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광고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전파업무 집행 기관

TV 광고 시급

TV 광고 판매 제도TV 광고 유형

TV광고의 불방 및 전용

TV광고의 특집 편성 및 주말 재방송

TV광고의 중도 중지

TV- CM 제작 FLOW

콘티사례

매체집행 과정

매체목표 및 전략의 수립을 위한 체크리스트

매체 선택 과정

용어 정리

효과분석

본문내용

KOBACO (한국 방송 광고 공사)
(KOrean Broadcasting Advertising Corporation)
문화 관광부 산하 공 기업
1981년 설립
국내 모든 공중파 TV 및 Radio 광고 시간 판매 독점 대행
Media Representative ( Media Sales House)
방송 광고 단가 책정 및 영업 정책 독점 결정
공익 자금 조성
프로그램 광고(PP) : 정규 프로그램 전후 광고
- 프로그램 방송 시간의 10/100 이내에서 광고 판매
- 본 프로그램의 전-후에 광고 방송 ( 중간 광고 금지)
- 15초, 20초, 30초 기준 ( 대부분 15초)
Station Break(SB) :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Block
매 시간당 2회 이내(지역광고 가능)
20초 3개 + 30초 광고 1개로 구성 =90초
연간스포츠 : 스포츠 프로그램의 연간 계약
( KBS2와 SBS는 월 정액 집행 / MBC는 월 집행 차등)
ID(Identification) : 화면 ¼크기 이내의 10” 단순 자막광고
(매 시간 당 6건 이내)
시보 (Time Signal ) : 10초
■ 광고 시급 : 시청률에 따라 방송 시간대를 4등급으로 나누어 광고 단가 차등 적용
■ 광고 단가 : SA(prime) > A > B > C
현재 TV광고는 MBC, KBS2, SBS등의 대표적인 공중파와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각 지역 민방 등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각 방송국에 광고를 하고자 할 경우 한국방송광고공사를 통해서만 광고를 할 수 있다.
현재 모든 방송광고의 영업대행권이 한국방송광고공사(이하 KOBACO)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KOBACO는 방송광고인정대행사(광고회사)를 선정하고 대행사를 통하여 실제 광고주로부터 광고청약을 받고 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12.0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39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