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onnet 86 분석
2. sonnet 124 분석
2. sonnet 124 분석
본문내용
alone stands hugely politic, 그러나 한없는 지혜에 홀로이 서서>
11행의 주어는 9행의 “It(그것->나의 사랑)” 으로 나의 사랑이 “all alone(홀로)” 서있다는 표현에서 셰익스피어의 fair youth에 대한 사랑이 일방적이 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나의 사랑은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정확하게 앎으로써 아첨이 없는 순수한 사랑에게 따르는 불이익들을 극복한다. 그 사랑은 정책을 능가하는 위대한 지혜 위에 설 수 있는 것이다.
<12행 That it nor grows with heat nor drowns with showers. 뜨거운 더위에서 자라지 않고 소나기에 익사하지 않도다.>
12행의 주어 역시 9행의 “It (나의 사랑)” 이지만 식물의 이미지와 연결 된다. 자라서는 안 되는 뜨거운 더위에서 자라지 않고 참고 버텨야 하는 소나기에는 참고 버티는 식물의 모습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꿋꿋이 견디는 사랑, 절개를 지키는 사랑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곧, 4행의 weeds와 flowers와 대조를 이룬다.
<13행 To this I witness call the fools of time, 나는 시간의 어릿광대들을 불러 내 사랑에 대한 증인이 되게 하리라.>
"this"가 가리키는 것은 셰익스피어의 진정한 사랑이고, “I witness call”은 “I call as witnesses(나의 증인으로써 부르리라)”라고 이해 할 수 있다. “the fools of time(시간의 어릿광대)” 라는 것은 소네트 116편에서 이미 언급 된 적이 있다. 소네트 116편에 나오는 “Love's not Time's fool(사랑은 시간의 어릿광대가 아니다)”는 “사랑은 변화하는 시간을 따라 변화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다. "fool"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시간에게 놀아나면서 시간의 웃음거리가 된다는 의미를 준다. 이는 지배 세력의 어릿광대일 뿐인 아첨하는 자들을 비난 하는 것을 암시한다. 동시에 시인 자신의 사랑은 시간의 어릿광대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14행 Which die for goodness, who have lived for crime. 악을 위하여 살고 선을 위하여 죽는(시간의 어릿광대들)>
which의 선행사는 13행의 “the fools of time" 으로 14행은 시간의 어릿광대를 꾸며주는 부분이다. 시간의 어릿광대들이 악을 위하여 산다는 의미는 그들이 살아 있는 동안, 지배 세력에게 아첨하면서 세상에서의 안식을 위하여 비열하게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들이 죽을 때가 면 ”천국“에 가야 한다는 생각에 그제 서야 자신의 과오를 뉘우친다. 그것이 ”선을 위하여 죽는다“의 의미다. 살아 갈 때는 악을 행하면서 살다가 임종이 가까우면 뒤늦게 선을 행하는 인간의 이러한 기회주의적인 모습은 지금도 많이 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는 인간의 이런 보편적인 습성, 이해 관계가 결부된 보편적인 사랑을 거부하고 자신의 순수하고 자유로운 진정한 사랑을 노래 하고 있는 것이다.
11행의 주어는 9행의 “It(그것->나의 사랑)” 으로 나의 사랑이 “all alone(홀로)” 서있다는 표현에서 셰익스피어의 fair youth에 대한 사랑이 일방적이 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나의 사랑은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정확하게 앎으로써 아첨이 없는 순수한 사랑에게 따르는 불이익들을 극복한다. 그 사랑은 정책을 능가하는 위대한 지혜 위에 설 수 있는 것이다.
<12행 That it nor grows with heat nor drowns with showers. 뜨거운 더위에서 자라지 않고 소나기에 익사하지 않도다.>
12행의 주어 역시 9행의 “It (나의 사랑)” 이지만 식물의 이미지와 연결 된다. 자라서는 안 되는 뜨거운 더위에서 자라지 않고 참고 버텨야 하는 소나기에는 참고 버티는 식물의 모습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꿋꿋이 견디는 사랑, 절개를 지키는 사랑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곧, 4행의 weeds와 flowers와 대조를 이룬다.
<13행 To this I witness call the fools of time, 나는 시간의 어릿광대들을 불러 내 사랑에 대한 증인이 되게 하리라.>
"this"가 가리키는 것은 셰익스피어의 진정한 사랑이고, “I witness call”은 “I call as witnesses(나의 증인으로써 부르리라)”라고 이해 할 수 있다. “the fools of time(시간의 어릿광대)” 라는 것은 소네트 116편에서 이미 언급 된 적이 있다. 소네트 116편에 나오는 “Love's not Time's fool(사랑은 시간의 어릿광대가 아니다)”는 “사랑은 변화하는 시간을 따라 변화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다. "fool"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시간에게 놀아나면서 시간의 웃음거리가 된다는 의미를 준다. 이는 지배 세력의 어릿광대일 뿐인 아첨하는 자들을 비난 하는 것을 암시한다. 동시에 시인 자신의 사랑은 시간의 어릿광대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14행 Which die for goodness, who have lived for crime. 악을 위하여 살고 선을 위하여 죽는(시간의 어릿광대들)>
which의 선행사는 13행의 “the fools of time" 으로 14행은 시간의 어릿광대를 꾸며주는 부분이다. 시간의 어릿광대들이 악을 위하여 산다는 의미는 그들이 살아 있는 동안, 지배 세력에게 아첨하면서 세상에서의 안식을 위하여 비열하게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들이 죽을 때가 면 ”천국“에 가야 한다는 생각에 그제 서야 자신의 과오를 뉘우친다. 그것이 ”선을 위하여 죽는다“의 의미다. 살아 갈 때는 악을 행하면서 살다가 임종이 가까우면 뒤늦게 선을 행하는 인간의 이러한 기회주의적인 모습은 지금도 많이 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는 인간의 이런 보편적인 습성, 이해 관계가 결부된 보편적인 사랑을 거부하고 자신의 순수하고 자유로운 진정한 사랑을 노래 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