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공학 [ CAPM, 배당정책, 자본구조이론, 개인 대차대조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무공학 [ CAPM, 배당정책, 자본구조이론, 개인 대차대조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CAPM 이란?

② CAPM의 배경

③ CAPM의 전개과정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자본구조이론 (資本構造理論, theory of capital structure)

본문내용

감효과의 현재가치
부채를 많이 사용할수록 감세효과TㆍB가 커지나 기대파산비용의 현재가치도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최적자본구조가 존재하게 된다.
5. 대리인비용(agency cost)과 자본구조이론
자기자본의 대리비용은 외부주주와 내부주주인 소유경영자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타인자본에만 의존하여 자금조달을 할 때에는 외부로부터 자기자본을 조달하지 않으므로 자기자본의 대리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타인자본의존도를 줄이고 자기자본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는 대리비용이 증가된다. 부채의 대리비용은 자기자본의 대리비용과는 달리 부채를 많이 쓸수록 위험유인과 과소투자현상이 크게나타나서 대리비용을 증가시킨다.
대리인과 위임자 사이에 발생하는 대리인비용은 발생형태에 따라 감시비용(monitoring cost), 확증비용(bonding cost) 그리고 잔여손실(residual loss)로 구분된다.
6. 정보의 비대칭성과 자본구조
경영자와 일반투자자들이 서로 다른 정보를 갖게되는상황이 정보의 비대칭성이 있는 상황이다. 정보의 비대칭성이 있는 경우 기업내용에 대해 우월한 정보를 갖고 있는 기업의 경영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를 일반투자자에게 전달해주는 수단으로 자본조달방법이나 배당정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전달효과를 신호효과또는 정보효과라고 한다. 경영자는 기업내용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만약 이 변화가 긍정적인 내용인 경우에는 이를 시장에 알림으로써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려 할 것이다. 그러나 어떤 기업이 긍정적인 기업내용의 변화를 시장에 직접 발표하였을 경우에 주가상승과 같은 기업가치의 증가가 바로 실현된다면,실제로 긍정적인 변화가 없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거짓발표를 함으로써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려는유인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이 실제로 기업내용에 대한 긍정적인 정보를 시장에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를 시장에 발표하여도 투자자들이 이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업은 발표하는 정보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내용을 직접 발표하기보다는 자본구조의 변화나 배당의 변화 등의 간접적인 정보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시장에 전달하게 된다.
홍길동의 대차대조표
자산
금액
부채 + 자본
금액
유동자산
1840300원
부채(유동부채)
1700000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현금
+ 저금통
+ 예금(통장잔고)
+ 대출(학자금)
1840300원
15000원
25300원
100000원
1700000원
- 부채(학자금대출)
1700000원
자본
2161300원
- 부모님이주신돈
2161300원
자본과 부채총계
3861300원
고정자산(유형자산)
2021000원
비품
- 가방
- 반지
- 게임기
- 매직기
- 드라이기
- 우산
- 체중계
전자기기
- 컴퓨터
- MP3
- 전자계산기
- 휴대폰
- 전자레인지
433000원
55000원
280000원
30000원
25000원
18000원
9000원
16000원
1588000원
930000원
240000원
28000원
230000원
160000원
자산총계
3861300원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1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