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Abstract
2.Introduction
1)골격(skeleton)
(1)뼈대의 기능
(2)뼈대의 종류
(3)뼈의 구조
(4)뼈의 질환
2)근육
3. Meterials & Apparatus
4. Data & Result
5. Discussion
2.Introduction
1)골격(skeleton)
(1)뼈대의 기능
(2)뼈대의 종류
(3)뼈의 구조
(4)뼈의 질환
2)근육
3. Meterials & Apparatus
4. Data &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써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본다. 횡문근의 영구슬라이드를 통해 밝은 줄무늬와 어두운 줄무늬가 교대로 나타나는 형태를 관찰하고, 각 부위의 특징과 명칭을 살펴본다. 횡문근이 수의근(voluntary muscle)이 될 수 있는 이유도 알아본다.
3)심장근 관찰
영구슬라이드를 통해 심장근의 줄무늬 형태를 관찰하고, 횡문근과 비교해본다. 가지가 있는 모양의 세포형태를 관찰하고 이것들이 횡문근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다. 심장근의 세포끝부분이 어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지 관찰하고 이런 형태가 심방박동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4)내장근 관찰
영구슬라이드를 통해 내장근의 방추형 세포 모양과 줄무늬 유무를 관찰한다.
4. Data & Result
1)슬라이드 관찰 : 뒷장에 부착
2)고양이의 골격 관찰
[Fig6. 고양이의 골격]
두개골과 척추, 늑고, 흉골, 하악골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3)닭발 해부- 인대와 힘줄 관찰
[Fig.7 인대와 힘줄(건)]
건은 뼈와 근육 사이에 붙어있고, 인대는 뼈와 뼈 사이에 붙어있다. 건을 잡아당기면 건에따라 연결된 닭발이 움직였다.
5. Discussion
슬라이드를 통해 근육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골격근을 x100으로 관찰하였다. 가지가 없고 원통형이었으며 핵이 있었다. 골격근은 근막이라는 내부결합조직과 연결되어있고, 근막은 근육의 끝부분에서 콜라겐 조직과 함게 힘줄을 형성한다. 이러한 힘줄은 뼈를 싸고있는 골막과 연결되어 있어서 근육에서 뼈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근육의 구조는 가는섬유(thin fillament)와 굵은 섬유(thick fillament)가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있다. 가는섬유는 엑틴(actin)으로 구성되어있고, 굵은 섬유는 미오신(myosin)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actin과 myosin이 반복되면서 배열된 것이 근육의 수축기작과 연관되어 있다. 겉으로 관찰했을 때 근육에 무늬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밝은 부분(I대)은 actin만으로 구성되어있고, 줄무늬, 즉 어두운 부분(A대)은 actin과 myosin이 함께 존재한다. 그런데 A대에서도 중앙의 좀 더 밝은 부분(H대)은 myosin만으로 구성되어있다. 골격근은 수의근인데 수의근은 스스로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을 말한다. 근섬유가 자극되면 엑틴필라멘트과 미오신필라멘트를 연결하는 수많은 가교가 생기면서 엑틴이 미끌어지게 되므로 근육이 수축하게 된다. 미오신 머리에는 ATP분해효소가 들어있는데 이것이 가교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은 운동뉴런에 의해 조절되고, 마음대로 근육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수의근이라고 한다.
두 번재로 심장근육을 관찰하였다. 이 근육도 골격근처럼 원통형이었고 횡문근이었다. 수축단백질이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있기 때문에 횡문근이다. 하지만 이 근육은 특이한 점이 있었는데, 섬유들이 가지를 친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렇게 독특하게 연결되어있으면서 독특한 수축과 이완을 하는데 이것이 곧 심장박동으로 나타난다. 각각의 심장근 섬유가 서로 만나는 곳에는 개재판(intercalated disk)라 불리는 결합을 형성한다. 이 개재판은 매우 느슨한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가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쉽게 흘러갈 수가 있다. 심장근은 바깥에서 오는 자극이 없어도 수축할수 있다. 세포를 분리해서 조직배양액 속에 담가놓아도 이러한 수축을 계속 할 수 있다. 심장근은 우리의 의지로 조절할 수 없는 불수의근인데, 이것은 호르몬, 신경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쥐의 심장에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을 떨어뜨려서 그 박동수를 측정한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재로 내장근을 관찰하였다. 내장근은 앞에서 살펴본 골격근이나 심장근과 달리 actin과 myosin으로 이루어진 줄무늬를 관찰할 수 없었다. 각각의 세포는 방추형으로 되어있었고 각 세포는 하나의 핵을 가지고 있었다. 또 골격근이나 심장근처럼 다발모양이라기보다는 얇은 천과 같았다. 이 근육의 특징은 의식적인 조절이 불가능한 불수의근이라는 것이다.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게 된다.
