배양한 뒤, 배(胚)를 다시 모체로 옮겨 자궁에 착상시켜 완전한 태아로 발육시키는 방식. 1978년에 영국의 울드램 병원에서 세계 최초로 탄생하였다
③ 비용, 성공률
250-300만원 , 30-40% , 나이가 많을수록 성공률이 낮다 .
④ 주요 합병증
배란제의 위험, 쌍둥이 낳을 확률, 유산확률, 복부팽만감, 구토 , 기분변화, 다태임신
⑤ 수정란 냉동
과배란을 유도하면 보통 4-5개의 난자만 사용, 나머지는 냉동보관하여 다음에 사용하거나 모체가 임신하기 쉬운 시간에 녹여서 사용한다.
⑥시술후 다음 단계
배아이식 2주후 임신 test
5주경에는 초음라로 태낭확인
7. 임신을 도와주는 보조시술 (보조생식술)
① ICSI(Intra Cytoplasmic Sperm Injection)
미세 수정은 일반적인 체외 수정 방법으로는 수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 미세 현미경 조작술을 이용해 난자의 세포질 내에 정자를 직접 주입해 수정시키는 방법이며. 심한 남성불임이나 면역학적인 요인을 수정에 실패한 경우에 임신을 시도할 수 있는 최신 보조 생식술의 한 방법이다.
TESE(testicular sperm extraction)
고환내 정자 적축술 : 고환 조직일부를 떼어내어 정자채취
② 난자제공 : 난소가 없거나 난소가 난자를 생산할 수 없는 경우 그러나 현재는 법으로 금지
③ 대리모
선천적으로 자궁이 없거나 수술로 자궁을 제거한 경우, 심한 자궁 내막 유착이나 자궁 내막 질환으로 임신이 되지 않거나 계속 유산되는 경우, 또는 임신을 하면 산모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 등에는 대리모를 통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시술방법은 시험관 아기 시술과 같은 방법으로 불임 여성의 난자를 채취해 남편의 정자와 체외 수정시킨 다음 수정된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하여 임신을 시킨다. 그 후 대리모가 된 여성이 출산을 하게 되면 아기를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태어난 아기는 유전적으로 불임부부의 아기이므로 도덕적 , 윤리적인 문제는 없으나, 대리모의 모성 본능을 무시하기 어렵고 친권 문제가 따를 수 있으며. 하지만 법적으로는 분명히 불임부부의 아기이다.
④ PGD(preimplanation genetic diagnosis) 착상 전 유전진단
혈우병, 근육 퇴행증, 다운증후군 등과 같이 염색체의 수적 혹은 구조적 이상이 있는 선천적인 유전질환 환자나 보인자가 유전적으로 정상인 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배아의 초기단계(4∼8세포期)에서 하나의 할구를 이용해 유전적 질환들을 검색하해 유전적 결함을 가지지 않은 정상적 발달이 가능한 배아만을 여성의 자궁에 이식해서 임신을 유도한다.
이 기술은 배아를 진단하여 질환의 이환 여부를 파악한 후 배아이식(ET) 함으로써 유전질환의 위험율이 높은 부부에게 건강한 아기를 갖게 해주는 방법이다.
※참고 문헌
여성건강 간호학 Ⅱ. 수문사. 최영순외 8인. 1999
배란유도와 불임치료. 대한내분비학회. 홍승화, 정훈김. 2002
불임 이렇게 치료한다. 소학사. 손 철. 1995
http://medi-i.com
② 자궁경 검사(hysteroscopy) : 자궁경관과 자궁강 내를 직접 관찰하여 이상 소견을 조사하는 내시경법이다. 직경 3mm정도의 가느다란 자궁경을 자궁 경부를통해 자궁에 삽입한후 자궁속을 눈으로 직접 관찰하는 내시경 검사다. 검사하는 중에 이상이 발견되면 자궁경을 통해 직접 수술할수도 있는 새로운 검사법으로서, 자궁기형, 자궁내 유착, 자궁강 내 종양, 자궁 내막의 이상, 원인 불명으로 인한 불임등의 경우에 시행한다.
검 사
시 기
목 적
호르몬 검사
생리 2~3일째
난소기능 및 배란기능 확인
성교 후 검사
배란기 때
점액상태, 점액내 잔존하는 정자 상태 평가
자궁난 관조영술
생리후 2~5일째
나팔관 폐쇄 및 유착 등을 알 수 있음
자궁경 검사
생리 7일째
자궁근종, 자궁내막 유착, 자궁내 기형 구별
기초체온표
매일, 본인이 직접 가능
배란 여부 확인, 배란 직후 체온 0.5℃ 증가
자궁내막검사
예상 생리 2~3일전
배란 여부 확인, 자궁내막의 발달 상태 평가
황체기호르몬 검사
배란 후 7일째
배란 유무 및 황체기능 평가
복강경 검사
생리 끝난 후
유착 또는 자궁내막증 등의 특정 질환 진단
항정자항체 검사
항상 가능
정자에 대한 항체 유무 확인, 정상적인 수정 가능한지 검사
4. 불임 시술
1. TIMED COITUS : 부인의 배란기를 계산하여 임신 가능한 날짜에 성 관계 가짐.
2. 인공수정 :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통하지 않고 부인의 배란기에 맞추어 남편정액을 부인 의 자궁 내 에 넣음
3. 시험관 아기 : 시험관 내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성립되면 그 수정란을 자궁내 에 이식하고 과배란 유도 하고 난자회수 하여 정자준비 및 체외 수정 하 여 배아이식
5. 불임 환자의 간호
불임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아기를 원하셔서 오셨나요?
