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물경기
(1) 소비
(2) 생산 및 투자
(3) 고용
(4) 물가 및 부동산
(5) 대외거래
2. 금융동향
(1) 주식시장
(2) 파생상품시장
(3) 여수신파악
(4) 시장금리 및 환율
(5) 통화지표
3. 해외동향
(1) 주요국 경제동향
(2) 주요국 금리
(3) 주요국 환율
(4) 국제유가 및 기타 원자재 가격
4. 종합판단
(1) 소비
(2) 생산 및 투자
(3) 고용
(4) 물가 및 부동산
(5) 대외거래
2. 금융동향
(1) 주식시장
(2) 파생상품시장
(3) 여수신파악
(4) 시장금리 및 환율
(5) 통화지표
3. 해외동향
(1) 주요국 경제동향
(2) 주요국 금리
(3) 주요국 환율
(4) 국제유가 및 기타 원자재 가격
4. 종합판단
본문내용
∎ 목표
1.실물경기 2.금융시장 3.해외동향 세부분의 주요지표 분석을 통하여 올바른
통화정책방향 판단
1. 실물경기
1) 소비
▢ 소비지출분석
◈ 2004년 3/4분기 이후로 소비지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후 현재까지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상승.
◈ 민간소비는 의류, 신발 등 준내구재와 식료품 등 비내구재에 대한 지출이 감소한데다
서비스 소비가 부진하여 전기대비 0.5% 증가 (전분기 : 0.9%)
▢ 소비자동향
※ 소비자기대(평가)지수 100은 6개월후(현재)의 경기, 생활형편 등에 대해 현재(6개월전)
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가구와 부정적으로 보는 가구의 비중이 같은 수준임을 의미
■ 실물지표 판단
▶ 소비지표 분석
◈ 미래의 소비심리 위축할 것으로 예상.
- 소비자기대지수는 2005년 후반 개선되던 소비심리가 2006년 2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하며 6월 지수가 100p보다 낮은 97.4p 기록.
- 소비자 평가 지수 또한 2006년 4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 6월 81.9p로 조사. 전반적
으로 소비자들은 경기 전망을 비관적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남.
◈ 현재 안정적인 상승추세이나 기대지수에 따른 전망은 비관적으로 예상하는 쪽이 우세
하고 금리인상 등 이자비용 증가는 향후 소비심리 위축으로 소비둔화가 예상됨.
▶ 생산 및 투자지표 분석
◈ 설비투자는 견실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건설투자는 소폭상승
◈ 제조업과 서비스업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향후 기업들의 경기전망은 다소 부정적
▶ 고용지표 분석
고용상황은 경기회복과 함께 점차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 취업자수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실업률은 소폭 감소
▶ 물가지표 분석
◈ 물가는 근원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모두 안정적 범위(2.5% - 3.5%)보다 낮지만
공공요금, 집세 등 서비스요금 상승으로 오름세가 점차 확대될 전망임
1.실물경기 2.금융시장 3.해외동향 세부분의 주요지표 분석을 통하여 올바른
통화정책방향 판단
1. 실물경기
1) 소비
▢ 소비지출분석
◈ 2004년 3/4분기 이후로 소비지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후 현재까지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상승.
◈ 민간소비는 의류, 신발 등 준내구재와 식료품 등 비내구재에 대한 지출이 감소한데다
서비스 소비가 부진하여 전기대비 0.5% 증가 (전분기 : 0.9%)
▢ 소비자동향
※ 소비자기대(평가)지수 100은 6개월후(현재)의 경기, 생활형편 등에 대해 현재(6개월전)
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가구와 부정적으로 보는 가구의 비중이 같은 수준임을 의미
■ 실물지표 판단
▶ 소비지표 분석
◈ 미래의 소비심리 위축할 것으로 예상.
- 소비자기대지수는 2005년 후반 개선되던 소비심리가 2006년 2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하며 6월 지수가 100p보다 낮은 97.4p 기록.
- 소비자 평가 지수 또한 2006년 4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 6월 81.9p로 조사. 전반적
으로 소비자들은 경기 전망을 비관적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남.
◈ 현재 안정적인 상승추세이나 기대지수에 따른 전망은 비관적으로 예상하는 쪽이 우세
하고 금리인상 등 이자비용 증가는 향후 소비심리 위축으로 소비둔화가 예상됨.
▶ 생산 및 투자지표 분석
◈ 설비투자는 견실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건설투자는 소폭상승
◈ 제조업과 서비스업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향후 기업들의 경기전망은 다소 부정적
▶ 고용지표 분석
고용상황은 경기회복과 함께 점차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 취업자수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실업률은 소폭 감소
▶ 물가지표 분석
◈ 물가는 근원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모두 안정적 범위(2.5% - 3.5%)보다 낮지만
공공요금, 집세 등 서비스요금 상승으로 오름세가 점차 확대될 전망임
추천자료
저금리시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콜시장 의의 및 제도변천 거래조건 참가기관 거래메커니즘
저금리의 파급효과와 시사점
금리에 대한 이해 및 최근 금융기관 여수신 가중평균금리 동향
금리의 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변동금리채의 의의
[환율][환율결정][환율변동][자본이동성][통화정책]환율의 의미와 중요성, 환율의 변천, 환율...
[은행][독점화][채널관리][내부금리제도][전략적 위험관리 사례]은행의 기능, 은행의 독점화,...
금리, 환율, 국제수지(무역)의 변동 사항이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앙은행이 화폐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책을 3가지 제시하고 그 내용과 기대효과를 설명...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
국제금융론 -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양적 완화정책(QE) 1, 2, 3차 , 종료선언 사례 & 양적완화 종료에 따른 국내 영향...
글로벌금융위기 전후 KRW, EUR, GBP, JPY, CNY(원화,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위안화) 환율 ...
국제재무론)기준금리를 올렸다 이번 12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 채권시장과 우리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