다음으로 척추동물의 골격 슬라이드를 관찰하였다. Bone ground human과 Bone compact decalcified를 관찰하였는데, Bone compact decalcified는 가로와 세로로 자른 것 2개를 관찰하였다. 먼저 Bone ground human에서는 치밀골의 상세한 구조를 볼 수 있었다. Haversian system의 복잡한 구조가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동심원구조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었다. 이것은 다른 슬라이드에 비해 명확하게 구조를 구별할 수 있었는데, osteon, canaliculi, lamella, central canal, lacuna 등을 다 관찰할 수 있었다. Bone compact decalcified에서는 골막인 periosteum과 compact bone, bone marrow를 관찰할 수 있었다. compact bone은 yellow marrow로 가득차 있고, spongy bone은 적혈수 세포의 생산장소인 red marrow로 가득차있다.
고양이 골격표본 맞추기도 했는데, 뇌부분인 두개골과 아래턱뼈인 하악골, 척추, 갈비뼈인 늑골, 늑골 안쪽 부분에 있는 흉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두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호흡하는 데 늑골을 이용한다.
닭발을 해부해서 힘줄과 인대를 관찰했다. 힘줄은 뼈와 근육사이에 존재했는데, 이것을 잡아당기니 닭발이 움직였다. 하나의 힘줄이 발 4개를 모두 지배하지는 않았고 힘줄 하나당 발 하나를 담당했다. 힘줄을 관찰한 후 인대를 찾았다. 인대는 흰색 뼈와 뼈 사이에 존재했다. 인대는 관절에 운동을 안전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강한 섬유성의 조직이다.
6. Reference
생물학/ 로브터A. 윌리스/ 을유문화사/ 2001/ pp665-682
일반생물학/ Neil A. Campbell/ 라이프사이언스3판/ 2001/ pp501-505
네이버 대 백과사전
일반생물학실험/ 한국생물과학협회/ 도서출판 아카데미 서적/ 1993/ pp202-203
3)심장근 관찰
영구슬라이드를 통해 심장근의 줄무늬 형태를 관찰하고, 횡문근과 비교해본다. 가지가 있는 모양의 세포형태를 관찰하고 이것들이 횡문근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다. 심장근의 세포끝부분이 어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지 관찰하고 이런 형태가 심방박동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4)내장근 관찰
영구슬라이드를 통해 내장근의 방추형 세포 모양과 줄무늬 유무를 관찰한다.
4. Data & Result
1)슬라이드 관찰 : 뒷장에 부착
2)고양이의 골격 관찰
[Fig6. 고양이의 골격]
두개골과 척추, 늑고, 흉골, 하악골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3)닭발 해부- 인대와 힘줄 관찰
[Fig.7 인대와 힘줄(건)]
건은 뼈와 근육 사이에 붙어있고, 인대는 뼈와 뼈 사이에 붙어있다. 건을 잡아당기면 건에따라 연결된 닭발이 움직였다.
5. Discussion
슬라이드를 통해 근육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골격근을 x100으로 관찰하였다. 가지가 없고 원통형이었으며 핵이 있었다. 골격근은 근막이라는 내부결합조직과 연결되어있고, 근막은 근육의 끝부분에서 콜라겐 조직과 함게 힘줄을 형성한다. 이러한 힘줄은 뼈를 싸고있는 골막과 연결되어 있어서 근육에서 뼈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근육의 구조는 가는섬유(thin fillament)와 굵은 섬유(thick fillament)가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있다. 가는섬유는 엑틴(actin)으로 구성되어있고, 굵은 섬유는 미오신(myosin)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actin과 myosin이 반복되면서 배열된 것이 근육의 수축기작과 연관되어 있다. 겉으로 관찰했을 때 근육에 무늬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밝은 부분(I대)은 actin만으로 구성되어있고, 줄무늬, 즉 어두운 부분(A대)은 actin과 myosin이 함께 존재한다. 그런데 A대에서도 중앙의 좀 더 밝은 부분(H대)은 myosin만으로 구성되어있다. 골격근은 수의근인데 수의근은 스스로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을 말한다. 근섬유가 자극되면 엑틴필라멘트과 미오신필라멘트를 연결하는 수많은 가교가 생기면서 엑틴이 미끌어지게 되므로 근육이 수축하게 된다. 미오신 머리에는 ATP분해효소가 들어있는데 이것이 가교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은 운동뉴런에 의해 조절되고, 마음대로 근육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수의근이라고 한다.
