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졸업 논문이란 무엇이며 어디에 필요한가
1.1 왜 논문을 써야 하며 또 논문이란 무엇인가
1.2 이 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3 졸업 후에도 논문은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1.4 네 가지 명백한 규칙
제 2장 테마의 선택
2.1 단일주제 논문인가, 아니면 파노라마 식 논문인가
2.2 역사적 논문인가, 아니면 이론적 논문인가
2.3 옛날의 테마인가, 아니면 현대적 테마인가
2.4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
2.5 필수적으로 외국어를 알아야 하는가
2.6 <과학적>논문인가, 아니면 정치적 논문인가
2.6.1 과학성이란 무엇인가
2.6.2 역사적- 이론적 테마인가, 아니면 <뜨거운>경험인가
2.6.3 어떻게 오늘날의 테마를 과학적인 테마로 전환시키는가
2.7 지도교수에게 이용당하는 것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3장 자료조사
3.1 출처의 입수가능성
3.1.1 과학적 작업의 출처란 무엇인가
3.1.2. 직접적인 출전 및 간접적인 출전
3.2 참고문헌 조사
3.2.1 도서관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3.2.2 참고문헌을 어떻게 다를 것인가
3.2.3 참고문헌의 인용
3.2.4. 알렉산 드라이의 도서관 : 하나의 실험
3.2.5 그런데 책을 읽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떤 순서로
읽어야 하는가
제 4장 작업 계획 및 카드 정리
4.1 작업의 가설로서의 차례
4.2 카드와 메모
4.2.1 카드의 여러 가지 형태 : 카드는 어디에 필요한가
4.2.2 1차적 자료의 카드 정리
4.2.3 독서카드
4.2.4 학문적 겸손
제5장 원고쓰기
5.1 누구에게 말하는가
5.2 어떻게 말할 것인가
5.3 인용문
5.3.1 언제 그리고 어떻게 인용하는가 : 열 가지 규칙
5.3.2 인용, 부연설명 및 표절
5.4 페이지 아래의 각주
5.4.1 주는 어디에 필요한가
5.4.2 인용- 주 방식
5.4.3 저자 - 연도방식
5.5 주의사항, 함정관례
5.6 학문적 자부심
제 6장 최종적인 원고작성
6.1 서법상의 기준들
6.1.1 모서리와 여백
6.1.2 밑줄 치기 및 대문자
6.1.3 절
6.1.4 따옴표 및 다른 부분들
6.1.5 판독 부호 및 바꾸어 쓰기
6.1.7 몇 가지 두서 없는 충고들
6.2 최종적인 참고문헌
6.3 부록
6.4 차례
제7장 결론
1.1 왜 논문을 써야 하며 또 논문이란 무엇인가
1.2 이 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3 졸업 후에도 논문은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1.4 네 가지 명백한 규칙
제 2장 테마의 선택
2.1 단일주제 논문인가, 아니면 파노라마 식 논문인가
2.2 역사적 논문인가, 아니면 이론적 논문인가
2.3 옛날의 테마인가, 아니면 현대적 테마인가
2.4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
2.5 필수적으로 외국어를 알아야 하는가
2.6 <과학적>논문인가, 아니면 정치적 논문인가
2.6.1 과학성이란 무엇인가
2.6.2 역사적- 이론적 테마인가, 아니면 <뜨거운>경험인가
2.6.3 어떻게 오늘날의 테마를 과학적인 테마로 전환시키는가
2.7 지도교수에게 이용당하는 것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3장 자료조사
3.1 출처의 입수가능성
3.1.1 과학적 작업의 출처란 무엇인가
3.1.2. 직접적인 출전 및 간접적인 출전
3.2 참고문헌 조사
3.2.1 도서관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3.2.2 참고문헌을 어떻게 다를 것인가
3.2.3 참고문헌의 인용
3.2.4. 알렉산 드라이의 도서관 : 하나의 실험
3.2.5 그런데 책을 읽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떤 순서로
읽어야 하는가
제 4장 작업 계획 및 카드 정리
4.1 작업의 가설로서의 차례
4.2 카드와 메모
4.2.1 카드의 여러 가지 형태 : 카드는 어디에 필요한가
4.2.2 1차적 자료의 카드 정리
4.2.3 독서카드
4.2.4 학문적 겸손
제5장 원고쓰기
5.1 누구에게 말하는가
5.2 어떻게 말할 것인가
5.3 인용문
5.3.1 언제 그리고 어떻게 인용하는가 : 열 가지 규칙
5.3.2 인용, 부연설명 및 표절
5.4 페이지 아래의 각주
