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페다고지를 읽기 전 생각
2.페다고지의 저자 프레이리의 생각
3.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은행적금식, 문제제기식 , 대화법, 반대화법)
4.이 책의 비판점
5.이 책을 통해 토론하기 좋은 주제.
2.페다고지의 저자 프레이리의 생각
3.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은행적금식, 문제제기식 , 대화법, 반대화법)
4.이 책의 비판점
5.이 책을 통해 토론하기 좋은 주제.
본문내용
지 않아서 자칫 내가 생각하는 빈부격차의 계층이라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는다. 분명 빈부격차에 의한 계층만을 의미 하지 않을텐데 말이다.
또, 교육을 받으면 피억압자의 지위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그 피억압자를 벗어나면 무엇이 되는가? 이러한 의문도 풀리지 않았다.
그리고 또한 프리어리가 제시한 문제제기식 교육이 과연 모든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다. 우리나라는 유럽이나 미국과는 달리 턱없이 부족한 교사수, 그리고 그들과의 문화적 차이가 있다. 예로부터 어른들에게 모든 것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우리 풍습에서 이러한 교육방식이 과연 얼마나 제대로 적용이 될까?
내가 경영학과를 다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경영전략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시장세분화 이다. 아무리 좋은 전략이라도 모든 시장에 적용할 수 없고 따라서 시장을 세분화 시켜 그곳에 맞는 각각의 전략을 짜야한다. 이와 비슷하게 교육의 방식도 나라별로, 그리고 문화별, 경제상황, 정치상황, 등등을 모두 고려해서 그에 맞는 적절한 교육방식을 제시하는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고 같이 토론해보고 싶은것은,
첫 번째, 이러한 문제제기식 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과연 우리나라는 적합한가?
두 번째, 피억압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방교육’이란말을 썼는데, 이를 위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교육의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프레어리는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과연 모든 문제를 대화를 통해 이끌어 나갈 수 있는가?
이다.
이상으로 프레어리의 억눌린자를 위한 교육의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또, 교육을 받으면 피억압자의 지위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그 피억압자를 벗어나면 무엇이 되는가? 이러한 의문도 풀리지 않았다.
그리고 또한 프리어리가 제시한 문제제기식 교육이 과연 모든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다. 우리나라는 유럽이나 미국과는 달리 턱없이 부족한 교사수, 그리고 그들과의 문화적 차이가 있다. 예로부터 어른들에게 모든 것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우리 풍습에서 이러한 교육방식이 과연 얼마나 제대로 적용이 될까?
내가 경영학과를 다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경영전략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시장세분화 이다. 아무리 좋은 전략이라도 모든 시장에 적용할 수 없고 따라서 시장을 세분화 시켜 그곳에 맞는 각각의 전략을 짜야한다. 이와 비슷하게 교육의 방식도 나라별로, 그리고 문화별, 경제상황, 정치상황, 등등을 모두 고려해서 그에 맞는 적절한 교육방식을 제시하는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고 같이 토론해보고 싶은것은,
첫 번째, 이러한 문제제기식 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과연 우리나라는 적합한가?
두 번째, 피억압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방교육’이란말을 썼는데, 이를 위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교육의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프레어리는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과연 모든 문제를 대화를 통해 이끌어 나갈 수 있는가?
이다.
이상으로 프레어리의 억눌린자를 위한 교육의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추천자료
교육철학 및 교육사- 루소의 교육론과 교육사상
[주자, 주자의 교육사상] 주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제1차 연구과제) 이상주의 - 이상주의 교육사상의 관점에서 역사교육...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생애와...
교육사 공통)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
교육사=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