두 번재로 심장근육을 관찰하였다. 이 근육도 골격근처럼 원통형이었고 횡문근이었다. 수축단백질이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있기 때문에 횡문근이다. 하지만 이 근육은 특이한 점이 있었는데, 섬유들이 가지를 친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렇게 독특하게 연결되어있으면서 독특한 수축과 이완을 하는데 이것이 곧 심장박동으로 나타난다. 각각의 심장근 섬유가 서로 만나는 곳에는 개재판(intercalated disk)라 불리는 결합을 형성한다. 이 개재판은 매우 느슨한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가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쉽게 흘러갈 수가 있다. 심장근은 바깥에서 오는 자극이 없어도 수축할수 있다. 세포를 분리해서 조직배양액 속에 담가놓아도 이러한 수축을 계속 할 수 있다. 심장근은 우리의 의지로 조절할 수 없는 불수의근인데, 이것은 호르몬, 신경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쥐의 심장에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을 떨어뜨려서 그 박동수를 측정한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재로 내장근을 관찰하였다. 내장근은 앞에서 살펴본 골격근이나 심장근과 달리 actin과 myosin으로 이루어진 줄무늬를 관찰할 수 없었다. 각각의 세포는 방추형으로 되어있었고 각 세포는 하나의 핵을 가지고 있었다. 또 골격근이나 심장근처럼 다발모양이라기보다는 얇은 천과 같았다. 이 근육의 특징은 의식적인 조절이 불가능한 불수의근이라는 것이다.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게 된다.
다음으로 척추동물의 골격 슬라이드를 관찰하였다. Bone ground human과 Bone compact decalcified를 관찰하였는데, Bone compact decalcified는 가로와 세로로 자른 것 2개를 관찰하였다. 먼저 Bone ground human에서는 치밀골의 상세한 구조를 볼 수 있었다. Haversian system의 복잡한 구조가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동심원구조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었다. 이것은 다른 슬라이드에 비해 명확하게 구조를 구별할 수 있었는데, osteon, canaliculi, lamella, central canal, lacuna 등을 다 관찰할 수 있었다. Bone compact decalcified에서는 골막인 periosteum과 compact bone, bone marrow를 관찰할 수 있었다. compact bone은 yellow marrow로 가득차 있고, spongy bone은 적혈수 세포의 생산장소인 red marrow로 가득차있다.
고양이 골격표본 맞추기도 했는데, 뇌부분인 두개골과 아래턱뼈인 하악골, 척추, 갈비뼈인 늑골, 늑골 안쪽 부분에 있는 흉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두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호흡하는 데 늑골을 이용한다.
닭발을 해부해서 힘줄과 인대를 관찰했다. 힘줄은 뼈와 근육사이에 존재했는데, 이것을 잡아당기니 닭발이 움직였다. 하나의 힘줄이 발 4개를 모두 지배하지는 않았고 힘줄 하나당 발 하나를 담당했다. 힘줄을 관찰한 후 인대를 찾았다. 인대는 흰색 뼈와 뼈 사이에 존재했다. 인대는 관절에 운동을 안전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강한 섬유성의 조직이다.
6. Reference
생물학/ 로브터A. 윌리스/ 을유문화사/ 2001/ pp665-682
일반생물학/ Neil A. Campbell/ 라이프사이언스3판/ 2001/ pp501-505
네이버 대 백과사전
일반생물학실험/ 한국생물과학협회/ 도서출판 아카데미 서적/ 1993/ pp202-203
추천자료
신체체계(신경계,근골격계....)
무중력상태 & 운동부족에 따른 골격∘근의 형태적, 기능적 변화
[간호학]지역사회간호학 `근골격계질환` 교과서 요약정리
[물리치료]근골격계 질환
[인간공학] 조선업에 대한 근골격계질환(MSD) 예방
[의학] 근골격계 질환의 이해.ppt
[Dankook Sports Medicine] 02.골격근의 구조와 기능.ppt
성인실습 check list (근골격계)
[간호학][근골격계 정리][구조와 기능] 주요질환,약어, 문헌고찰
저항 운동 Resistance Exercise - 근 수행력과 저항운동의 정의, 골격근의 기능과 저항운동의...
안면마비 (Facial palsy) 근골격 재활 운동 학회.pptx
견인 간호(피부견인, 골격견인, 간호과정)
아동의 기능과 특성2(근골격계, 혈액계).
[성인간호학] 요통과 근골격계 감염과 대상자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