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사기로 카테터 에서 요검사물 채취
17. 21. 22. 중간 요검사물
-여자의 경우 회음 부위를 깨끗하게 하고 남자인 경우 비누와 물로 음경 부위와 회음부위를 깨끗이 씻은 다음 iodine으로 소독 후 제거
-체음 배뇨 후 일단 중단시킨 다음 용기에 요검사물 채취
18. 검사물 채취
-이른 아침, 일어나자마자 요를 받는 것이 정확한 검사결과가 나온다.
19. 24시간 채집뇨
-정해진 시간에 첫 배뇨를 하고 난 후부터 정해진 시간까지 소변을 하나의 채뇨용기에 받는 것
20.
-중간요 검사물: 배양할 목적으로 채취
-인공도뇨 검사물: 배양
유치됴뇨관 채취:인슐린 투여 후 요에서 당과 케톤유무를 알기위한 검사에 사용되며 배양검사나 민감도 검사에는 사용 불가
-이중 배뇨 검사물: 소변 내 포도당과 케톤을 검사할 때 사용
-24식간 채집뇨: 제거율 검사(clearance studies)-creatinine, 요소, 이눌린, 파라아미노마뇨산, 방사성 동위원소 제거율 측정 하여 사구체 여과율과 세뇨관 배설능력 측정
-농축도와 희석도 검사: Fishberg(저녁식사후 수분이나 음식섭취금함, 새벽에 검사물 받아서 비중 측정)
Addis 검사(24시간동안 수분을 엄격히 제한, 단백질, 백혈구, 적혈구, 원주체 분석)
23. 24. 28. P.S.P 검사 =phenolsulfonphtalein test
: 신기능을 조사하는 검사.
phenolsulfonphtalein용액이 요중으 배설되는 속도에 딸 신기능 측정.
-검사방법: 피검자는 배뇨 후 물을 약 500ml마시게 하고 30분에 PSP용액 1.0ml를 정확하게 정맥주사 한다. 주사후 15분, 30, 60분 120분으로 분뇨 채취, 각 분뇨중에 10%수산화나트륨 첨 가해 복숭아색으로 발적시켜 기준액과 배교해서 색소배설량을 전한다.
-검사 결과: 성인은 15분치 35%, 30분치 50%, 60분치 65%, 120분치 70%이다. 신기능 저하시 저하됨
25. 요농축 검사
-Fishberg: 저녁식사후 수분이나 음식섭취 금함, 새벽에 검사물 받아서 비중 측정
-Addis 검사: 24시간동안 수분을 엄격히 제한, 단백질, 백혈구, 적혈구, 원주체 분석
26. 요소제거 검사법
-제거율: 매분 신장을 통과하여 제거되는 물질의 양을 혈장 양으로 나타낸 것.
-사구체 여과율과 세뇨관 배설능력 측정
-혈액 검사물 채취
27.
-크레아디닌, BUN: 혈액 검사물
-clearance studies , PSP, NPN : 소변
29. 30. BUN(blood urea nitrogen)
: 사구체 여과율과 세뇨관 배설능력 측정
신장 순환정도를 알 수 있다. 증가시 신장 순환량 저하
31. KUB(kidney, vreters, bladder)
-하복부의 단순촬양으로 조영제를 쓰지 않음
-신장 윤곽, 형태, 위치 파악
-요도결석이나 이물질을 증명할 수 있으며 골격의 변화도 판별
32. 33. 35. IVP 검사(intravenous pyelography)
-검사 준비: 수분제한과 장을 깨끗이 씻어내는 것, 보통 검사 전날 저녁에 하제 투여, 하제가 효과 없을 때 검사 당일날 이른 새 벽에 항문좌약을 투여하여 장관을 깨끗이 비워야 한다.
34.
-장관속이 가스나 분변으로 차 있으면 신장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불명료하게 나타나는 요인이므로 검사전 장세척
-혈관으로 조영제 주입
-선명한 사진을 위해 금식
36. 조영제 알레르기 증상
: 가려움증, 담마진, 천식성 호흡음, 호흡곤란
37. 역행성 신우촬영 검사
: 방광경을 통해 구경이 작은 카테터를 요관을 통해 신우 내로 삽입하여 소량의 조영제를 서서히 주입하면 X-선상 집합관 윤곽 이 나타남.
38. 39. 요로조영검사
: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나 공기를 주입하면 방광이 충만되어 방광의 형태와 크기 촬영
-방광 요관의 역류 원인을 찾기 위한 것
40. 신혈관 조영술
-신혈관 분포 확인.
