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동기술 정책의 등장 배경
2. EU의 산업 구조의 취약성 part 1
3. EU의 산업 구조의 취약성 part 2
4. 공동 기술 정책 part 1
5. 공동 기술 정책 part 2
6. 시사점 및 전망
2. EU의 산업 구조의 취약성 part 1
3. EU의 산업 구조의 취약성 part 2
4. 공동 기술 정책 part 1
5. 공동 기술 정책 part 2
6. 시사점 및 전망
본문내용
공동기술정책의 필요성
경제적 단일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EU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전 유럽 차원 연구 개발 추진 및 개별 프로젝트간 통합과 조정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음
연구 개발 자원을 실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개발로 연결,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고용증진에 기여가 가능
환경보호, 소비자 권익 증진 등 타 분야의 EU 정책들을 뒷받침 할 실질적 수단 제공
1980년도 EU의 환경
61년부터 1973년까지 제조업은 5.5%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이면서 EU의 성장을 주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석유위기 이후 전반적인 경기침체 가운데 제조업은 생산성증가율이 종전(1961-73)의 5.0%에서 1974-85 기간 중에 2.4%로 , 그리고 이에 따라 부가가치 생산은 그 증가율이 5.5%에서 1.0%로 크게 둔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조업에서의 고용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
세계경제의 3극 가운데 EU경제의 정체는 제조업의 정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지만, 더 구체적으로 보면 기술집약적 첨단 고기술 산업부문의 경쟁력 저하와 상대적인 침체에 그 기본적인 요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985년의 시점에서 EU의 전 산업 가운데 고 수요부문이 점하는 부가가치 액은 22.4%이다. 이에 대해 일본과 미국의 경우는 각각 29%, 28%이다. 또한 첨단산업 가운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전기, 전자제품의 국내수요의 평균신장률(1972-85)도 3.5%로 미국과 일본의 7.2%, 20.7%에 비하여 크게 낮다. 국내수요의 증가의 완만함에도 공급 측의 구조조정은 극히 불균등하고 특히 EU의 첨단기술산업부문의 성장속도는 극히 낮다.
공동기술정책의 효과
제휴파트너의 범위도 매우 광범위.
자동차제조사로부터 British Airway, 항공사, 석유화학사, 기계 제
조사, 금융 기관, 보건기관 등 서비스 기업까지 포함되어 있고 증대
된 R.O.(Rerearch Organisation)의 역할 또한 ESPRIT의 성과로
볼 수 있다.
공동개발에 참여한 200여 개의 기업체 R.O. 중 42.8%가 기업-R.O.간의 공동 연구가 매우 유익하다고 응답했으며, 54.2%가 유익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또한 설문응답 중 57%가 기업과 R.O. 사이 불화가 전혀 없었다고 응답, 겨우 0.4%만이 파트너와의 불화를 지적하고 있다.
기업 간의 제휴는 가속적으로 네트워킹 효과를 창출하여 기업 스스로 광범한 제휴선을 모색하게 된다. 정보기술 산업에서 유럽기업의 기술 제휴 네트워크의 구축은 공동기술정책의 결과이다
경제적 단일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EU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전 유럽 차원 연구 개발 추진 및 개별 프로젝트간 통합과 조정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음
연구 개발 자원을 실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개발로 연결,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고용증진에 기여가 가능
환경보호, 소비자 권익 증진 등 타 분야의 EU 정책들을 뒷받침 할 실질적 수단 제공
1980년도 EU의 환경
61년부터 1973년까지 제조업은 5.5%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이면서 EU의 성장을 주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석유위기 이후 전반적인 경기침체 가운데 제조업은 생산성증가율이 종전(1961-73)의 5.0%에서 1974-85 기간 중에 2.4%로 , 그리고 이에 따라 부가가치 생산은 그 증가율이 5.5%에서 1.0%로 크게 둔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조업에서의 고용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
세계경제의 3극 가운데 EU경제의 정체는 제조업의 정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지만, 더 구체적으로 보면 기술집약적 첨단 고기술 산업부문의 경쟁력 저하와 상대적인 침체에 그 기본적인 요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985년의 시점에서 EU의 전 산업 가운데 고 수요부문이 점하는 부가가치 액은 22.4%이다. 이에 대해 일본과 미국의 경우는 각각 29%, 28%이다. 또한 첨단산업 가운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전기, 전자제품의 국내수요의 평균신장률(1972-85)도 3.5%로 미국과 일본의 7.2%, 20.7%에 비하여 크게 낮다. 국내수요의 증가의 완만함에도 공급 측의 구조조정은 극히 불균등하고 특히 EU의 첨단기술산업부문의 성장속도는 극히 낮다.
공동기술정책의 효과
제휴파트너의 범위도 매우 광범위.
자동차제조사로부터 British Airway, 항공사, 석유화학사, 기계 제
조사, 금융 기관, 보건기관 등 서비스 기업까지 포함되어 있고 증대
된 R.O.(Rerearch Organisation)의 역할 또한 ESPRIT의 성과로
볼 수 있다.
공동개발에 참여한 200여 개의 기업체 R.O. 중 42.8%가 기업-R.O.간의 공동 연구가 매우 유익하다고 응답했으며, 54.2%가 유익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또한 설문응답 중 57%가 기업과 R.O. 사이 불화가 전혀 없었다고 응답, 겨우 0.4%만이 파트너와의 불화를 지적하고 있다.
기업 간의 제휴는 가속적으로 네트워킹 효과를 창출하여 기업 스스로 광범한 제휴선을 모색하게 된다. 정보기술 산업에서 유럽기업의 기술 제휴 네트워크의 구축은 공동기술정책의 결과이다
추천자료
프랑스와 독일을 통해 알아본 유럽의 정치문화
[국제관계]연방주의에 기초한 국제기구(유럽연합)의 형성 및 접근
[방통대 무역학과 무역학연습]EU의 발전과정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함, 유럽연합(EU)의 형...
14세기 페스트로 인한 중세 유럽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 가전업체의 중동부 유럽 진출 확대 전략
[학사학위논문] 유럽 재정 위기 - 원인과 향후 전망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초 비서구 문명권의 발전과 유럽 팽창의 ‘상대화’ - 군사혁명...
유럽의 재정위기의 전개과정과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유럽 재정위기의 배경, 유럽 재정위...
[국제경영전략론] 세계 스마트폰시장에서 애플과 삼성의 특허소송 (애플과 삼성의 세계시장현...
(생활속의경제 공통) 1.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의 형성과정과 현황 2. 브렉시트(Brexi...
[생활속의경제] 1. 유럽연합의 형성과정과 현황 2. 브렉시트(Brexit)의 의미와 배경 3. 경제...
[농학과] [생활 속의 경제 공통] 최근(2016년 6월 23일) 영국은 국민투표결과 유럽연합으로부...
생활 속의 경제 최근(2016년 6월 23일) 영국은 국민투표결과 유럽연합으로부터 탈퇴를
[문학과 인간탐구] 신화 속 인간 읽기 - 북유럽 신화 최고신 ‘오딘’과 거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