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구
- 수출 유망품목 발굴 및 시장 확대 전략 수립 지원
섬유
- 품목별 경쟁력을 감안한 관세양허 희망
- 품목별 특성이 반영된 원산지 기준 적용
철강
- 한-EU FTA 체결시 자동차, 조선, 기계 등의 수출 증가로 간접수출 확대 효과 기대
반도체
- 한-EU FTA 체결로 EU 장비업계와의 전략적 제휴, 투자유치 등을 통한 적극적 기술도입 필요
석유화학
- 민감품목의 장기관세유예 필요
- 개발 및 상업 초기 단계의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육성대책 강구
정밀화학
- 국내 정밀화학 산업에 유리한 양허기간 및 원산지 기준 설정
- 관세장벽 보다는 REACH제도 등 비관세장벽 분야 완화에 주력
중전기기
- 한-EU간 공동기술개발 및 기술인력교류 활성화 지원 요청
<참고자료>
□ 업종별 경쟁력 현황
업종
경쟁력 현황
자동차
- 경차 및 SUV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음
- 품질경쟁력은 크게 개선되었으나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중저가 브랜드’이미지, 내구품질도에 있어서는 다소 미달
전자
- TV, TV용 브라운관, 영상프로젝터 등 가전 및 디스플레이 제품은 경쟁력 우위
- 전자의료 기기 등과 같은 정밀기기 및 전기다리미, 믹서 등 소형가전은 경쟁력 열위
일반기계
- 對EU 무역특화지수는 -0.24로 수입이 다소 높음
- 공작기계 및 건설광산기계 경쟁력 우위
- 농기계, 운반하역기계, 각종 부품 등 경쟁력 열위
섬유
- 화섬직물, 편직물의 경우 세계 선진 수준으로 경쟁력 높음
- 중국, 터키, 인도, 이탈리아에 비해서는 경쟁력 열위
철강
- 對EU 무역특화지수*는 0.03수준으로 상호비교우위 없이 동등
- 봉,형강류에서 한국이 경쟁력 우월하나, 판재류 등 부가가치강 제품에서는 EU가 우위
- 가격경쟁력은 대부분의 철강제품에서 한국이 EU보다 월등함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는 세계 최고 기술 수준을 보유
- 시스템반도체 및 반도체장비, 반도체재료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은 경쟁력 열위
석유화학
- 우리나라는 기초 원료의 수입의존도가 높아 가격경쟁력 불리
- 규모에 따른 설비효율성 측면에서 EU에 비해 다소 우위
- 기술경쟁력의 경우, 범용제품 생산기술은 EU 수준이나, 공정기술, 특화기술은 EU에 비해 크게 열위
정밀화학
- 염안료, 도료잉크 등 범용화학제품의 제조기술은 선진국 수준
-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는 원제, 전자정보용 화학소재는 수입의존도가 높음
중전기기
- 가격경쟁력은 품목별로 편차가 있으나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
- 설비운영기술 및 조립제작기술은 선진국 수준이나, 신형 발전설비기술, 대용량 전력변환기술 등 신기술은 선진국에 미치지 못함
* 무역특화지수 :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
□ 관세 및 비관세장벽
업종
관세 및 비관세장벽 현황
자동차
관세
- 승용차 10%, 버스 10~16%, 트럭 3.5%~22%
비관세장벽
- 배기가스규제, CO₂감축규제, 폐차처리 지침
전자
관세
- 반도체, 컴퓨터, 휴대폰 등의 품목은 무관세
- TV, TV용 브라운관, 영상프로젝트 등 영상기기 14%
비관세장벽
- REACH 등 환경규제, CE인증
- 우리측 주력 수출품목에 대한 자의적 관세 분류
일반기계
관세
- 일반기계 평균관세율 2.0%
비관세장벽
- CE 인증, 반덤핑 조치, Eco-Design 등
섬유
관세
- EU의 평균관세율 4.2%이나, 섬유, 의류는 7.9%
비관세장벽
- 라벨링 규정, 품질검사 요구사항, 염색관련 기준 등
철강
관세
- 2004년부터 철강제품 무관세
비관세장벽
- 현재 반덤핑 규제 등 수입규제 및 비관세장벽 없음
반도체
관세
- 1997년 체결한 WTO-ITA 협정에 의해 반도체 무관세
비관세장벽
- RoHS, REACH 등 환경, 안전, 위생 등에 대한 기술표준 및 규제
석유화학
관세
- 원료, 기초유분 무관세
- 합섬원료, 합성수지 등은 6.5%
비관세장벽
- REACH 등 환경규제
정밀화학
관세
- 평균관세율 4.5%수준으로 우리나라(5.8%)보다 낮음
비관세장벽
- REACH 등 각종 환경규제
중전기기
관세
- 평균관세율 2.5%
비관세장벽
- 국내 공인시험기관 시험성적 불인정
주 :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 in electric and electronic equpment) :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
- 수출 유망품목 발굴 및 시장 확대 전략 수립 지원
섬유
- 품목별 경쟁력을 감안한 관세양허 희망
- 품목별 특성이 반영된 원산지 기준 적용
철강
- 한-EU FTA 체결시 자동차, 조선, 기계 등의 수출 증가로 간접수출 확대 효과 기대
반도체
- 한-EU FTA 체결로 EU 장비업계와의 전략적 제휴, 투자유치 등을 통한 적극적 기술도입 필요
석유화학
- 민감품목의 장기관세유예 필요
- 개발 및 상업 초기 단계의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육성대책 강구
정밀화학
