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는 집이 된다. 이런 조건 때문에 사랑채는 더욱 외향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8. 바깥과 다양하게 관계맺는 사랑채
사랑채 건물은 ㄱ자 형태로 되어 있다. 이 ㄱ자 형태는 본시 주변과 다양하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건물이 -자로 된 경우는 주변과의 관계가 앞쪽, 뒤쪽에 치중되기 쉽다. 상대적으로 측면은 소원해진다. 주고받는 관계란, 면이 넓고 개구부가 많은 쪽에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의 경우 옆면이 좁다. 그리고 개구부가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런 조건에서 활발한 관계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야기이다. 추사고택(秋史故宅)의 사랑채는 ㄱ자로 되어 있어 앞과 뒤는 물론 옆 방향 모두 넓은 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든 방향으로 개구부가 있다. 그만큼 주변과 다양한 관계를 가지는 집이 되는 것이다.
9. 사랑채 툇마루
사랑채 한쪽 모서리에는 조그마한 툇마루1)가 붙어 있는데 이 툇마루 덕에 사랑채의 영역은 옆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었다. 이런 사실은 툇마루가 없을 때를 가정해보면 보다 뚜렷이 파악이 된다. 만약에 이 툇마루가 없다면 사랑채는 정면 쪽만을 향하고 있는 집이 되었을 것이다. 전면 쪽으로만 관계를 가지는 집이었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툇마루 덕에 사랑채는 건물 측면과도 관계를 가지는 집이 되었다. 툇마루에 의해 사랑채의 영향권이 옆으로 확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0. 툇마루1)와 대청마루2)
사랑채에서 한 가지 더 주목해 볼만한 곳은 마루이다. 이 마루가 사랑채의 성격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바로 내부의 공간을 바깥쪽으로 확장시켜주는 일이다. 마루는 방안과 바깥, 그 사이에 놓인다. 그래서 방안에서 벌어지는 일이 마루로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 즉 바깥쪽으로 확장이 되는 것 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속성은 사랑채가 가지는 외향적인 성격, 이것과 무관하지 않다.
사랑채 전면을 따라 놓인 툇마루는 현관과 같은 구실을 한다. 바깥으로 나가는 교두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확장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사랑채 전면을 따라 놓인 툇마루에는 시간과 공간을 요소로 하는, 일종의 게임의 성격이 있다. 방의 방향, 댓돌위치, 툇마루의 형태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게임이다. 즉, 방이 대문과 가까이 있어 노출이 심한 대신 방으로 곧바로 들어갈 수 없도록, 여러 단계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8. 바깥과 다양하게 관계맺는 사랑채
사랑채 건물은 ㄱ자 형태로 되어 있다. 이 ㄱ자 형태는 본시 주변과 다양하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건물이 -자로 된 경우는 주변과의 관계가 앞쪽, 뒤쪽에 치중되기 쉽다. 상대적으로 측면은 소원해진다. 주고받는 관계란, 면이 넓고 개구부가 많은 쪽에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의 경우 옆면이 좁다. 그리고 개구부가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런 조건에서 활발한 관계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야기이다. 추사고택(秋史故宅)의 사랑채는 ㄱ자로 되어 있어 앞과 뒤는 물론 옆 방향 모두 넓은 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든 방향으로 개구부가 있다. 그만큼 주변과 다양한 관계를 가지는 집이 되는 것이다.
9. 사랑채 툇마루
사랑채 한쪽 모서리에는 조그마한 툇마루1)가 붙어 있는데 이 툇마루 덕에 사랑채의 영역은 옆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었다. 이런 사실은 툇마루가 없을 때를 가정해보면 보다 뚜렷이 파악이 된다. 만약에 이 툇마루가 없다면 사랑채는 정면 쪽만을 향하고 있는 집이 되었을 것이다. 전면 쪽으로만 관계를 가지는 집이었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툇마루 덕에 사랑채는 건물 측면과도 관계를 가지는 집이 되었다. 툇마루에 의해 사랑채의 영향권이 옆으로 확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0. 툇마루1)와 대청마루2)
사랑채에서 한 가지 더 주목해 볼만한 곳은 마루이다. 이 마루가 사랑채의 성격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바로 내부의 공간을 바깥쪽으로 확장시켜주는 일이다. 마루는 방안과 바깥, 그 사이에 놓인다. 그래서 방안에서 벌어지는 일이 마루로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 즉 바깥쪽으로 확장이 되는 것 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속성은 사랑채가 가지는 외향적인 성격, 이것과 무관하지 않다.
사랑채 전면을 따라 놓인 툇마루는 현관과 같은 구실을 한다. 바깥으로 나가는 교두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확장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사랑채 전면을 따라 놓인 툇마루에는 시간과 공간을 요소로 하는, 일종의 게임의 성격이 있다. 방의 방향, 댓돌위치, 툇마루의 형태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게임이다. 즉, 방이 대문과 가까이 있어 노출이 심한 대신 방으로 곧바로 들어갈 수 없도록, 여러 단계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