-검사 후 간호: 혈관천자부위에 출혈이 있으므로 카테터 제거후 혈관을 찔렀던 부위에 압박드레싱
신선한 선홍색 출혈 유무 관찰, 안정, 발의 맥박 측정
41. 42. 43. 신생검
-검사후 간호: 대상자는 약 30분동안 그대로 복와위
매 5-10분마다 활력징후 측정, 바늘 질렸던 부위 관찰
침상에서 적어도 24시간 안정, 복압 피하기
배뇨하는대로 계속 채뇨하여 보관
요정체와 혈괴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양의 수분을 마시도록 권장
2주동안 격렬하고 힘든 활동 피하기
45. 방광내압 측정
-방광의 운동, 감각기능과 배뇨능력 평가
-방광기능, 배뇨중 전의 방광내압 형태, 요흐름 강도에 관한 진단적 자료
46. 53. 방광경 검사
-방광을 직접 시진하여 방광종양, 방광결석, 궤양, 기타 결손된 상태를 볼 수 있다.
-각각의 신장의 신우를 통해 직접 요를 채뇨할 수 있다.
-방광의 용적 측정, 방광요관의 역류징후 관찰
-요도와 방광에서 생검
-종양이나 게실의 적출
-결석이나 이물 제거
-출혈부위 전기 소작
-요관 확장
-신우를 비울 때 사용
-라듐시드를 내이식 시킬 때 사용
47. 48. 49. 50. 51. 54. 55 환자 간호
-검사전 준비: 관장, 전신마취시 검사전 몇시간 동안 금식
국소마취시 역행성 신우촬영검사 실시, 적절한 뇨의 흐름 확보,검사물 채뇨를 위해 적당한 수분 섭취, 마취제나 진정제 투여
-자세: 쇄석위
-검사도중 검사내용 설명
-검사후 합병증 관찰
-대상자 안정시키기
-검사를 위해 염료를 사용한 경우 대상자에게 요의 색깔이 이상이 있을 것이라 알려주기
-벨라돈나와 아편좌약은 방광경련 감소
-검사후 많은 양의 수분 섭취 격려: 요를 희석하여 조직에 대한자극 방지
-오한과 체온 상승시 따뜻하게 보온, 자주 액체 제공,
52.
-등의 통증, 방광경련, 방광 팽만감, 작열감이 나타날 수 있는데이때 따뜻한 물로 통목욕을 시키고 우유나 진통제 투여로 경감
56. 도뇨관 삽입
-윤활제는 수용성으로 사용하며 수용성으로 사용한다.
57. 도뇨시 소변줄기가 끝어질 때 천천히 도뇨관을 잡아당겨 방광 입구쪽 소변도 모두 나오도록 한다.
58. 윤활제 바르는 이유
: 마찰을 감소시켜 도뇨관 삽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17. 21. 22. 중간 요검사물
-여자의 경우 회음 부위를 깨끗하게 하고 남자인 경우 비누와 물로 음경 부위와 회음부위를 깨끗이 씻은 다음 iodine으로 소독 후 제거
-체음 배뇨 후 일단 중단시킨 다음 용기에 요검사물 채취
18. 검사물 채취
-이른 아침, 일어나자마자 요를 받는 것이 정확한 검사결과가 나온다.
19. 24시간 채집뇨
-정해진 시간에 첫 배뇨를 하고 난 후부터 정해진 시간까지 소변을 하나의 채뇨용기에 받는 것
20.
-중간요 검사물: 배양할 목적으로 채취
-인공도뇨 검사물: 배양
유치됴뇨관 채취:인슐린 투여 후 요에서 당과 케톤유무를 알기위한 검사에 사용되며 배양검사나 민감도 검사에는 사용 불가
-이중 배뇨 검사물: 소변 내 포도당과 케톤을 검사할 때 사용
-24식간 채집뇨: 제거율 검사(clearance studies)-creatinine, 요소, 이눌린, 파라아미노마뇨산, 방사성 동위원소 제거율 측정 하여 사구체 여과율과 세뇨관 배설능력 측정
-농축도와 희석도 검사: Fishberg(저녁식사후 수분이나 음식섭취금함, 새벽에 검사물 받아서 비중 측정)
Addis 검사(24시간동안 수분을 엄격히 제한, 단백질, 백혈구, 적혈구, 원주체 분석)
23. 24. 28. P.S.P 검사 =phenolsulfonphtalein test
: 신기능을 조사하는 검사.
phenolsulfonphtalein용액이 요중으 배설되는 속도에 딸 신기능 측정.
-검사방법: 피검자는 배뇨 후 물을 약 500ml마시게 하고 30분에 PSP용액 1.0ml를 정확하게 정맥주사 한다. 주사후 15분, 30, 60분 120분으로 분뇨 채취, 각 분뇨중에 10%수산화나트륨 첨 가해 복숭아색으로 발적시켜 기준액과 배교해서 색소배설량을 전한다.
-검사 결과: 성인은 15분치 35%, 30분치 50%, 60분치 65%, 120분치 70%이다. 신기능 저하시 저하됨
25. 요농축 검사
-Fishberg: 저녁식사후 수분이나 음식섭취 금함, 새벽에 검사물 받아서 비중 측정
-Addis 검사: 24시간동안 수분을 엄격히 제한, 단백질, 백혈구, 적혈구, 원주체 분석
26. 요소제거 검사법
-제거율: 매분 신장을 통과하여 제거되는 물질의 양을 혈장 양으로 나타낸 것.
