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의 본연적 조형으로서 상상력
2. 산수화의 기본적 태도
3. 산수화 표현에 있어서의 상상적 특징
4. 소재의 단일성 문제
5. 마치면서
6. “상상력과 산수의 비경”을 통해서 느끼다.
2. 산수화의 기본적 태도
3. 산수화 표현에 있어서의 상상적 특징
4. 소재의 단일성 문제
5. 마치면서
6. “상상력과 산수의 비경”을 통해서 느끼다.
본문내용
정지로 환원시킨 정지이다. 결국 완전한 정지가 아닌 무한한 움직임 속 한 찰라를 표현함으로서 영속적인 움직임이 내포된 의미를 지닌다.
서양의 화면은 하나의 중심으로 집중되기 마련인데 산수화에서는 그러한 집중이 없다. 화면을 하나로 통일 하지 않고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으로 향하여 점차로 전개한다. 두루마리를 펼침에 따라 저절로 변해가는 두루마리 형식이다. 이러한 서양과 동양의 차이점은 문화의 차이로부터 영향을 받아 변모한 그림의 특징으로 간주해 버릴지도 모르겠지만 마땅히 우리의 그림을 보는 사람은 이러한 세심한 과거의 문화까지도 염두 해 두고 그림을 감상 할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끝으로 동양의 재료인 먹과 종이의 특징이 더 추상화를 차오하기 쉬운 재료였는 대에도 불구하고 앞서가지 못한 것은 산수화가 즉흥과 감흥의 소산이면서도 동양인의 지적인 명상에 의한 관습 혹은 보수성 세계인식의 태도에 있을 것이다. 또한 시대적 추세와 기호, 정신적인 변화에서 오는 문제도 있겠으나 동양화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식인에게 주된 표현 재료가 된 수묵이 절제된 감흥과 절제된 형태에 의한 지적 만족을 크게 한다는 동양적 사고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은 은폐성과 직결 되는 것이다. 결국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은폐적인 상상이 아닌 비 폐적인 상상으로 우리의 작품을 만들어 가야하며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사고의 인식 전환을 필요성에 대해서 각인 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재료적인 면에서만 동 서양의 작품을 구분하는 기준이 아닌 정신적 세계측면에서도 동 서양을 심층적으로 구분이 필요 할 것이다.
서양의 화면은 하나의 중심으로 집중되기 마련인데 산수화에서는 그러한 집중이 없다. 화면을 하나로 통일 하지 않고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으로 향하여 점차로 전개한다. 두루마리를 펼침에 따라 저절로 변해가는 두루마리 형식이다. 이러한 서양과 동양의 차이점은 문화의 차이로부터 영향을 받아 변모한 그림의 특징으로 간주해 버릴지도 모르겠지만 마땅히 우리의 그림을 보는 사람은 이러한 세심한 과거의 문화까지도 염두 해 두고 그림을 감상 할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끝으로 동양의 재료인 먹과 종이의 특징이 더 추상화를 차오하기 쉬운 재료였는 대에도 불구하고 앞서가지 못한 것은 산수화가 즉흥과 감흥의 소산이면서도 동양인의 지적인 명상에 의한 관습 혹은 보수성 세계인식의 태도에 있을 것이다. 또한 시대적 추세와 기호, 정신적인 변화에서 오는 문제도 있겠으나 동양화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식인에게 주된 표현 재료가 된 수묵이 절제된 감흥과 절제된 형태에 의한 지적 만족을 크게 한다는 동양적 사고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은 은폐성과 직결 되는 것이다. 결국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은폐적인 상상이 아닌 비 폐적인 상상으로 우리의 작품을 만들어 가야하며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사고의 인식 전환을 필요성에 대해서 각인 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재료적인 면에서만 동 서양의 작품을 구분하는 기준이 아닌 정신적 세계측면에서도 동 서양을 심층적으로 구분이 필요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