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감각의 일반적 원리
1. 감각경험과 식역
2. 감각순응
B. 시각
1. 시각자극으로서의 광파
2. 눈의 구조와 기능
3. 색채시각
4. 색맹
C. 청각-시각 다음으로 요긴한 감각 양식
1. 청각자극으로서의 음파
2. 귀의 구조와 기능
D. 그밖의 감각들
1. 미각의 기능
2. 후각의 기능
3. 피부감각
4. 운동감각과 평형감각
E. 지각
1. 특색탐지세포
2. 선택과 주의
3. 지각의 조직과정
1. 감각경험과 식역
2. 감각순응
B. 시각
1. 시각자극으로서의 광파
2. 눈의 구조와 기능
3. 색채시각
4. 색맹
C. 청각-시각 다음으로 요긴한 감각 양식
1. 청각자극으로서의 음파
2. 귀의 구조와 기능
D. 그밖의 감각들
1. 미각의 기능
2. 후각의 기능
3. 피부감각
4. 운동감각과 평형감각
E. 지각
1. 특색탐지세포
2. 선택과 주의
3. 지각의 조직과정
본문내용
것으로 보게 됨으로써 하나의 무리로 묶여서 지각되는 경향
(2) 지각의 항상성과 안정성
지각의 항상성과 안정성: 어떤 물체에 대한 객관적인 감각정보가 변하더라도 그것을 계속 불변의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 예: 붉은 벽돌집은 대낮이든, 밤이든, 어느 각도에서 보든 똑같은 벽돌집으로 보임
크기의 항상성: 우리가 겪은 과거의 경험과 거리단서에 의하여 결정(망막에 투영되는 시각상에 관계없이 물체 진짜 크기를 잘 지각한다)
모양의 항상성: 물체를 보는 각도가 바뀌어 망막상이 변하더라도 친숙한 사물에 대해 유지. 원형 접시는 어디서 봐도 원형.
명도의 항상성: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아무리 변해도 낯익은 물체의 명도에 대한 지각은 별로 변하지 않는다.
색채의 항상성: 눈에 들어오는 시각메시지들의 변화와 상관없이 친숙한 물체의 색깔은 일정하게 지각됨.
(3) 거리 및 깊이의 지각: 유전과 환경의 공동 산물인 듯
깊이에 대한 지각능력은 부분적으로는 선천적인 듯.
시각적 절벽(특수실험대): 책상 절반을 마루 무늬랑 같게 만들어 절벽처럼 보이는 것=> 실험: 9개월 난 아이도 깊어 보이는 쪽으로는 절대 안 가려고 한다.
양안시각: 우리 두 눈은 6.5cm 가량 떨어져 있어서 특히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가 두 눈에 만드는 망막상은 약간 다르다=>망막상의 부등성이라 함
우리의 뇌는 두 망막상을 종합하여 하나의 입체상을 만들어내어 거리, 깊이 지각에 도움을 줌. but 물체가 2m 이상만 떨어져 있어도 두 눈의 시선은 거의 평행선 유지 단안단서들도 거리 및 깊이 지각과 관련해 꽤 효과적
거리 및 깊이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들
① 중첩된 개재물: 가까운 게 먼 물체 시야 가로막는 것
② 직선 및 농담원근화법: 두 평행선의 수렴과 멀수록 물체 윤곽과 모양 흐려짐
③ 조직의 변화도: 가까우면 거칠고 세밀한 조직, 멀면 고르고 고운 조직
④ 명암관계
⑤ 상대적 크기: 큰 게 더 가까운 듯. 작은 건 멀리 있는 듯 보임
p106부터는 착각 부분=> 궁금한 분들 책 읽어보세요. 별 거 없음. 그리고 시험에 안 나온다고 하는 부분이었음.
참고문헌 -----------------------------------------------------
1. E.BRUCE GOLDSTEIN 지음, 정찬섭 외 옮김, 감각과 지각, 시그마프레스, 1999.
2. 르노 바르바라 지음, 공정아 옮김, 지각(감각에 관하여), 동문선, 2003.
(2) 지각의 항상성과 안정성
지각의 항상성과 안정성: 어떤 물체에 대한 객관적인 감각정보가 변하더라도 그것을 계속 불변의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 예: 붉은 벽돌집은 대낮이든, 밤이든, 어느 각도에서 보든 똑같은 벽돌집으로 보임
크기의 항상성: 우리가 겪은 과거의 경험과 거리단서에 의하여 결정(망막에 투영되는 시각상에 관계없이 물체 진짜 크기를 잘 지각한다)
모양의 항상성: 물체를 보는 각도가 바뀌어 망막상이 변하더라도 친숙한 사물에 대해 유지. 원형 접시는 어디서 봐도 원형.
명도의 항상성: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아무리 변해도 낯익은 물체의 명도에 대한 지각은 별로 변하지 않는다.
색채의 항상성: 눈에 들어오는 시각메시지들의 변화와 상관없이 친숙한 물체의 색깔은 일정하게 지각됨.
(3) 거리 및 깊이의 지각: 유전과 환경의 공동 산물인 듯
깊이에 대한 지각능력은 부분적으로는 선천적인 듯.
시각적 절벽(특수실험대): 책상 절반을 마루 무늬랑 같게 만들어 절벽처럼 보이는 것=> 실험: 9개월 난 아이도 깊어 보이는 쪽으로는 절대 안 가려고 한다.
양안시각: 우리 두 눈은 6.5cm 가량 떨어져 있어서 특히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가 두 눈에 만드는 망막상은 약간 다르다=>망막상의 부등성이라 함
우리의 뇌는 두 망막상을 종합하여 하나의 입체상을 만들어내어 거리, 깊이 지각에 도움을 줌. but 물체가 2m 이상만 떨어져 있어도 두 눈의 시선은 거의 평행선 유지 단안단서들도 거리 및 깊이 지각과 관련해 꽤 효과적
거리 및 깊이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들
① 중첩된 개재물: 가까운 게 먼 물체 시야 가로막는 것
② 직선 및 농담원근화법: 두 평행선의 수렴과 멀수록 물체 윤곽과 모양 흐려짐
③ 조직의 변화도: 가까우면 거칠고 세밀한 조직, 멀면 고르고 고운 조직
④ 명암관계
⑤ 상대적 크기: 큰 게 더 가까운 듯. 작은 건 멀리 있는 듯 보임
p106부터는 착각 부분=> 궁금한 분들 책 읽어보세요. 별 거 없음. 그리고 시험에 안 나온다고 하는 부분이었음.
참고문헌 -----------------------------------------------------
1. E.BRUCE GOLDSTEIN 지음, 정찬섭 외 옮김, 감각과 지각, 시그마프레스, 1999.
2. 르노 바르바라 지음, 공정아 옮김, 지각(감각에 관하여), 동문선, 2003.
추천자료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의관점(행동주의,인지주의,구성주의)
[스포츠심리]스포츠 수행시 주의집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언어습득이론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각각의 특징을 상호 비교하여 설명]
언어발달이론 -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
보육과정의 세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심리 철학점 요소, 운영요소,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4공통) 학습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론의 비교논의(배경, 전제, 대...
교육공학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가네, 켈러의 이론)
[영유아 교수방법론]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다중지능 이론의 관점요약 및 시사점에 ...
언어습득이론(행동주의 이론, 생득주의 이론,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주창자, 주장, 평가, 지...
[교육심리학] 학습에 대한 인지주의 이론(認知主義習理論)의 두 가지 관점(전달적 관점, 구성...
[청소년상담] 청소년기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관련 사례포함) - ADHD의 행동 특성 및 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