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염의 종류와 증상
1. 바이러스 간염
2. 만성 간염
3. 독성물질과 약물로 인한 간염
Ⅱ. 간염의 예방
1. 장관 예방법
2. 일반적 예방법
3. 대상자 교육
4. 고위험 집단에 대한 예방법
1. 바이러스 간염
2. 만성 간염
3. 독성물질과 약물로 인한 간염
Ⅱ. 간염의 예방
1. 장관 예방법
2. 일반적 예방법
3. 대상자 교육
4. 고위험 집단에 대한 예방법
본문내용
B형 간염
노출 전 예방은 능동면역(B형 간염 바이러스)법을 사용하는데 0, 1, 6개월에 3회 어깨 삼각근에 주사한다.
노출 후에는 다량의 Anti-HBs를 가진 면역글로불린(HBIg)과 B형 간염 백신의 병행 치료를 권한다.
HBsAg이 양성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유아는 출생 즉시 0.5mL의 HBIg를 대퇴부에 1회 주사한다. 출생 12시간 이내에 B형 간염 백신을 투여하기 시작해 3회 연속 투여한다.
HBsAg 양성 혈액이나 체액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다면 가능한 빨리 HBIg 0.06mL/kg을 1회 근육주사하고 첫 1주일 이내에 B형 간염 백신을 시작하여 3회 투여한다.
B형 간염환자와 성접촉한 사람은 HBIg 0.06mL/kg를 `4일 이내에 1회 근육주사하고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또한 2, 3차 주사는 1, 6개월 이후에 투여한다.
혈액투석 대상자는 연 2회 항체검사를 하며, 만약 항체검사치가 10mLU/mL이하이면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3) C형 간염
C형 간염 예방교육이 최상의 방법이며, C형 간염 대상자의 혈액에 노출된 사람에게는 예방법으로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나 그 효과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4) D형 간염
D형 간염에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항상 존재하므로 B형 간염 예방법을 실시한다.
B형 간염 보균자가 D형 간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보건교육뿐이다.
5) E형 간염
E형 간염 예방을 위한 면역글로불린의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상), 2005, 전시자 外, 현문사
성인간호학(상), 2004, 서문자 外, 수문사
성인간호학, 2004, 김태진, 정담미디어
노출 전 예방은 능동면역(B형 간염 바이러스)법을 사용하는데 0, 1, 6개월에 3회 어깨 삼각근에 주사한다.
노출 후에는 다량의 Anti-HBs를 가진 면역글로불린(HBIg)과 B형 간염 백신의 병행 치료를 권한다.
HBsAg이 양성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유아는 출생 즉시 0.5mL의 HBIg를 대퇴부에 1회 주사한다. 출생 12시간 이내에 B형 간염 백신을 투여하기 시작해 3회 연속 투여한다.
HBsAg 양성 혈액이나 체액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다면 가능한 빨리 HBIg 0.06mL/kg을 1회 근육주사하고 첫 1주일 이내에 B형 간염 백신을 시작하여 3회 투여한다.
B형 간염환자와 성접촉한 사람은 HBIg 0.06mL/kg를 `4일 이내에 1회 근육주사하고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또한 2, 3차 주사는 1, 6개월 이후에 투여한다.
혈액투석 대상자는 연 2회 항체검사를 하며, 만약 항체검사치가 10mLU/mL이하이면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3) C형 간염
C형 간염 예방교육이 최상의 방법이며, C형 간염 대상자의 혈액에 노출된 사람에게는 예방법으로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나 그 효과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4) D형 간염
D형 간염에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항상 존재하므로 B형 간염 예방법을 실시한다.
B형 간염 보균자가 D형 간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보건교육뿐이다.
5) E형 간염
E형 간염 예방을 위한 면역글로불린의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상), 2005, 전시자 外, 현문사
성인간호학(상), 2004, 서문자 外, 수문사
성인간호학, 2004, 김태진,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