- 국내 정밀화학 산업에 유리한 양허기간 및 원산지 기준 설정
- 관세장벽 보다는 REACH제도 등 비관세장벽 분야 완화에 주력
중전기기
- 한-EU간 공동기술개발 및 기술인력교류 활성화 지원 요청
<참고자료>
□ 업종별 경쟁력 현황
업종
경쟁력 현황
자동차
- 경차 및 SUV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음
- 품질경쟁력은 크게 개선되었으나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중저가 브랜드’이미지, 내구품질도에 있어서는 다소 미달
전자
- TV, TV용 브라운관, 영상프로젝터 등 가전 및 디스플레이 제품은 경쟁력 우위
- 전자의료 기기 등과 같은 정밀기기 및 전기다리미, 믹서 등 소형가전은 경쟁력 열위
일반기계
- 對EU 무역특화지수는 -0.24로 수입이 다소 높음
- 공작기계 및 건설광산기계 경쟁력 우위
- 농기계, 운반하역기계, 각종 부품 등 경쟁력 열위
섬유
- 화섬직물, 편직물의 경우 세계 선진 수준으로 경쟁력 높음
- 중국, 터키, 인도, 이탈리아에 비해서는 경쟁력 열위
철강
- 對EU 무역특화지수*는 0.03수준으로 상호비교우위 없이 동등
- 봉,형강류에서 한국이 경쟁력 우월하나, 판재류 등 부가가치강 제품에서는 EU가 우위
- 가격경쟁력은 대부분의 철강제품에서 한국이 EU보다 월등함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는 세계 최고 기술 수준을 보유
- 시스템반도체 및 반도체장비, 반도체재료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은 경쟁력 열위
석유화학
- 우리나라는 기초 원료의 수입의존도가 높아 가격경쟁력 불리
- 규모에 따른 설비효율성 측면에서 EU에 비해 다소 우위
- 기술경쟁력의 경우, 범용제품 생산기술은 EU 수준이나, 공정기술, 특화기술은 EU에 비해 크게 열위
정밀화학
- 염안료, 도료잉크 등 범용화학제품의 제조기술은 선진국 수준
-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는 원제, 전자정보용 화학소재는 수입의존도가 높음
중전기기
- 가격경쟁력은 품목별로 편차가 있으나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
- 설비운영기술 및 조립제작기술은 선진국 수준이나, 신형 발전설비기술, 대용량 전력변환기술 등 신기술은 선진국에 미치지 못함
* 무역특화지수 :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
□ 관세 및 비관세장벽
업종
관세 및 비관세장벽 현황
자동차
관세
- 승용차 10%, 버스 10~16%, 트럭 3.5%~22%
비관세장벽
- 배기가스규제, CO₂감축규제, 폐차처리 지침
전자
관세
- 반도체, 컴퓨터, 휴대폰 등의 품목은 무관세
- TV, TV용 브라운관, 영상프로젝트 등 영상기기 14%
비관세장벽
- REACH 등 환경규제, CE인증
- 우리측 주력 수출품목에 대한 자의적 관세 분류
일반기계
관세
- 일반기계 평균관세율 2.0%
비관세장벽
- CE 인증, 반덤핑 조치, Eco-Design 등
섬유
관세
- EU의 평균관세율 4.2%이나, 섬유, 의류는 7.9%
비관세장벽
- 라벨링 규정, 품질검사 요구사항, 염색관련 기준 등
철강
관세
- 2004년부터 철강제품 무관세
비관세장벽
- 현재 반덤핑 규제 등 수입규제 및 비관세장벽 없음
반도체
관세
- 1997년 체결한 WTO-ITA 협정에 의해 반도체 무관세
비관세장벽
- RoHS, REACH 등 환경, 안전, 위생 등에 대한 기술표준 및 규제
석유화학
관세
- 원료, 기초유분 무관세
- 합섬원료, 합성수지 등은 6.5%
비관세장벽
- REACH 등 환경규제
정밀화학
관세
- 평균관세율 4.5%수준으로 우리나라(5.8%)보다 낮음
비관세장벽
- REACH 등 각종 환경규제
중전기기
관세
- 평균관세율 2.5%
비관세장벽
- 국내 공인시험기관 시험성적 불인정
주 :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 in electric and electronic equpment) :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블럭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한국과 일본의 자유무역협정(FTA)체결과 전망
BRICs시장 이해와 대응전략
EU의 경제현황 및 한-EU관계
[한중일 FTA][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자유무역협정][한국][중국][일본]한중일 FTA(자유무...
[유통관리론]업태별 유통산업 현황 및 2009년 시장전망(A+리포트)
FTA시대의 국내 농산품 수출 활성화 전략
국제무역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WTO의 항공운송권 협상에 대한 우리 나라의 대응전략(항공산업)
개항을 전후한 한중일 삼국의 사회경제변화 대응전략비교
EU 경제위기가 우리나라 선박산업에 미치는 영향
자본시장 통합법 시행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응전략 (자통법 소개)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한국의 위협요소 및 대응전략 (중국의 경제성장).pptx
신흥국 부상의 배경,신흥국 대응전략,세계경제론,신흥국 대응전략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