6. 시험관 아기
① 정상임신의 과정
난소에서 난자가 배출되는 현상을 배란이라고 하는데, 약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통 1개의 난자가 배란되게 됩니다. 배란된 난자는 난소의 표면에 붙어있게 됩니다.
난관채가 난소로 이동하여 난소에 붙어있는 난자를 끌어들여 나팔관팽대부위로 들어오게 합니다.
배란기가 되면 자궁문(자궁경부)에서 맑은 경관점액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부부생활을 하게 되면 사정된 수억마리의 정자 중에서 우수한 일부의 정자들이 점액을 타고 자궁경부를 통해 자궁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 정자들은 자궁을 거쳐 긴 여행끝에 나팔관팽대부위에 도달하여 난자를 만나게 됩니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결합하는 것을 수정이라고 하며, 이 결과 생긴 새 생명체를 수정란 이라고 합니다. 수정란은 2세포기, 4세포기 등으로 세포분열을 하며, 자궁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수정 4~5일 후 수정란은 자궁으로 들어가서 자궁내막에 자리를 잡게 되는데 이것을 착상이라고 합니다. 착상된 수정란은 계속 성장하여 건강한 태아가 자라게 됩니다.
② 시험관 아기란?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아기. 난자를 몸 밖으로 꺼내어 유리관 안에서 정자와 결합시키고 포배기까지 60시간을 배양한 뒤, 배(胚)를 다시 모체로 옮겨 자궁에 착상시켜 완전한 태아로 발육시키는 방식. 1978년에 영국의 울드램 병원에서 세계 최초로 탄생하였다
③ 비용, 성공률
250-300만원 , 30-40% , 나이가 많을수록 성공률이 낮다 .
④ 주요 합병증
배란제의 위험, 쌍둥이 낳을 확률, 유산확률, 복부팽만감, 구토 , 기분변화, 다태임신
⑤ 수정란 냉동
과배란을 유도하면 보통 4-5개의 난자만 사용, 나머지는 냉동보관하여 다음에 사용하거나 모체가 임신하기 쉬운 시간에 녹여서 사용한다.
⑥시술후 다음 단계
배아이식 2주후 임신 test
5주경에는 초음라로 태낭확인
7. 임신을 도와주는 보조시술 (보조생식술)
① ICSI(Intra Cytoplasmic Sperm Injection)
미세 수정은 일반적인 체외 수정 방법으로는 수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 미세 현미경 조작술을 이용해 난자의 세포질 내에 정자를 직접 주입해 수정시키는 방법이며. 심한 남성불임이나 면역학적인 요인을 수정에 실패한 경우에 임신을 시도할 수 있는 최신 보조 생식술의 한 방법이다.
TESE(testicular sperm extraction)
고환내 정자 적축술 : 고환 조직일부를 떼어내어 정자채취
② 난자제공 : 난소가 없거나 난소가 난자를 생산할 수 없는 경우 그러나 현재는 법으로 금지
③ 대리모
선천적으로 자궁이 없거나 수술로 자궁을 제거한 경우, 심한 자궁 내막 유착이나 자궁 내막 질환으로 임신이 되지 않거나 계속 유산되는 경우, 또는 임신을 하면 산모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 등에는 대리모를 통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시술방법은 시험관 아기 시술과 같은 방법으로 불임 여성의 난자를 채취해 남편의 정자와 체외 수정시킨 다음 수정된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하여 임신을 시킨다. 그 후 대리모가 된 여성이 출산을 하게 되면 아기를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태어난 아기는 유전적으로 불임부부의 아기이므로 도덕적 , 윤리적인 문제는 없으나, 대리모의 모성 본능을 무시하기 어렵고 친권 문제가 따를 수 있으며. 하지만 법적으로는 분명히 불임부부의 아기이다.
④ PGD(preimplanation genetic diagnosis) 착상 전 유전진단
혈우병, 근육 퇴행증, 다운증후군 등과 같이 염색체의 수적 혹은 구조적 이상이 있는 선천적인 유전질환 환자나 보인자가 유전적으로 정상인 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배아의 초기단계(4∼8세포期)에서 하나의 할구를 이용해 유전적 질환들을 검색하해 유전적 결함을 가지지 않은 정상적 발달이 가능한 배아만을 여성의 자궁에 이식해서 임신을 유도한다.
이 기술은 배아를 진단하여 질환의 이환 여부를 파악한 후 배아이식(ET) 함으로써 유전질환의 위험율이 높은 부부에게 건강한 아기를 갖게 해주는 방법이다.
※참고 문헌
여성건강 간호학 Ⅱ. 수문사. 최영순외 8인. 1999
배란유도와 불임치료. 대한내분비학회. 홍승화, 정훈김. 2002
불임 이렇게 치료한다. 소학사. 손 철. 1995
http://medi-i.com
추천자료
파우스트의 선택
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관하여
대리모의 실태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문제의 해결책
인간복제에 대한 찬반론
제왕절개 case 문헌고찰
유방암(breast cancer)의 원인과 진단검사 및 치료와 간호
생명의료윤리학 레포트
잉카 문명에 대해서..
Ovary Cancer(난소암) 문헌고찰
[인간복제][체세포복제][배아복제]인간복제의 정의, 인간복제의 가능성, 인간복제의 신화, 인...
인체대탐험감상문
윤리
자궁외임신 케이스(Ectopic pregnancy 케이스, Ectopic pregnancy 간호과정, 자궁외 임신,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