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한 학습자의 교육(정의, 교육프로그램,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한 학습자의 교육(정의, 교육프로그램,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교육프로그램

3. 사례

본문내용

는 수고를 덜어주었다.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전적으로 협력학교 교사들에게 모든 것을 맡겼으며, 비상시의 대책까지 마련해 두었으나 다행히 아무런 사고 없이 전 학년이 모두 일시통합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⑤ 평가협의회
1주일을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금요일 오후 동 학년 협의 시간에 협력학교 교사와 본교 담임교사가 일시통합에 대한 평가협의회를 가졌다.
협력학교 교사들은 한결같이, 일반 아동들이 장애아동들에 대해 이해하고,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이 생겨서 너무 좋았다고 했고, 음악시간, 말하기듣기 시간에 전혀 수업내용을 공유할 수 없었던 점이 안스러웠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1주일이 너무 짧다는 의견도 많았고, 생각보다 청각장애 아동들의 학업 수준이 높다는 의견도 많았다.
2. 완전통합
완전통합은 통합교육을 희망하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가능 여부를 심사하여 결정한 후 주거지에서 가까운 일반학교로 통합 배치하게 된다. 주로 유치초등부를 중심으로 학년말에 통합 여부를 결정하며,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학기 중에도 통합을 결정한다.
대상학생의 선정
통합 대상학생의 선정은 학년말에 통합을 희망하는 학생의 부모가 담임교사와 상담을 하고, 통합대상 아동선정 위원회(전현 담임, 통합담당, 유치초등연구교무부장, 교감, 교장으로 구성)에서 아동의 현재 교육성취수준을 정확히 평가하고누가기록을 참고하여 언어력(청각활용, 발음명료도, 독화능력, 문장력), 학습능력, 사회성, 부모의 관심도 등 다 요인을 고려한 후 신중하게 결정 심사를 하며, 심사한 결과를 토대로 담임교사와 부모가 상담을 하여 결정을 하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2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