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HDLC 프로토콜
가. 개요
나. 동작 형식
다. 프레임 형식
라. 프레임 종류
1) 비번호 프레임
2) 감시 프레임
이하 생략
3. 결론
2. HDLC 프로토콜
가. 개요
나. 동작 형식
다. 프레임 형식
라. 프레임 종류
1) 비번호 프레임
2) 감시 프레임
이하 생략
3. 결론
본문내용
한다. ABM과 ARM 등에서는 피기백 제어에 의해 정보 프레임의 확인을 확인 프레임대신 반대방향의 정보 프레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감시 프레임(Supervisory frame)
송신 순서번호를 포함하고 에러 및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
< HDLC 프레임의 표준 및 확장 형식 >
HDLC의 프레임 종류
비번호 프레임
링크의 관리에 사용되며, SNRM과 SABM 프레임은 primary 스테이션과 secondary 스테이션 사이의 논리적 링크를 설정하고 링크의 모드를 secondary에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또, UA 프레임은 이 등급내의 타 프레임에 대한 확인 용도로 사용 된다.
감시 프레임
RR(Receiver ready) - 수신 준비
RNR(Receiver not ready) - 수신 미비
REJ(Reject) - 재전송 요구
SREJ(Selective Reject) - 선택적 재전송 요구
RR과 RNR만이 NRM 및 ABM 모두에서 사용된다.
REJ와 SREJ 프레임은 점대점 링크에서 동시에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ABM에서만 사용되며, 상대 스테이션에 자신이 비정상적인 N(S)를 갖는 정보 프레임을 수신하여 순서번호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
REJ는 go-back-N 절차에서 사용되며, SREJ는 선택적 재전송 절차에서 사용된다.
< HDLC프레임에서 제어비트의 정의 >
< 확장된 제어비트의 정의 >
HDLC의 동작 원리
HDLC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링크의 관리와 데이터의 전송이다.
링크관리
< NRM 멀티드롭 링크 >
< ABM 점대점 링크 >
데이터 전송
< 확인 프레임의 사용 - RR >
< 확인 프레임의 사용 - REJ >
< 피기백 확인절차 >
< 윈도우 흐름 제어 절차 >
결론
데이터 링크제어시 서로 약속된 규약인 프로토콜의 중요성과, 특히 동기식 전송 방식에서 비트 지향형 동기방식에서 활용되는 HDLC 프로토콜이 어떠한 규약인지, 그 구조와 종류, 그리고 원리를 이용한 것인지를 알 수 있었으며, 플래그와 플래그 사이에 정보필드 외에 주소제어필드와 FCS의 역할 또한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며 더불어 알 게 되었다.
참고문헌
http://www.metadb.net/dictionary/recom_list.php?dic_id=827
http://csl.changwon.ac.kr/cyberclasses/courses/datacomm/Chapter5/1-5-3.htm
감시 프레임(Supervisory frame)
송신 순서번호를 포함하고 에러 및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
< HDLC 프레임의 표준 및 확장 형식 >
HDLC의 프레임 종류
비번호 프레임
링크의 관리에 사용되며, SNRM과 SABM 프레임은 primary 스테이션과 secondary 스테이션 사이의 논리적 링크를 설정하고 링크의 모드를 secondary에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또, UA 프레임은 이 등급내의 타 프레임에 대한 확인 용도로 사용 된다.
감시 프레임
RR(Receiver ready) - 수신 준비
RNR(Receiver not ready) - 수신 미비
REJ(Reject) - 재전송 요구
SREJ(Selective Reject) - 선택적 재전송 요구
RR과 RNR만이 NRM 및 ABM 모두에서 사용된다.
REJ와 SREJ 프레임은 점대점 링크에서 동시에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ABM에서만 사용되며, 상대 스테이션에 자신이 비정상적인 N(S)를 갖는 정보 프레임을 수신하여 순서번호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
REJ는 go-back-N 절차에서 사용되며, SREJ는 선택적 재전송 절차에서 사용된다.
< HDLC프레임에서 제어비트의 정의 >
< 확장된 제어비트의 정의 >
HDLC의 동작 원리
HDLC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링크의 관리와 데이터의 전송이다.
링크관리
< NRM 멀티드롭 링크 >
< ABM 점대점 링크 >
데이터 전송
< 확인 프레임의 사용 - RR >
< 확인 프레임의 사용 - REJ >
< 피기백 확인절차 >
< 윈도우 흐름 제어 절차 >
결론
데이터 링크제어시 서로 약속된 규약인 프로토콜의 중요성과, 특히 동기식 전송 방식에서 비트 지향형 동기방식에서 활용되는 HDLC 프로토콜이 어떠한 규약인지, 그 구조와 종류, 그리고 원리를 이용한 것인지를 알 수 있었으며, 플래그와 플래그 사이에 정보필드 외에 주소제어필드와 FCS의 역할 또한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며 더불어 알 게 되었다.
참고문헌
http://www.metadb.net/dictionary/recom_list.php?dic_id=827
http://csl.changwon.ac.kr/cyberclasses/courses/datacomm/Chapter5/1-5-3.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