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경험을 했느냐 하는 것도 우리가 사물을 보는데 영향을 미친다. 달을 보더라도 배고픈 사람에게는 빵으로 보이는 법이다. 가난하게 자란 사람은 부유하게 자란 사람보다 동전의 크기를 더 크게 본다.
애매모호한 그림을 보게 되면 과거의 경험(어느 것에 초점을 맞추느냐)이 얼마나 지각에 강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아래의 왼쪽 윗 그림은 술잔으로도 보이고 마주한 두 사람의 얼굴로도 보인다. 그러나 얼굴 실루엣을 금방 본 사람이라면 술잔보다 사람의 얼굴로 그 그림을 보게 된다.
그림
또 하나 재미있는 이야기. 이 술잔의 시초는 클레오파트라가 자신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도자기 만들 듯이 술잔을 만들어 신하들에게 술을 부어 주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여러분은 그림이 여체의 어느 부분과 비슷하게 보이는가? (왼쪽의 아래는 이상하게 생긴 도형의 집행이나, 흰색을 보면 FLY란 단어가 나타난다. 오른쪽 그림은 고개를 돌린 젊은 여인으로도 보이고 코가 큰 늙은 노파로도 보인다.)
뮐러-라이어 착시
다음의 그림도 많이 보아온 그림이다. A와 B중 <,>를 제외하고 나서 어느 선분이 길어 보이는가? 물론 두 선분의 길이는 같다. 그러나 우리는 A보다 B의 선분이 길게 보인다고 말한다. 왜 그럴까?
밀러-라이어 착시라고 불리는 이 착시는 산업화된 사회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산업화가 많이 된 사회일수록 직선과 직각형태로 만들어진 건축물에서 생활한다. 짧아 보이는 A는 빌딩의 튀어나온 부분(C)을 나타낸다. 그리고 길어 보이는 B는 건물 내부의 구석진 부분(D)을 나타낸다. 그래서 같은 길이라면 (앞으로) 튀어나온 것보다는 (뒤로) 움푹 들어가 잇는 것이 더 길게 보이는 것이다. 멀리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음의 그림을 보자.
그림
A의 그림에서 두선은 길이가 같고 또 같은 길이로 보인다. 그러나 B의 그림에서는 역시 같은 길이지만 위쪽의 선이 길게 보인다.
이것은 우리가 물체의 크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서 거리를 참작하여 그 크기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먼곳에 있는 황소가 개미만하게 보이더라도 우리는 그것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물체 크기를 판단할 때 거리를 감안한다. 즉 거리가 멀면 작게 보이고 가까우면 크게 보이더라도 물체의 크기를 같게 본다. 또 눈에 보이는 크기가 같다면 멀리 있는 것이 더 크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위의 B그림에서는 같은 길이의 선분이지만 철로에 놓인 막대처럼 멀리 있다고 생각되는 윗 순분이 더 길게 보이는 것이다.
여러 가지 착시
착시는 잘못되거나 왜곡된 지각이다. 배경의 영향을 받아 직선이 곡선으로 보이기도 하고, 같은 크기의 원이 다른 크기로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주위의 자극상황에 강요되어 지각을 조직화해야 될 때 나타난다. 다음의 그림은 여러 가지 착시들이다.
그림
불가능한 도형들 : 이 도형들은 현실적으로 만들 수 없는 것들이다. 어느 한 부분을 보면 의미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의미가 없다. 이것은 우리의 지각이 한정된 부분에 대해서 일어난다는 것을 말해준다.
애매모호한 그림을 보게 되면 과거의 경험(어느 것에 초점을 맞추느냐)이 얼마나 지각에 강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아래의 왼쪽 윗 그림은 술잔으로도 보이고 마주한 두 사람의 얼굴로도 보인다. 그러나 얼굴 실루엣을 금방 본 사람이라면 술잔보다 사람의 얼굴로 그 그림을 보게 된다.
그림
또 하나 재미있는 이야기. 이 술잔의 시초는 클레오파트라가 자신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도자기 만들 듯이 술잔을 만들어 신하들에게 술을 부어 주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여러분은 그림이 여체의 어느 부분과 비슷하게 보이는가? (왼쪽의 아래는 이상하게 생긴 도형의 집행이나, 흰색을 보면 FLY란 단어가 나타난다. 오른쪽 그림은 고개를 돌린 젊은 여인으로도 보이고 코가 큰 늙은 노파로도 보인다.)
뮐러-라이어 착시
다음의 그림도 많이 보아온 그림이다. A와 B중 <,>를 제외하고 나서 어느 선분이 길어 보이는가? 물론 두 선분의 길이는 같다. 그러나 우리는 A보다 B의 선분이 길게 보인다고 말한다. 왜 그럴까?
밀러-라이어 착시라고 불리는 이 착시는 산업화된 사회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산업화가 많이 된 사회일수록 직선과 직각형태로 만들어진 건축물에서 생활한다. 짧아 보이는 A는 빌딩의 튀어나온 부분(C)을 나타낸다. 그리고 길어 보이는 B는 건물 내부의 구석진 부분(D)을 나타낸다. 그래서 같은 길이라면 (앞으로) 튀어나온 것보다는 (뒤로) 움푹 들어가 잇는 것이 더 길게 보이는 것이다. 멀리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음의 그림을 보자.
그림
A의 그림에서 두선은 길이가 같고 또 같은 길이로 보인다. 그러나 B의 그림에서는 역시 같은 길이지만 위쪽의 선이 길게 보인다.
이것은 우리가 물체의 크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서 거리를 참작하여 그 크기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먼곳에 있는 황소가 개미만하게 보이더라도 우리는 그것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물체 크기를 판단할 때 거리를 감안한다. 즉 거리가 멀면 작게 보이고 가까우면 크게 보이더라도 물체의 크기를 같게 본다. 또 눈에 보이는 크기가 같다면 멀리 있는 것이 더 크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위의 B그림에서는 같은 길이의 선분이지만 철로에 놓인 막대처럼 멀리 있다고 생각되는 윗 순분이 더 길게 보이는 것이다.
여러 가지 착시
착시는 잘못되거나 왜곡된 지각이다. 배경의 영향을 받아 직선이 곡선으로 보이기도 하고, 같은 크기의 원이 다른 크기로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주위의 자극상황에 강요되어 지각을 조직화해야 될 때 나타난다. 다음의 그림은 여러 가지 착시들이다.
그림
불가능한 도형들 : 이 도형들은 현실적으로 만들 수 없는 것들이다. 어느 한 부분을 보면 의미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의미가 없다. 이것은 우리의 지각이 한정된 부분에 대해서 일어난다는 것을 말해준다.
추천자료
감각과 지각
언어발달지체아를 위한 감각지각통합프로그램 적용효과
지각발달(연구방법, 시지각, 청지각, 감각적지각)
감각과 지각
감각과 지각
[공간감각학습][공간지각학습][공간사고]공간감각학습(공간지각학습)의 필요성, 공간감각학습...
[공간지각능력][공간감각능력]공간지각능력(공간감각능력)의 정의, 공간지각능력(공간감각능...
[시각][청각][미각][후각][촉각][감각][시지각][청지각][미지각][감각]시각(시감각, 시지각),...
[공간감각]공간감각능력(공간지각능력)의 의미, 공간감각능력(공간지각능력)과 인지발달론, ...
[시각][시지각][시감각][청각][청지각][청감각][지각][리듬감각][리듬지각][공간감각][공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