5.4.1 주는 어디에 필요한가
5.4.2 인용- 주 방식
5.4.3 저자 - 연도방식
5.5 주의사항, 함정관례
5.6 학문적 자부심
제 6장 최종적인 원고작성
6.1 서법상의 기준들
6.1.1 모서리와 여백
6.1.2 밑줄 치기 및 대문자
6.1.3 절
6.1.4 따옴표 및 다른 부분들
6.1.5 판독 부호 및 바꾸어 쓰기
6.1.7 몇 가지 두서 없는 충고들
6.2 최종적인 참고문헌
6.3 부록
6.4 차례
제7장 결론
본문내용
졸업논문이란 평균 100 페이지에서 400페이지 사이의 다양한 길이로 타자를 친 연구 작업물로서 이탈리아의 법률에 의하면 모든 졸업 논문은 졸업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이탈리아의 대학에서의 진정한 의미에서의 논문은 일종의 졸업 이후의 학위인 박사학위를 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단지 학문적인 연구자로서 자신을 완성하고 전문화하려는 사람들이 지원한다. 그런데 박사과정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석사과정을 위한 사람들이 있다.
논문이란 것이 왜 그토록 많은 시간이 걸리는가 하는 것은 바로 독창적인 연구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런 논문에서는 물론 동일한 테마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말했던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다른 학자들이 말하지 않은 무엇인가를 <발견>해야 한다. 거창한 것이 아니어도 좋다. 소박한 발견이 있을 수도 있다. 어떤 고전 문헌을 새로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이나 어느 작가의 전기를 새로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이나 어느 작가의 전기를 새로이 조명해 줄 필사본 원고의 발견, 여러 가지 상이한 텍스트 안에 흩어져 있던 사상을 체계화하고 완성시켜주는 이전 연구들의 재구성 및 재해석도 역시 과학적인 연구 결과로 간주된다.
논문이란 것이 왜 그토록 많은 시간이 걸리는가 하는 것은 바로 독창적인 연구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런 논문에서는 물론 동일한 테마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말했던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다른 학자들이 말하지 않은 무엇인가를 <발견>해야 한다. 거창한 것이 아니어도 좋다. 소박한 발견이 있을 수도 있다. 어떤 고전 문헌을 새로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이나 어느 작가의 전기를 새로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이나 어느 작가의 전기를 새로이 조명해 줄 필사본 원고의 발견, 여러 가지 상이한 텍스트 안에 흩어져 있던 사상을 체계화하고 완성시켜주는 이전 연구들의 재구성 및 재해석도 역시 과학적인 연구 결과로 간주된다.
추천자료
국어과 교수법-국어과 활용 매체-CAI
[소논문]생활 속의 과학과 과학발전을 위한 제언
[연방대법원]미국연방정부의 헌법 고찰과 미국연방대법원의 과거, 미국연방대법원의 판례 경...
2009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인터넷 마케팅]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논문 (전자상거래)
2010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창의성(창의력)과 신문활용교육(NIE), 브레인스토밍, 창의성(창의력)과 브레인라이팅, 마인드...
전복의 특징, 전복의 분류와 서식, 전복양식어업(전복양식업)의 역사와 현황, 전복양식어업(...
2011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유아교육평가가 중요한 이유를 작성하고 여러가지 평가방법 중 유아기 학습자에게 유용한 평...
2012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인 국민, 건강, 산재, 고용, 노인장기요양,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 중...
[박사논문] 철도물류의 사업다각화 성공을 위한 핵심요인과 신규 사업 선정에 관한 연구 (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