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행동론]한국야쿠르트-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회사 소개
-기업소개
-연혁
2. 제품소개

Ⅱ. 본론
1. 개발과정
2. 시장환경
3. STP분석
4. 4P분석
5. 판매 후 고객관리 및 Social Marketing

Ⅲ. 결론
1. 성과
2. 시사점

본문내용

리 나라의 65세 이상 무의탁노인은 20만 명에 이르고 있으며, 행정기관의 사회복지과에서 이들에 대한 복지를 전담하고 있지만, 인력이 부족하여 한 달에 한 번 방문하기도 힘든 실정이라고 한다. 매일 방문 판매하는 노하우가 축적된 야쿠르트 아줌마가 무의탁노인을 방문, 그들의 건강을 체크하고, 이상이 있을 때 행정기관에 연락하여 조치할 수 있는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Ⅲ. 결 론
1.성과
야쿠르트 이후 출시된 유산균 발효유 중에서 특히 2000년에 내놓은 '윌'은 현재 하루 70만개, 연간 2200여억원이 판매되 는 식품업계 최고의 히트 상품이 됐으며, 2004년 작품인 간 기능 활성화 발효유 '쿠퍼스'도 하루 평균 18만개 이상 판매 되고 있다. 두 제품 모두 임상시험까지 거쳐 효능을 인정받은 세계적인 제품으로 유산균 발효유의 영역을 확장시켰다는 평 가를 받고 있다.
모두 한국형 유산균 개발 및 종균 국산화를 이루어낸 한 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작품들이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회사가 신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전국 553개 영업장의 1만3500여명의 막강 파워군단,
야쿠르트아줌마'들이 전국 구석구석을 누비며 히트 상품으로 둔갑 시켰 다. 야쿠르트 아줌마는 그 존재 자체가 한국야쿠르트를 대표하는 이미 지마케팅 상품이기도 하다. 회사초기인 1971년 당시 야쿠르트아줌마 1 인당 판매물량은 하루 100병 정도였지만, 77년에는 400병, 82년에는 600여병, 그리고 92년에 최고기록인 800여병에 도달한다. 현재는 하루 550병(야쿠르트는 250병)으로 배달량은 줄었지만 대신 메치니코프, 윌 등 고기능·고가 유제품의 판매 증가로 1인당 하루 매출은 23만 여 원 으로 오히려 크게 늘었다. 야쿠르트 아줌마들이 지난해 올린 총매출 7500억 원은 회사 매출의 75%를 차지한다. 회사의 최근 대표적 효자 상품은 윌. 단일품목으로 2000년 출시 이후 지금까지 1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으며 연간 2억 개(2000여억 원 상당) 수준의 매출을 올 리고 있다.
2.시사점
한국 야쿠르트는 우리나라에 유산균 발효유를 처음 소개한 회사로서 이 분야에 대한 일관된 연구와 집중적인 설비투자로 출시 이후 점유율 4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기업 이미지도 “건강에 좋은 제품만을 만드는 건실한 기업”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국 야쿠르트는 제품력, 영업력, 인지도 등 각 분야에서 탁월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윌’은 하루 60만개의 판매량을 자랑하며 위 건강 고기능성 발효유 시장의 문을 열었다.
그러나 윌 제품의 판매호조는 단순히 제품 타겟을 장에서 위로 확대시켰기 때문은 아니다. 물론 소비자 욕구를 정확히 충족시킨 점도 있지만 오랜 연구기간과 임상실험을 통해 효능을 확인한 제품이라는 것이다. 세계경제가 통합되고 글로벌화 되면서 R&D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어 산업재편이 보다 활발해지고 제품과 기술이 융합되는 등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어 연구개발능력은 기업의 "성장"을 넘어 "생존"과 직결된다.
특히 선진국에 비해 뒤늦게 산업사회로 진입한 한국 기업들은 최근 이런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몇몇 기업은 계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1등 제품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이제 서서히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세계시장 점유율이 높은 제품이 많아지는 현상은 자원과 자본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여전히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시장개방의 가속화와 경쟁의 심화는 일류상품의 개발을 요구한다. 일류상품을 지닌 기업만이 생존과 발전을 보장받는 시대이다. 기업들은 각자 맡은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세계시장 경쟁에서 이기려면 어떤 기업도 흉내 낼 수 없는 독특한 제품을 만들어 내야 할 것이다.
한국 야쿠르트는 기능성 발효유의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해왔고 그 결과 세계 최고의 발효유 기술을 지니게 되었다. 앞으로도 유산균의 유용한 효능 연구결과가 계속 밝혀지고 인류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건강기능이 강화된 발효유의 연구개발은 꾸준히 진행되어 갈 것이다. 최근에 ‘윌’이 장(腸)건강 이외에, 위장(胃腸)에도 좋은 고기능(高機能) 발효유를 발매하면서 이러한 기능성 발효유의 연구개발은 더욱 활기를 띄고 있으며 이러한 효능에 대한 검증이 과학적으로 뒷받침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더욱 사랑 받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 참고자료
<인터넷 자료>
매일경제신문 http://www.mk.co.kr
<2007년 2월 23일> 한국야쿠르트 '윌'가격 인상
<2007년 3월 28일> [한국야쿠르트] 김순무 사장, ‘일등 제품만 만든다’ 신념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
<2007년 3월 4일> [히트 브랜드 스토리] 한국야쿠르트 윌,위장 맞춤 기능성 인정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
<2006년 10월 11일> 胃까지 생각한 ‘윌’ 한해 매출 2200억 ‘대박’
<2006년 10월 23일> 한국야쿠르트 ‘윌.쿠퍼스’ 신화 이어간다
<2007년 3월 23일>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방문판매가 강한 이유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2005년 10월 4일> 올 노벨의학상에 濠워런 - 마셜…헬리코박터균 발견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2007년 3월 11일> 발효유·야채즙 선두 … 아줌마의 힘 !
경향닷컴 http://www.khan.co.kr
<2006년 3월 8일> 위암 80%는 헬리코박터균 탓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
<2007년 5월 8일> [한국경제 이끄는 뉴리더―한국야쿠르트] “아침 건강배달 38년…”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2007년 9월 19일> 소비자 입맛 읽어낸 신제품으로 성장 꾸준
한국야쿠르트 http://www.yakult.co.kr
한국유가공협회 http://www.koreadia.or.kr
<그 외>
역발상 마케팅 - 여준상 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2.0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5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