-사구체 여과율과 세뇨관 배설능력 측정
-혈액 검사물 채취
27.
-크레아디닌, BUN: 혈액 검사물
-clearance studies , PSP, NPN : 소변
29. 30. BUN(blood urea nitrogen)
: 사구체 여과율과 세뇨관 배설능력 측정
신장 순환정도를 알 수 있다. 증가시 신장 순환량 저하
31. KUB(kidney, vreters, bladder)
-하복부의 단순촬양으로 조영제를 쓰지 않음
-신장 윤곽, 형태, 위치 파악
-요도결석이나 이물질을 증명할 수 있으며 골격의 변화도 판별
32. 33. 35. IVP 검사(intravenous pyelography)
-검사 준비: 수분제한과 장을 깨끗이 씻어내는 것, 보통 검사 전날 저녁에 하제 투여, 하제가 효과 없을 때 검사 당일날 이른 새 벽에 항문좌약을 투여하여 장관을 깨끗이 비워야 한다.
34.
-장관속이 가스나 분변으로 차 있으면 신장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불명료하게 나타나는 요인이므로 검사전 장세척
-혈관으로 조영제 주입
-선명한 사진을 위해 금식
36. 조영제 알레르기 증상
: 가려움증, 담마진, 천식성 호흡음, 호흡곤란
37. 역행성 신우촬영 검사
: 방광경을 통해 구경이 작은 카테터를 요관을 통해 신우 내로 삽입하여 소량의 조영제를 서서히 주입하면 X-선상 집합관 윤곽 이 나타남.
38. 39. 요로조영검사
: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나 공기를 주입하면 방광이 충만되어 방광의 형태와 크기 촬영
-방광 요관의 역류 원인을 찾기 위한 것
40. 신혈관 조영술
-신혈관 분포 확인.
-검사 후 간호: 혈관천자부위에 출혈이 있으므로 카테터 제거후 혈관을 찔렀던 부위에 압박드레싱
신선한 선홍색 출혈 유무 관찰, 안정, 발의 맥박 측정
41. 42. 43. 신생검
-검사후 간호: 대상자는 약 30분동안 그대로 복와위
매 5-10분마다 활력징후 측정, 바늘 질렸던 부위 관찰
침상에서 적어도 24시간 안정, 복압 피하기
배뇨하는대로 계속 채뇨하여 보관
요정체와 혈괴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양의 수분을 마시도록 권장
2주동안 격렬하고 힘든 활동 피하기
45. 방광내압 측정
-방광의 운동, 감각기능과 배뇨능력 평가
-방광기능, 배뇨중 전의 방광내압 형태, 요흐름 강도에 관한 진단적 자료
46. 53. 방광경 검사
-방광을 직접 시진하여 방광종양, 방광결석, 궤양, 기타 결손된 상태를 볼 수 있다.
-각각의 신장의 신우를 통해 직접 요를 채뇨할 수 있다.
-방광의 용적 측정, 방광요관의 역류징후 관찰
-요도와 방광에서 생검
-종양이나 게실의 적출
-결석이나 이물 제거
-출혈부위 전기 소작
-요관 확장
-신우를 비울 때 사용
-라듐시드를 내이식 시킬 때 사용
47. 48. 49. 50. 51. 54. 55 환자 간호
-검사전 준비: 관장, 전신마취시 검사전 몇시간 동안 금식
국소마취시 역행성 신우촬영검사 실시, 적절한 뇨의 흐름 확보,검사물 채뇨를 위해 적당한 수분 섭취, 마취제나 진정제 투여
-자세: 쇄석위
-검사도중 검사내용 설명
-검사후 합병증 관찰
-대상자 안정시키기
-검사를 위해 염료를 사용한 경우 대상자에게 요의 색깔이 이상이 있을 것이라 알려주기
-벨라돈나와 아편좌약은 방광경련 감소
-검사후 많은 양의 수분 섭취 격려: 요를 희석하여 조직에 대한자극 방지
-오한과 체온 상승시 따뜻하게 보온, 자주 액체 제공,
52.
-등의 통증, 방광경련, 방광 팽만감, 작열감이 나타날 수 있는데이때 따뜻한 물로 통목욕을 시키고 우유나 진통제 투여로 경감
56. 도뇨관 삽입
-윤활제는 수용성으로 사용하며 수용성으로 사용한다.
57. 도뇨시 소변줄기가 끝어질 때 천천히 도뇨관을 잡아당겨 방광 입구쪽 소변도 모두 나오도록 한다.
58. 윤활제 바르는 이유
: 마찰을 감소시켜 도뇨관 삽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충수돌기염 (Appendicitis)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성인간호학 위절제술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경추골절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성인간호학) 눈의 구조와 기능, 건강사정
성인간호학) 간신생물
성인간호학) 간경화 A+ 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레포트
성인간호학) 지방간 A
성인간호학) 충수염(Appendicitis)
성인간호학) 협심증 문헌고찰, 사전학습, 레포트
성인간호학 수술실 OR Myomectomy 케이스 스터디(수술방법 사진有)
성인간호학 실습-타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