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중요성과 오염원인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공장에서는 폐수나 폐유 배출을 억제하고, 이를 처리하는 시설을 갖추어 가동시켜야 합니다.
**해양오염
인간활동의 결과로 생긴 물질 또는 에너지는 직·간접적으로 해양에 유입됩니다. 이것이 생물자원에 해를 입히고, 인류건강을 위협하며, 어업을 포함한 해양활동에 장애가 되고, 해수의 질을 손상시키며, 해양환경의 쾌적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해양오염이라고 합니다.
-해양오염의원인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버리는 각종 쓰레기와 집에서 버리는 생활하수는 강으로 흘러가게 되고, 공장에서 흘려버리는 폐수도 강을 거쳐서 모두 바다로 들어갑니다. 또 농촌에서 농사에 사용되는 비료와 농약들도 물에 섞여 바다로 흘러 가게 되며, 공기 중에 있던 오염물질도 강물을 통해 모두 바다로 흘러갑니다. 이처럼 바다오염의 80%는 육지로부터 비롯된 것입니다. 바다에서 직접 발생되는 오염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바다 한 가운데에 버려지는 각종 쓰레기, 어민들이 버리는 못쓰는 그물 등도 상당한 양이며, 각종 선박에 의한 좌초나 충돌로 인한 기름유출도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불러일으킵니다. 이러한 바다오염은 바다생물이 살 수 없게 만들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는 적조 발생을 촉진시켜 바다 생태계를 위협하게 됩니다.
-해양오염의영향
폐유 등에 의해 이미 물새, 해달, 독수리 등이 희생되었으며, 중금속이 물고기 등 바다생물 몸에 쌓임으로써 바다 생물과 인간도 위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또한 간석지 개발로 인하여 자정능력을 상실하고 생물의 생산력 저해되었으며, 간석지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관광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상실하고 있습니다.
-해양오염회복을위한노력들
간석지를 매립하거나 폐기물을 바다에 버리는 것을 자제하도록 하고, 육지의 오폐수들이 바다로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는 등 국가적인 관리체계를 확립하도록 합니다.
[그림 1] [그림 2] [그림 3] [그림 4]
<그림1> 수중작업자가 해저에 노출 되어있는 해양폐기물 (폐타이어)을 로프에 걸었다는 수신호를 하고 있는 모습<그림2> 수중작업자가 직접 해저에서 채취 인양된 폐통발을 육상 작업자가 운반하고 있는 광경 <그림3> 수거 전 - 진도 우도(섬) 해안에 널려있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광경 <그림4> 수거 후 - 쓰레기 수거 후 우도(섬) 주변이 깨끗해진 광경
-우리가할수있는일
(1) 강이나 바다로 놀러 갈 때에는 쓰레기 봉투를 가지고 가서 쓰레기를 담아 옵니다.(2) 어떤 쓰레기도 함부로 버리지 않습니다(3) 깡통이나 유리병은 재활용을 위해 집으로 다시 가져옵니다.(4)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진 1회용 접시나 컵 등을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습니다.(5) 스티로폼은 유해한 물질로 만들어지고 썩지도 않으며 해양생물에게 위험합니다 .(6) 낚시를 가서는 낚시줄을 아무 곳에나 버리지 않습니다.(7) 새나 물고기들이 낚시줄에 몸이 감겨 죽을 수도 있습니다.(8) 비닐봉지를 함부로 버리지 않습니다.(9) 풍선이나 비닐봉지는 거북이의 먹이인 해파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비닐봉지를 잘못 먹은 (거북이는 질식하거나 다시는 잠수할 수 없어서 굶어 죽게 됩니다.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18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